신생아 때 두시간씩 안고 재우던 아기 아빠




아이가 점점 엄마 찾을수록 꺾이는 아빠의 육아 의욕




졸지에 엄마의 육아 부담만 가중












3f1d7c53b1c5318c4c4496035c85df35. » 아이를 재우다가 함께 잠든 아빠. 지금은 재우기도 엄마차지가 됐다.




오래 전 내가 꿈꾸던 육아는 19세기 부르주아 집안의 풍경화 같은 것이었다. 잘 차려 입은 내가 우아하게 책을 읽으며 차를 마시고 있으면 역시 잘 차려 입은 아이가 나에게로 온다. 잠시 머리를 쓰다듬어 주고 놀다가 칭얼 거리기 시작하면 '유모~'를 부른다. 아이는 퇴장. 




그러니까 아이를 낳은 뒤에도 똥 기저귀를 간다거나 울고불고 발악하는 아이를 안고 동요 반, 협박 반으로 달랜다거나, 목욕시키다가 우는 아이에게 젖주고 미처 젖을 집어 넣지도 못한 채 헐레벌떡 목욕시키고 물기 닦고 옷 입히고 재우기까지 한다든가, 한시간 동안 얼굴 전체가 밥풀 투성이 된 꼬질한 아이 앞에서 이유식 숟가락을 들고 생쑈를 한다든가 하는 것은 내 일이 아니라 남의 일, 그러니까  '유모'의 일이 될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다.




그런데  어느 순간 '마님' 이 찾으면 달려가는 '유모'가 되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마님은 바로 아이 아빠. 아이와 잠깐 놀아주다가 아이가 울기 시작하면 '유모~' 대신 '엄마~'를 부르고 나는 유모처럼 달려가 아이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만 말하면 내가 굉장히 착한 아내 같지만 남편도 할 말이 없는 건 아니다.  그는 오늘도 "아 자식 새끼 다 필요없어. 내가 누구 위해서 이렇게 뼛골 빠지게 회사를 다니는데 말야...."라고 긴 한숨을 내쉬며 이불 속으로 들어갔다. 잠이 깨서 칭얼대는 아이를 토닥여주다가 아이가 얼핏 아빠임을 알아보고 불같이 역정을 내시며 엄마를 대령하라는 엄포 "음마마마마"에 낙심하고는 다시 '유모~' 아니 '엄마~'를 찾게 된 것이다.




처음 아이를 낳아 왔을 때 남편은 나보다 똥기저귀를 치우는데 더 열심에 정성이었고, 아이를 안고 두세시간씩 달래며 재우기도 했다. 그렇게 아이를 얼르면서 꼭 하는 말이 있었는데 바로 "아빠가 좋아?엄마가 좋아?"였다. 보통 아이 있는 집에서는 터부에 가까운 그 금기어를 매일 매일 주문 걸듯이 신생아한테 반복하면서 "아빠가 좋지? " "뭐라구? 아빠가 최고라구? 어린 놈이 사람보는 눈은 있어서" 등등을 주입시켰다. 그 모습이 어처구니 없어 나는 하지말라는 대꾸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역시 분유수유에서 모유수유로 갈아타며 극적인 변화를 겪게 됐다. 아빠가 아무리 안아줘도 바락바락 떼를 쓰던 아이가 엄마 쭈쭈 한방에 훅 넘어가니 석달 동안 자기편을 만들기 위해 공을 들인 아빠로서는 육아 의욕이 급다운된 모양이었다. 전에는 우는 아이에게 동요도 불러주고 다양한 방법으로 달래곤 하더니 이제는 울음 소리가 터지자 마자 '엄마~'부터 찾는다. 처음에는 "동요를 불러주던가 안는 자세를 바꿔보던가 좀 다양하게 궁리를 해봐"라고 핀잔하지만 나 역시  울음소리가 시끄러워서 결국 그냥 아이를 받게 된다.




이렇게 울 때마다 엄마가 아기를 안아버릇하니 이제는 아빠와 하루 종일 같이 있는 주말에도 영 둘이 친해 보이지가 않는다. 잘 때가 아니라도 아이는 엄마와 있는 걸 좋아하고 아빠 역시 자존심이 상했는지 아니면 '보람 없는' 육아 노동에 싫증을 느꼈는지 스리슬쩍 나에게 아이를 떠맡기려고 한다. 물론 내가 눈을 부릅뜨면 아이를 안고 가서 놀아주는 척을 하지만 그것도 '아앙~'소리가 날때까지 잠깐이다.




이제 남편은 더 이상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라고 아이에게 묻지 않는다. 만약 아이가 말을 한다면 "알면서 왜 물어봐요?"라고 대답할 텐데 뭐하러 묻겠나. 전에 남편이 했던 얄밉고도 유치한 행동을 생각하면 고소하기도 하지만 이러다가 육아부담을 나 혼자 뒤집어쓰지는 않을까 은근히 걱정도 된다.  안 그래도 결혼 뒤 가사분담의 깔끔한 실현에 실패해 싸움만 나면 서로 '당신이 집에서 하는 일이 뭐냐'라고 외치는데 육아도 그렇게 된다면 정말이지 큰일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6개월 된 아이를 두고 오버하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이렇게 점점 멀어지다가 나중에 서먹한 부자지간이 된다고 생각하면 슬프기까지 하다.




이 글을 읽으시는 아빠 독자님들도 비슷한 경험을 해본 적 있는지.... 있다면 어떤 타개책으로 육아부담도 나누고 아이랑 친해졌는지 조언해 주시라~~~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은형 기자
투명하게 비칠 정도로 얇은 팔랑귀를 가지고 있는 주말섹션 팀장. 아이 키우는 데도 이말 저말에 혹해 ‘줏대 없는 극성엄마가 되지 않을까’, 우리 나이로 서른아홉이라는 ‘꽉 찬’ 나이에 아이를 낳아 나중에 학부모 회의라도 가서 할머니가 오셨냐는 소리라도 듣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서는 엄마이다. 그래서 아이의 자존심 유지를 위해(!) 아이에게 들어갈 교육비를 땡겨(?) 미리미리 피부 관리를 받는 게 낫지 않을까 목하 고민 중. 아이에게 좋은 것을 먹여주고 입혀주기 위해 정작 우는 아이는 내버려 두고 인터넷질 하는 늙다리 초보엄마다.
이메일 : dmsgud@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7544/d53/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수백만원대 유모차 유감? 무감? imagefile 김은형 2010-09-07 36805
18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왕창육아'시대의 끝 imagefile 김태규 2010-09-06 21480
17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말이 늘어요 imagefile 윤아저씨 2010-09-02 38560
»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남편의 ‘엄마~’센서 imagefile 김은형 2010-08-31 26138
15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뿡뿡 imagefile 윤아저씨 2010-08-26 30369
14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육아책-아이, 누가 잘못인가 imagefile 김은형 2010-08-24 28800
13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이번 주말 ‘베이비페어’ 참관, 어때요? imagefile 김미영 2010-08-20 28518
12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터치폰 imagefile 윤아저씨 2010-08-19 30718
11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험난하고 험난한 베이비시터와의 생활(1) imagefile 양선아 2010-08-18 30535
10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자녀가 둘이 되니, 더 여유가 생기네~ imagefile 김미영 2010-07-28 33134
9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불청객이 왔다, 나에게도 imagefile 김은형 2010-06-25 25067
8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둘째 아이를 갖기 위한 필수 조건 imagefile 양선아 2010-05-30 60829
7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아기 욕조를 둘러싼 신구 세대 육아 갈등 imagefile 김은형 2010-05-28 43576
6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1화 짝짜꿍을 좋아하던 윤양의 만행? imagefile 윤아저씨 2010-05-16 34719
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글을 열며... imagefile 신순화 2010-04-23 59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