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어린 시절의 '엄마'라는 이미지를

먹는 것과 떼어놓기는 힘들지 않을까.


하나부터 열까지

아이들의 순조로운 삶을 위해

뒷바라지 해야할 건 수도 없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건

날마다 매 끼니를 제때에 차려 먹이는 일이다.


조금 더 손이 빨라지고 익숙해진다는 것 뿐,

엄마된 지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난감하고 여전히 어려운 숙제 같다.

잘 해 먹이든, 대충 해 먹이든, 사서 먹이든

아이에게 좋은 걸 먹이고 싶은 마음이야 늘 변함없지만


내가 바빠서 요즘 부쩍 대충 먹였구나.. 싶은 때,

아이에게 뭔가 미안한 일이 있을 때,

학교나 친구관계에서 아이가 주눅들어 있을 때,

아이가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있을 때..


그런 날은 평소보다 유난히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잘 먹이고 싶어진다.

어딘가 비어보이는 아이 삶의 허기를

먹는 것으로라도 듬뿍 채워주고 싶은 부모로서의 욕망이랄까.

이건 인간의 엄마라기보다

짐승의 어미로서의 본능에 더 가까운 것 같다.


아이를 잘 먹이고 싶어하는 나의 집착에 가까운 본능은

어쩜 친정엄마에게서 물려받은 것인지도 모른다.

나의 엄마에 대한 기억은 항상 먹는 것과 연관이 되어 있다.

어렸을 때, 엄마가 일을 마치고 돌아오실 때면

항상 양손 가득 먹을 것이 든 봉투들이 들려있곤 했다.


우리 3형제가 그 봉투들을 얼른 받아들던 때는

배고프던 오후 4시 쯤이었는데

떡볶이, 튀김, 만두, 도너츠 ...


시장에서 산 갖가지 간식들이 한보따리 든 비닐봉투의

따뜻한 냄새와 감촉은 아직까지 내 코끝과 손끝에 남아있는 것 같다.

나도 엄마가 된 지금 가만, 생각해보면

그때의 친정엄마께선 일하는 동안, 우리와 떨어져 있던 시간을

먹는 것으로 듬뿍 채우고 싶어하셨던 것 같다.

자식들에게 무척 시크한 편이셨던 엄마는 무뚝뚝한 표정으로

입안이 미어지도록 먹어대는 우리들 입에

만두를 하나씩 더 밀어 넣어주시곤 했다.

그러고는 돌아서서,

밥과 국과 나물이 풍성한 저녁을 뚝딱 차려주셨다.


지나고 보니,

그때의 우리 3형제에게 엄마의 모습은

정말 커다란 존재였다.

그 큰 품 안에만 있으면 늘 배가 불렀다.

일하느라 늘 바쁘셨던 엄마는

아들 둘 사이에 하나밖에 없는 딸인 나에게

그리 섬세한 애정을 주진 못하셨다.

집안일보다는 바깥일이 더 잘 어울리는 여장부같으셨던

엄마가 소심하고 내성적인 나에겐 조금 무서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 내 기억 속의 엄마가

늘 따뜻하게 느껴지는 건

아마 엄마가 나에게 해 주신 음식 때문인 것 같다.


사람을 상대하는 일을 하시느라

집에 오시면 별로 말을 하고 싶지 않다시며

씻어라, 먹어라, 자라..  몇 마디 안 하셨지만,

그 나머지 말들은 모두 음식을 통해 해 주셨던 것 같다.

음식은 부모가 아이에게 건네는 제2의 언어랄까.

언어로 전해지지 않는 부모의 사랑과 마음이

음식을 통해 아이에게 전해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음식과 추억의 이야기를 담은

<소울 푸드>라는 책에는 이런 글이 있다.


어머니는 시장통의 우악스러운 고깃집 사람들에게서

좋은 곱창을 받아내는 데는 선수였다.

낯을 많이 가리시는 성격인데도

아이들 먹을 음식을 고르는 일은 예외였다.

어머니가 신문지로 둘둘 말아 장바구니에서 꺼내는 곱창은

막 소의 배에서 나온 것처럼 따뜻했다는 착각까지 든다.

물컹한 곱창 뭉치의 촉감,

그날 밤 서울 변두리 어느 허술한 집의 야식이 시작되었다.


어머니는 이제 곱창을 드시지 않는다.

나도 그런 고지방 음식을 멀리할 나이가 되었다.

내가 그날 밤 곱창 굽는 연기 가득하던

거실의 풍경을 떠올리면 어머니는 호호, 웃으신다.

이젠 늙어서 한 줌밖에 안 되는 육체가 갑자기

그 시절 중년으로 돌아가서 커다란 엄마로 보인다.

새끼 입에 소고기는 못 되어도 곱창이라도 미어지게 넣어주며

흐뭇해 하시던 그 모습이 얼핏, 보이는 것이다.



이 글 속의 어머니처럼,

30여년 전의 친정엄마가 그러셨던 것처럼,

나도 우리 아이들에게 음식으로 많은 언어들을 들려주고 싶다.


마음이 여리고 내성적인 우리집 두 아이는

유아기 때 집단생활을 무척 힘들어했다.

어떻게든 아이들이 유치원 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내가 아무리 동분서주해도

결국 적응하고 헤쳐나가야 하는 건 아이들 스스로의 몫이었다.


유치원에 수없이 많은 아이들이 있어도 함께 놀 친구가 없다며

외로워하던 아이가 유치원에서 돌아오는 오후,

달콤한 팥이 듬뿍 든 호빵맨 빵을 만들어 주곤 했다.

초콜릿으로 그린 호빵맨 얼굴을 친구처럼 여기며 뽀뽀를 해 주던

5살 아들의 모습을 보며

많이 뭉클했던 기억이 난다.


그래.. 아가.

언젠간 그렇게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가 꼭 나타날거야.

이거 먹고 힘내자..

그런 마음을

아이 얼굴 크기만한 빵 속에

꼭꼭 눌러 담았다.


새봄, 새학기.

고군분투하는 아이들에게

말보다 더 진한 위로와 응원이

필요한 시기다.



크기변환_DSCN0987.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50135/5e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0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아이가 숨을 쉬지 않는다면?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기 imagefile [4] 케이티 2016-08-15 10730
30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외롭고 긴 터널을 걷다 imagefile [4] 홍창욱 2014-05-08 10730
3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사교육없이도 글쓰기 잘하는 법 imagefile [3] 윤영희 2016-08-10 10706
30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빨리 자라 자라 좀! imagefile [6] 최형주 2015-09-25 10702
30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석 달간의 동거가 끝이 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4-10-18 10701
300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역지사지 그래도 섭섭하다 imagefile [3] 이승준 2016-12-19 10696
29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조용하고 풍요롭게 지나간 2015년 3월 23일 imagefile [11] 최형주 2015-03-27 10688
298 [김명주의 하마육아] 보험, 일단 가입은 하였소만... imagefile [4] 김명주 2015-03-02 10681
297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너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imagefile [4] 정아은 2017-12-14 10667
29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꽃과 풀 달과 별, 모두 다 너의 것 imagefile [3] 신순화 2018-10-15 10665
295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시대 흐름 역행하는 `출산주도성장' 발언 imagefile [4] 양선아 2018-09-11 10664
294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유예’는 언제까지? imagefile [2] 박수진 2017-04-18 10664
293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가능과 불가능의 사이에서: 두 아이의 엄마 imagefile [2] 정아은 2018-01-11 10658
292 [최형주의 젖 이야기] 번갈아가며 젖 imagefile [9] 최형주 2014-05-22 10648
29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세상에 안 아픈 주사란 없다 imagefile [8] 케이티 2016-12-22 10637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음식은 부모가 아이에게 건네는 제2의 언어 imagefile [5] 윤영희 2016-03-24 10634
28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육아 3종 세트, 착각과 오산 imagefile [3] 양선아 2018-05-14 10632
288 [최형주의 젖 이야기] 젖 안 물리고 재우기 imagefile [4] 최형주 2014-04-30 10623
28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2편] 떡국을 먹으며 새해 소망을~ imagefile [6] 지호엄마 2017-01-06 10607
2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들의 겨울 imagefile [2] 신순화 2015-12-29 1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