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하고 주양육자 된 아빠 

비로소 엄마의 고립감을 이해하다


148117776674_20161209.JPG » 아내가 늦게 퇴근하는 날은 하루가 길다. 주양육자는 떼쓰는 아이를 달래며 어떻게 시간을 보낼지 전전긍긍한다. 궁여지책으로 꺼내놓은 우산과 스티커에 다행히 아이가 관심을 보여 한시름 놓는다. 한겨레 이승준 기자



바깥양반(아내): 나 오늘 회식 자리가ㅠ

나: 오늘 일찍 오는 거 아니었어?

바깥양반: 갑자기 잡혔네. 미안해ㅠ

나: 알겠어….


모바일 메신저 창을 올려보니, 지난번에는 야근 때문에, 또 지난번에는 누군가의 송별회로 늦는다는 메시지가 “ㅜㅜ”와 함께 있었다. 아이와 지지고 볶는, 그날이 그날 같은 어느 날 오후 5시께, 메신저 창을 닫은 나는 무심코 중얼거렸다. “뭔 놈의 회식이 그렇게 많아.”


으아악. 휴직 전인 몇 달 전만 해도 내가 이런 메시지를 보냈는데! 기자라는 직업 탓에 월화수목금, 그리고 일요일까지 아침 일찍 출근했다가 밤늦게 집에 기어 들어오던 내가 이런 말을 하다니!


메신저 창을 좀더 위로 올리면 내가 보낸 “미안해”가 가득하다. 휴대전화를 보느라 방심한 사이 19개월 아이는 미처 ‘방어하지’ 못한 서랍과 싱크대 문을 열고 옷가지나 프라이팬, 냄비 등을 마구잡이로 꺼내고는 나를 보며 웃는다. ‘오늘 하루도 길어지겠네….’ 숨이 턱 막힌다.


몇 달 전 메신저 창을 바라보던 아내의 마음도 그랬을까. 아내는 출산 뒤 1년 넘게 ‘독박육아’를 했고, 나는 하필 당시 온갖 이슈로 요동치며 총선을 향해 달려가던 국회에 출입하고 있었다. 그때 우리 부부는 하루를 싸움으로 마감하곤 했다. 자정을 넘겨 고양이 걸음으로 집에 들어온 나는 “미안해”를 연발했다. 전개는 늘 똑같았다. 미안해, 고생했어, 내일은 일찍 올게. 그렇지만 내가 놀다 온 건 아니잖아!


나는 휴직계를 올리며 결심했다. ‘늦게 온다고 뭐라 하지 말자. 사정 뻔히 알면서….’ 하지만 아내의 늦은 퇴근에 동요하는 내 모습을 보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피.곤.하.다! 짜.증.난.다! 섭.섭.하.다!


휴직 초기엔 체력적 한계 때문에 늘 신경이 곤두섰다. 아이가 잠들기 전까지 퇴근한 아내와 같이 보내는 한두 시간이야말로 비로소 숨통이 트이는 소중한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며 몸이 주양육자에 적응돼도 아내의 늦은 퇴근은 여전히 달갑지 않았다.


어느 날 아이를 재우고 즉석카레로 늦은 저녁 ‘혼밥’을 하다 깨달았다. 내 마음이 그런 건 ‘고립감’ 때문이라는 것을. 시종일관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감정노동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돌봄노동은 매일이 ‘멘붕’이다. 또 매 순간 고민과 선택의 연속이다. ‘지금 간식을 더 줘도 될까’ ‘떼를 쓰는데 목소리를 높여야 하나’ ‘피부에 뭐가 났는데 병원에 가야 하나’ 등 매번 난감한 질문에 뾰족한 답을 찾지 못하고 헤맨다.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아이의 모습도 누군가와 실시간으로 나누고 싶다.


하루를 마감하며 이런저런 고민을 나누는 시간이 있어야 마음의 짐을 덜고 내일을 준비할 수 있다. 결국 내가 듣고 싶던 말은 “괜찮아“ “잘하고 있어”였다. 때로는 아내보다 소아과 의사 선생님, 어린이집 선생님 등에게 위로를 받는 이유다. “내 편이 필요하다!”


양육자들의 고립감을 덜기 위해서는 ‘저녁 있는 삶’이 가능해야 하고 사회가 ‘편’을 들어줘야 한다. 하루아침에 가능한 일은 아니다. 일단 주양육자를 주변에 둔 이들은 다음과 같은 말이라도 피하시라. “미안해, 미안해”(특정한 이유 없이 미안하다는 말로만 때우지 말자), “피곤해”(너만 피곤하냐!), “대충 하고 쉬어”(절대 대충 할 수 없다ㅠ), “아유, 뭘 그리 유난을 떨어”(이런 말은 절대 안 된다!). 그 대신 단 10분이라도 주양육자의 이야기에 귀를 열어주시라. “잘했어” “괜찮아” 같은 추임새는 필수다. ‘나는 네 편이야’라는 얼굴을 하고.


이승준 <한겨레> 기자 gamja@hani.co.kr


(*이 글은 한겨레21 제1140호(2016.12.12)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이승준 기자
남성의 육아휴직에 태클(?) 걸지 않는 <한겨레> 덕에 육아휴직 중. 아이가 아프거나 이상행동을 보일 때면 엄마가 아니어서 그런가 싶어 의기소침해진다. 하지만 주양육자의 얼굴이 다양해질수록 육아라는 책임과 부담을 엄마에게만 전가하는 왜곡된 한국 사회의 모습이 더 빠르게 변할 수 있다고 믿게 됐다.
이메일 : gamja@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81674/e7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0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아이가 숨을 쉬지 않는다면? 심폐소생술 교육 체험기 imagefile [4] 케이티 2016-08-15 10830
30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44편] 엄마도 어렵구나 imagefile [5] 지호엄마 2015-03-12 10823
30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1층 할머니의 고추를 걷다 imagefile [1] 최형주 2015-08-31 10822
302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임신 8개월, 두 아이 엄마가 될 준비 imagefile [5] 안정숙 2014-05-06 10813
30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케이티와 함께 춤을 imagefile [12] 케이티 2015-12-25 10807
30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외롭고 긴 터널을 걷다 imagefile [4] 홍창욱 2014-05-08 10804
29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빨리 자라 자라 좀! imagefile [6] 최형주 2015-09-25 10800
29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조용하고 풍요롭게 지나간 2015년 3월 23일 imagefile [11] 최형주 2015-03-27 10798
29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사교육없이도 글쓰기 잘하는 법 imagefile [3] 윤영희 2016-08-10 10780
29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석 달간의 동거가 끝이 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4-10-18 10779
295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너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고?: 결혼이라는 통과의례 imagefile [4] 정아은 2017-12-14 10773
29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전기없이 살 수 있을까? imagefile [2] 신순화 2018-03-16 10771
»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역지사지 그래도 섭섭하다 imagefile [3] 이승준 2016-12-19 10769
29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좋은 한 끼 imagefile [8] 신순화 2018-03-20 10769
291 [최형주의 젖 이야기] 젖 안 물리고 재우기 imagefile [4] 최형주 2014-04-30 10753
290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세상에 안 아픈 주사란 없다 imagefile [8] 케이티 2016-12-22 10749
289 [최형주의 젖 이야기] 번갈아가며 젖 imagefile [9] 최형주 2014-05-22 10749
288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2편] 떡국을 먹으며 새해 소망을~ imagefile [6] 지호엄마 2017-01-06 10738
287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유예’는 언제까지? imagefile [2] 박수진 2017-04-18 10729
286 [김명주의 하마육아] 보험, 일단 가입은 하였소만... imagefile [4] 김명주 2015-03-02 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