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며 잠들기 십분 전 독서가 왜 중요한지 알 것 같다.
아직 어린 나이지만 내면을 끌어내려면 매개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책이 한다.
몇 일전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까마귀가 이를 이겨내고 리더가 되는 이야기인
<먹구름 까마귀>를 뽀뇨의 마음을 읽을 의도로 꺼내들었다.
“뽀뇨, 먹구름 까마귀 이야기 재미있지? 뽀뇨는 어린이집에 친구들이랑 잘 지내?”
혹시나 하고 친구관계를 독서 후 끄집어내었는데
뽀뇨가 좋아하는 한 아이가 자기를 싫어한다는 얘길 들었다.
안되겠다 싶어 이야기 중에 나온 친구들 이름과 싫어한다고 하는 아이 이름을 메모해두었다.
나중에 어린이집 부모상담이 있을 때 물어보거나 뽀뇨에게 그 때 그때 물어볼 생각에서였다.
친한 친구 : 지원 윤호 예나
덜한 친구(원래는 싫어하는 친구라 적었다가 고쳤다) : 태연(렛잇고옷)
“나는 렛잇고 옷이 없어서 슬퍼요”
나는 태연이가 누구인지 잘 몰랐지만 뽀뇨가 나에게 던진 한마디에 뽀뇨 어린이집 첫 등원한 날
샤랄라 옷을 입은 한 아이가 그려졌고 그 아이 이름에 ‘렛잇고 옷’이라고 메모해두었다.
하지만 메모후 그냥 그렇게 지나갔다.
다음날 조금 다른 의도를 가지고 겁 많은 아이 이야기인<라치와 사자>를 꺼내들었다.
빨간 사자가 아이를 용감하게 만든다는 얘긴데
결국 이야기가 어린이집의 교우관계로 흘렀다.
왜 그 아이가 내 아이를 싫어할까에 대한 실마리를 찾으려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그 아이가 자주 입는 "겨울왕국 드레스"와 내 아이가 입고 간 옷 때문에
"남자 옷 입고 왔다"고 놀림을 받았다는 얘기에 이르고 만다.
아차!
나는 아이에게 샤랄라 드레스를 사준 적이 없다.
아니 옷 한 벌 제대로 사준 적이 없다.
내가 내 옷을 산적이 평생 손에 꼽을 정도인데 이는 내 철학이지 아이가 원하는 삶은 아니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니섹스를 지향하기도 하고 성편향이 향후 아이에 미칠 영향도 싫지만
"겨울왕국 드레스"가 갖고 싶은 아이마음을 모른척하면 안되겠다 싶다.
아이와 대화를 하다 보니 왜 내 엄마는 다른 건 다 까먹어도 내 친구들 이름은 기억하는지 알 것 같고
왜 엄마들의 치맛바람이 그토록 심한지도 백퍼 공감된다.
하지만 아이 마음속에 들어가되 아이 마음과 동화되어선 안된다고 마음먹었다.
아이의 마음을 읽되 아빠의 마음을 전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며칠 뒤 결국 아내와 대형마트를 갔다.
뽀뇨가 좋아하는 분홍색 드레스를 몇 벌 샀다.
얼마전에 내가 올린 ‘렛잇고 옷에 대한 사연’을 페북에서 읽었는지 누나들이 뽀뇨에게 고급진 드레스를 새 신발과 함께 보내주었다.
다음 날 어린이집에 뽀뇨를 늦게 등원시킬 일이 있었다.
고모들이 사준 고급진 옷과 신발을 신은 뽀뇨를 데리고 친구들이 놀고 있는 ‘탐구반’에 들어갔다.
“안녕, 얘들아. 난 뽀뇨 아빠야. 지난 번에 봤지?”
라고 하니 다들 반갑다고 인사를 하는데 그중 뽀뇨와 친하다는 예나가 뽀뇨를 안으며 한마디 한다.
“뽀뇨, 오늘 이쁜 옷 입고 왔네”
순간 살짝 당황했지만 내색 않고
“아저씨는 친구들 이름 다 안다.”,
“어떻게 다 알아요?”,
“어.. 다 알아. 그지 태연아”하니
돌아앉아 있던 아이가 고개를 잠시 돌려 바라보았다.
(나는 태연이를 보며 살짝 눈웃음을 지었다)
“여러분 안녕, 아저씨 다음에 또 올게요”
며칠 동안 나는 내 아이를 싫어하는 한 아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였다.
아니 내 아이의 마음속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고 이해할수 있게 되었다.
아이가 커가며 예쁘고 좋은 모습만 글로 쓰고 싶은건 내 욕심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