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시장에서 나오는 농산물 중에 가장 비싼 것이 달래가 아닐까 싶다.

제주에선 달래를 꿩마농(꿩마늘)이라고 하는데 뿌리의 쌉살한 맛과 향이 제법이다.

된장에 넣어 먹어도 좋고 밥에 고추장 넣고 비벼먹어도 진수성찬 부럽지 않다.

 

이렇게 맛좋은 달래, 농수산물이 저렴한 오일장에 가도 한 바구니도 아닌 것이 이천원.

왜 이렇게 비싼지는 달래를 직접 캐보면 알 수 있다.

집에서 출발하여 차로 20분, 내려서 또 10분은 넘게 걸어야 닿을 수 있는 한라산 중턱의 숲속.

작년에도 여기서 달래를 캤는데 올해도 여기에 뿌리를 내려주었다.

 

혹여 숲속에서 만날 멧돼지를 대비하여 큰 전정가위와 작업용 호미를 대동하고

우리 식구는 숲속을 살피며 들어갔다.

일년 만에 와서 길을 잃지나 않으려는지 걱정되었지만

낯익은 오솔길을 따라 드디어 달래밭을 만났다.

 

달래가 비싼 이유는 캐는데 들어가는 노동력때문이리라.

농약이 닿지 않는 곳에서 자연이 알아서 키운 달래.

캐려면 가장 핵심인 뿌리를 온전히 땅속에서 꺼내야 하는데

나뭇가지나 돌덩이에 걸려 제대로 뽑아내기가 여간 귀찮고 힘든 것이 아니다.

 

한 시간 정도 쪼그려 캐내고 있으려면 요 작은 걸 먹자고 이 짓을 하고 있는 것이

때로 쪼잔하게 보이지만 세상에 쉬운 일이 있으랴.

 

풀밭에 풀어놓은 망아지처럼 뽀뇨도 여기저기 숲속을 달라 뺀다.

워낙 깊숙한 숲속이라 위험하기에 한 명은 뽀뇨를 보고 한 명은 달래를 캐고 있는데

뽀뇨가 아빠의 행동거지가 궁금했나 보다.

 

“아빠 뭐해?”,

“어. 아빠 달래캐고 있어”,

 “달래?”

 

집에선 아빠가 무엇하는지 궁금할 상황이 연출되지 않는데 반해,

밖에 나오니 다른 상황이 연출되고 또 그것에 대한 호기심이 새로운 대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

환경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아빠, 엄마가 영어를 배운지 30년이 지났지만 아직 언어로서 습득을 못한 것은

새로운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되고 자극받지 않아서가 아닐까?

그래서 뽀뇨의 조기 언어습득을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좀 더 다양한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가끔은 변화된 환경을 즐겨야겠다는 아이디어를 얻었다.

 

숲속에서 달래를 캐며 느낀 것이 ‘육아에 대한 아이디어’라니..

 뭐 어때.

아이디어 또한 아무것도 아닌 정보의 숲속에서

 필요한 어떤 것을 캐낸 결과물이 아닐까.

 

1시간 반 정도 캐고 나니 일 년치는 아니지만 냉동실에 쟁여둘 만한 양을 캤다.

 쌉살한 맛이 좋은데 다 먹고 나면 어쩌나하고 숲에게 작별을 고한다.

뽀뇨와 집으로 돌아가며 앞으로 똑같은 일상이지만

조금은 다른 변화를 주어야 겠다는 교훈을 얻었다.

 

오늘부터 똑같은 동화책을 읽더라도 좀 더 다르게 표현해야지. 다른 목소리, 다른 분위기로..        

 

<한라산이 키운 달래의 맛은 어떨까?>

*아래 사진을 클릭하시면 열심히 풀을 뽑고 있는 뽀뇨모습을 보실 수 있어요.

꿩마농.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61982/128/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워킹맘에 완패한 아빠, 그래도 육아대디 만한 남편없다 - 토크배틀 TV프로그램 출연기 imagefile [6] 홍창욱 2012-01-31 58027
1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도 별수 없다 imagefile 홍창욱 2012-01-25 17789
1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아이 키우며 제일 힘든거? imagefile [4] 홍창욱 2012-01-16 18312
1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엄마는 외계인? imagefile [4] 홍창욱 2012-01-09 19526
1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신년특집선물] 구멍양말 콩쥐 imagefile [4] 홍창욱 2012-01-03 17625
1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기막혔던 뽀뇨의 첫 이사 imagefile [2] 홍창욱 2011-12-26 60744
1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왜 하필 왼손잡이로 태어났을까 imagefile [7] 홍창욱 2011-12-20 19324
1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배시시 웃음의 정체 imagefile [4] 홍창욱 2011-12-12 17851
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의 두 얼굴 imagefile [22] 홍창욱 2011-12-05 18476
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워킹파파의 절규, 둘째는 안돼 imagefile [2] 홍창욱 2011-11-29 28101
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베이비시터 되다 - 잘키운 이웃 아저씨, 열 아주머니 안 부럽다? imagefile [4] 홍창욱 2011-11-21 20810
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안 해!' 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imagefile [8] 홍창욱 2011-11-14 50217
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쭈쭈 없는 아빠의 설움 imagefile 홍창욱 2011-11-07 55142
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육아의 적들...답이 어디에? imagefile [4] 홍창욱 2011-11-01 19279
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엄마표 돌잔치? 이제 대세는 아빠표 돌잔치다 imagefile [2] 홍창욱 2011-10-25 54449
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가 커서 아빠를 원망하진 않을까? imagefile 홍창욱 2011-10-18 29027
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전업육아 다이어리를 열며 imagefile [8] 홍창욱 2011-10-12 75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