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8.JPG

 마흔 한살에 낳은 막내가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여덟살, 열살, 열 다섯살 세 아이 모두 학생이 된 것이다.

15년 육아 인생에 퍽이나 의미있는 날 이라고 할 만 하다.

 

첫째도 아니고 셋째, 그것도 여자아이다보니 입학식에 가는 마음이 몹시 느긋했다.

오빠와 언니를 겪었다는 여유와 병설유치원을 2년간 다니며 늘 기대 이상으로

잘 해 준 막내를 알기에 마음이 편했다. 생각해보면 참 감사한 일이다.

 

014.JPG

 

남자아이 열 다섯에 여자 아이 열 한명, 모두 스물여섯명의 1학년 아이들이 모인 공간은

난리법석이다. 자기 이름이 적혀있는 책상을 찾아 앉는 것 부터 다양한 풍경이 펼쳐진다.

안 앉겠다고 고집 부리는 아이, 엄마보고 옆에 꼭 있으라고 당부하는 아이, 앉자마자

친구들과 장난을 치는 아이, 뒤쪽에 서 있는 부모만 보고 있는 아이 등

처음 모인 1학년 교실은 아이들의 흥분과 불안, 부모들의 기대와 염려가 터질듯이

부풀어 있는 풍선처럼 꽉 차 있다.

 

둘째와 셋째를 입학시키는 엄마들은 여유롭게 지켜보고 있지만 입학하는 아이가

첫 아이가 분명한 엄마들은 표정에서부터 티가 난다.

특히 첫 아들을 입학시키는 엄마들의 안절부절한 표정은 오래전의 내 모습과 닮아서

마음이 짠 했다.

아이들이 속속 도착하는 대로 자리에 앉고 교사가 아이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뒤쪽에 앉은 한 남자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며 울음을 터뜨렸다.

그 아이 엄마는 당황과 부끄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으로 우는 아이를 안고 일어섰다.

근처에 서 있던 몇 몇 엄마들은 뜨악한 표정으로 얼굴이 굳어졌다.

그 장면을 지켜보던 경력 많은 엄마들 셋은 입을 맞춘 듯이 이렇게 외쳤다.

"정상!!"

 

"그럼, 그럼.. 이래야 1학년 교실이지. 누구 하나 울어주는 건 당연하고,  정신없고

어수선한거야 당연 정상이지"

우린 그런 얘기를 하면서 웃었다.

 

첫 아이 입학시킬 때에는 내 아이가 아닌 다른 아이의 돌발행동에도 깜짝 깜짝 놀랐다.

애를 어떻게 키워서 저렇게 행동하나.. 놀랍기도 하고, 저 아이 때문에 1년이 힘들지

않을까... 의혹에 찬 시선을 던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젠 안다. 아무런 문제가 없어도 낮선 상황과 장면에서는 누구든 저런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자연스럽게 봐 주면 아무렇지 않다는 것도..

 

다목적실에서 진행된 입학식에서 교장 선생님은

"우리 학교는 무엇보다 자연이 참 좋습니다. 여름에는 개구리도 만날 수 있고,  가끔은 뱀도

마주칠 수 있는 곳이지만 결코 위험하지 않습니다. 겨울에 학교 뒤의 사택에 놀러오면

교장선생님이 고구마도 구워줄께요."하며 웃으셨다.

그 맛있는 고구마를 병설유치원 다니는 동안 막내는 이미 대접받은 경험이 있다.

언제나 열려있는 교장실, 친구처럼 편안하게 교장 선생님을 찾아가는 아이들,

친절하고 열정적인 선생님들.. 그리고 동생들을 잘 챙겨주는 선배 언니, 오빠들..

두 반씩 밖에 없는 작은 학교지만 그래더 서로 가족같이 가깝게 챙겨주는 학교 생활이다.

참 좋다.

 

021.JPG

 

막내의 담임 선생님은 올 해 이 학교에 처음 오신 분이었지만 10년 이상의 교직 경력이 있는

베테랑이셨다.

직접 동요를 작곡 하시고 아이들과 함께 동요를 만들어 가는 일을 좋아하시는 멋진 분이다.

동요와 동시를 많이 접하고 부르고 읽는 활동을 소중히 여기시는 분을 만났다.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키워 나가는 교육을 하겠다는 말씀도 감사했다.

 

막내의 새 학교생활이 시작되었다.

설레고, 기대에 찬 내 1학년 학부모의 날들도 시작되었다.

학교와 선생님을 믿고,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에 대한 철학들을 존중하며 막내가 열심히

새 생활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만큼 좋은 학부모가 되는 일에 몸과 마음을 모아 보자고

다짐한다.

 

막내야, 입학 축하해.

재밌고 신나는 날들이 펼쳐질꺼야..

같이 가보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09527/dfd/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35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과 스마트폰, 그리고 나의 투쟁 imagefile [5] 신순화 2017-03-29 12084
3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버님이 돌아가셨다 imagefile [14] 신순화 2017-03-22 13374
3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트와이스'가 둘째를 울리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3-08 14631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셋째가 입학했다!! imagefile [5] 신순화 2017-03-02 13143
34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월이 흘러도 역시 숨바꼭질!! imagefile [2] 신순화 2017-02-22 11890
34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늙고, 아프고, 약한 존재들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들 imagefile [2] 신순화 2017-02-16 11534
3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와 다른 사람이 소중한 이유 imagefile [2] 신순화 2017-02-07 13701
3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의 '어린이' 권리 획득!! imagefile [3] 신순화 2017-02-01 13991
3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부모를 돌보는 일 imagefile [6] 신순화 2017-01-25 13105
3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와 겨울 방학 생존기 imagefile 신순화 2017-01-18 9469
3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50년 만에 잡은 아버지 손 imagefile [6] 신순화 2017-01-11 14730
33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에게 받은 '잔소리의 제왕상' imagefile [10] 신순화 2017-01-03 14434
3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고맙다, 다 고맙다. imagefile [2] 신순화 2016-12-29 13757
3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래도, 아직은, 산타!!! imagefile [4] 신순화 2016-12-22 14937
33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천천히, 오래, 꾸준히 imagefile [1] 신순화 2016-12-15 12823
3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580
33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1
33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396
3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잇값을 생각하다 imagefile 신순화 2016-11-04 74201
3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싸우는 부모, 아이들 눈엔 imagefile [8] 신순화 2016-10-26 27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