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순화_1.png

 

아들은 열 네살 12월을 보내고 있다.
여전히 레고와 마블을 좋아하고, 게임과 웹툰을 무척 사랑하며,

맛있는 음식에 대한 열정은 어릴때나  지금이나 한결같은 녀석이다.

윤정이와 함께 종일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온 날, 모처럼 잠실의 남편 회사 근처에서

온 가족이 함께  저녁을 먹고 전철로 돌아왔다.

아들은 내 앞자리에 앉아 교보문고에서 산 마블 책에 빠져 들었다.

덕분에 아들 사진 하나 슬쩍 찍을 수 있었다.


아들이 커가는 모습은 내겐 여전히 신비롭다.

첫 아이 이기도 하고, 여자인 내가 겪어보지 못한 과정이어서 더 그럴 것이다.
열 다섯살을 앞두고 있는 아들은 소년과 청년 사이, 그 어디쯤에 서 있는 것 같다.
과자를 가지고 어린 여동생들과 다툴때는 아직도 철부지 같지만

매일 아침을 먹으며 신문을 읽고,  시국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다 큰 어른 같을 때도 있다.
변함없는 건 어릴때나 지금이나 엄마를 아주 아주 좋아한다는 것과,

잠들기전 학교 가기 전에 꼭 내가
안아주고 뽀뽀해주길 바란다는 것이다.

 

신순화_2.png

 

아들 모습을 엿보다가 잠시 까무룩 잠이 들었는데 갑자기 누군가 내 어깨에 머리를 기대와서

 화들짝 놀라 깨었다.
어느새 아들이 내 옆자리로 옮겨 앉아있었다.

제 키가 한참이나 더 큰데도, 기댄다면 내가 녀석의 어깨에 기대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데도

아들은 기어코 자세를 낮추어 제 머리를 내 어깨에 기댄채로 책을 보고 있다.

그래서 나도 아들의 머리에 내 머리를 기대었다.
아들은 살그머니 내 손을 가져다 쥐었다. 크고 섬세한 아들의 손이 따듯했다.
우린 그렇게 나란히 앉아 연인들처럼 서로에게 기댄체 깍지낀 손을 어루만졌다.
오래전에 우리가 한 몸이었던 때처럼 그 순간 우리는 서로에게 꼭 포개어 있었다.
마음으로 밀물처럼 뿌듯한 행복감이 차 올랐다. 가슴마저 부풀었다.

이 순간 만큼은 더 이상 부러운 게 없을만큼 완전한 행복이었다.

첫 아이란 엄마에게 참 애틋한 존재다.
부모로서 엄마로서 가장 서툴고, 가장 무력하고, 가장 부족할때 첫 아이를 만나게 되니,

기르는 시간 내내 도리없이 서툴고, 무력하고, 어렵기 마련이다. 나 역시 그랬다.
이쁜데도 힘들고, 좋은데도 막막하고, 감사하면서도 어려웠다.

내가 낳은 아이인데도 모르겠고
내가 엄마인데도 어떻게 해야 좋은지 알 수 가 없던 때는 또 얼마나 많았을까.

첫 아이를 키우는 일이란 지도 없는 길을 가는 것과 같았다.

늘 좋은 풍경을 기대하지만 기대는 아주 쉽게 어긋나곤 했고, 수없이 낮선 길 위에서 두렵고,

막막하고, 겁이 나곤 했다.
아이를 내가 키운 줄 알았지만 돌아보면 아들이 내 손을 잡고 나를 이만큼 부모로, 엄마로 만들어가며
데려와 주었다. 아들이 길잡이가 되어서 동생들은 조금 더 수월하게 키워 올 수 있었다.

아들은 지금도 엄마인 내게 많은 것을 의지한다. 아직도 이렇게 기대는 것이 많냐고, 언제쯤
너 혼자 설 거냐고 툭하면 불평하고 화를 내기도 하지만 아들은 모를 것이다.
내가 얼마나 제게 의지하고 기대고 있는지..

가만 가만 아들의 손을 어루만지며 내 뺨으로 느껴지는 아들의 까슬한 머리카락을 느껴가며
나는 모든 것에게 감사했다.
이 어지러운 날들 속에 우리가 함께 있고, 여전히 서로에게 기대고 있고, 서로를 마음 깊이
사랑하고 있다는 것으로 이미 충분하고, 이미 다 가지고 있다는 것을, 더 바라면 죄 라는 것을
마음 깊이, 마음 깊이 새기었다.


 

신순화_3.png


이면우 시인은 '오늘 쉰이 되었다'라는 시 속에서 이렇게 읊었다.

- 쉰 전, 늦게 둔 아이를 내가 키운다고 믿었다. 돌이켜보면
그 어린 게 날 부축하며 온 길이다. 아이가 이 구절을
마음으로 읽을 때쯤이면 난 눈썹 끝 물방울 같은 게
되어 있을 게다 -

나도 머지 않아 쉰이 된다.
이젠 시인의 그 마음이 내 마음이라는 것을 알겠다.
아들과 나는 서로 기대어 서로의 손을 잡고 이때까지 걸어 왔다.
앞으로도 한참은 더 같이 걸어 갈 것이다.
언젠가 각자의 삶을 살게 되더라도, 우린 늘 서로의 삶을 부축해주는 존재일 것이다.
마음을 포갠체, 보이지 않는 손은 결코 놓지 않은체 같이 갈 것이다.

잠실에서 사당까지 오는 동안 나는 아득한 생의 한 자락을 걷고 있는 기분이었다.
이 시간이 좀 더 길었으면... 이라고, 나는 젊은 날 사랑에 빠졌을 때나 해 보던 생각을
새삼 해 보기도 했다.

내려야 할 역이 가까와 오자 아들은 용수철 처럼 힘차게 일어서 문 쪽으로 걸어갔다.
내 어깨 위에 놓여져 있던 그 따스한 무게를 나는 한참은 더 마음으로 품어가며
늦은 밤 집으로 돌아왔다.
가슴 속에 켜진 빛 하나.. 오래 오래 꺼지지 않았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78766/e2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35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과 스마트폰, 그리고 나의 투쟁 imagefile [5] 신순화 2017-03-29 12108
3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버님이 돌아가셨다 imagefile [14] 신순화 2017-03-22 13410
3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트와이스'가 둘째를 울리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3-08 14661
34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셋째가 입학했다!! imagefile [5] 신순화 2017-03-02 13165
34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월이 흘러도 역시 숨바꼭질!! imagefile [2] 신순화 2017-02-22 11912
34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늙고, 아프고, 약한 존재들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들 imagefile [2] 신순화 2017-02-16 11568
3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와 다른 사람이 소중한 이유 imagefile [2] 신순화 2017-02-07 13735
3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의 '어린이' 권리 획득!! imagefile [3] 신순화 2017-02-01 14022
3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부모를 돌보는 일 imagefile [6] 신순화 2017-01-25 13153
3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와 겨울 방학 생존기 imagefile 신순화 2017-01-18 9489
3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50년 만에 잡은 아버지 손 imagefile [6] 신순화 2017-01-11 14776
33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에게 받은 '잔소리의 제왕상' imagefile [10] 신순화 2017-01-03 14468
3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고맙다, 다 고맙다. imagefile [2] 신순화 2016-12-29 13781
3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래도, 아직은, 산타!!! imagefile [4] 신순화 2016-12-22 14967
33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천천히, 오래, 꾸준히 imagefile [1] 신순화 2016-12-15 12853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606
33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47
33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428
3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잇값을 생각하다 imagefile 신순화 2016-11-04 74419
3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싸우는 부모, 아이들 눈엔 imagefile [8] 신순화 2016-10-26 27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