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딸.jpg


"와, 아빠 왔다!!"

밤 늦게 퇴근한 남편에게 두 딸들이 달려든다.

딸들은 서로 밀쳐가며 아빠한테 안기려고 야단이다. 남편은 둘을 안아주고

입술을 내미는 딸들에게 뽀뽀도 해 준다.

"나두"

딸들 뒤에 서 있던 내가 팔을 벌리고 입술을 쭉 내밀고 다가가니

남편은 건성으로 안아주는 시늉만하고는 방으로 들어간다.

그 시늉도 제대로 안 해주고 그냥 휙 지나치는 일이 더 많다.


이부자리를 펴면 거실에서 자는 딸들 사이에 누워서도 얼마나 깨가 쏟아지는지 모른다.

서로 저를 재워 달라고, 가운데 누운 아빠를 큰 딸은 등으로 껴안고,  막내딸은

아빠 얼굴을 제 얼굴로 끌어 당기며 안고 잔다.

아이들 먼저 재우고, 집안 정리 끝나고 씻고 나오면 남편도 그 사이에서 잠들어 있기

일쑤다.

슬쩍슬쩍 깨워가며 나랑 자자, 빨리 안방으로 와.. 해 보지만

남편은 귀찮은듯이 내 손길을 밀어댄다.

새벽같이 출근해서 밤 늦게 퇴근하는 남편하고 단 둘이  있을 수 있는 게

고작 같이 자는 시간 뿐인 마누라는 그 시간을 고대하는데 남편은 딸들 사이에서

달게 잠들고는 다시 일어나기 싫어한다.

흥.. 미워죽겠다.

가끔 남편에게 푸념한다.

"딸들에게 하는 것 만큼만 마누라좀 사랑해봐"

남편은 피식 웃기만 한다.


모든 표현이 대체로 서툴지만 특히나 애정표현 하는 것엔 참으로 서툴었던

남편이었다.  표현에 적극적인 나는 늘 말로, 스킨쉽으로 넘치게 들려주는데

돌아오는 표현이 없으니 가끔 서운하다.

그런데 남편은 딸들에게는 곰살맞고 다정하다.

한마디로 딸들을 너무나 이뻐한다.

이해는 할 수 있다.

열다섯 아들도 이쁘겠지만 물고 빨고 할 수 있는 나이는 이미 한참전에 지났고

여전히 안아달라고 하는 아들이지만 아빠보다 큰 아들을 안아주는 것도

어색해서 남편은 슬쩍 몸만 둘러주고 빼게된다.

아빠한테 핸드폰을 빌릴때만 고분고분하다가 제가 원하는대로 안 해주면

 버럭 성질을 내며 제 방 문을 꽝 닫아 버리는 아들이다.

마누라는 사랑한다는 말도 잘하고 안아 달라는 말도 잘 하지만, 애정표현보다

더 넘치는 잔소리가 있다.  안아달라고 매달렸다가도 돌아서면 또 무슨

꼬투리를 잡아 잔소리를 할지 모른다.


그러나 딸들은 다르다.

애정만 넘치게 준다. 잔소리도 없다. 아직은 품에 쏙 들어온다.

무엇보다 아빠를 언제나 열렬히 환영해준다.

여전히 아빠가 저를 재워주기를 원한다.

내가 남편이라도 마음이 저절로 흘러갈 것 같다.


그래서 아빠와 딸들은 늘 자기들끼리 무언가를 도모한다.

잠깐 볼 일이 있어 외출하는 남편에게 딸들이 달려나가 귓속말로

뭔가를 소근거리면 남편은 웃으며 고개를 끄덕한다.

돌아올땐 어김없이 양손에 과자가 한 아름이다.

"생협 과자 사다놨는게 마트 과자는 왜 또 사와!"

마누라의 불호령이 떨어져도 소용없다.

남편은 딸들과 셋이 앉아 바사삭 바사삭 맛나게 먹는다.

흥... 그런 과자 먹으면 애들 피부만 안 좋아진다고!!

궁시렁거리다 나도 같이 앉는다.

안 좋은건 빨리 먹어 없애야지, 나도 좀 줘.

이런 나를 보고 남편과 딸들은 같이 웃는다. 

쳇.. 모양 빠진다.


애들이 갖고 싶어 하는 물건도 나는  사주기전에 신중에 신중을

기울이는데 엄마한테 안 통하는 것도 아빠한테 말하면 바로 나온다.

타협을 해서 저렴한 것으로 사주려하면 남편은 기왕 사 주는거

좋은걸로 해주라며 비싼것으로 결재한다.

엄마는 핸드폰을 쓰게 하는 일에 아주 엄격하지만 아빠는 주말이면

딸들에게 핸드폰으로 아이돌 관련 영상을 찾아보게 해 준다.

이러니 딸들이 엄마보다 아빠를 더 좋아하는게 당연하다.


내가 금지하는 것을 남편이 쉽게 허용해주거나, 내가 안 된다고 한 것을

남편이 하게 할때는 가끔 싸울때도 있지만 사실은 딸들과 아빠 사이가

좋은 것이 나도 좋다.

확실히 딸들은 사람 감정을 더 잘 살피고, 마음을 표현 하는 것에도

더 능숙하다. 아들 하나만 키웠더라면 서로 부벼대며 깔깔거리는 기쁨은

애진작에 사라졌을 것이다.

사춘기 아들이 제 방에 틀어박혀 있다가 퇴근하는 아빠한테 고개만

꾸벅하고 다시 방으로 들어가도 딸들은 마당까지 달려나와 아빠 품에

안기며 환영해주니 얼마나 뿌듯할까.

늦게 아이를 낳고, 그 마저도 터울이 길게 세 아이를 낳고 보니

연년생으로 낳아서 한번에 힘들고 말아야 하는데 언제 키우냐고

주변에선 염려가 많았지만 쉰이 넘은 남편에게 아직도 뺨을 부벼대고

품에 꼭 안기는 어린 딸이 있다는 것이 감사한 요즘이다.

아이들 다 커서 제 세상속으로 들어가버리고 부부만 남아서 썰렁한

시간을 보내는 내 또래 부부들을 돌아보면 아직도 어린 아이가 있어

물고 빨며 이뻐하고 사랑주고 사랑받으며 지낼 수 있는 것도 큰 복이다.


딸들은 흰머리가 많고 배가 나온 아빠가 잘 생겼다고, 멋지다고 추켜세운다.

만드는것도 잘 하고, 자기들이 원하는 것도 잘 사주시는 마음씨 넓은

좋은 아빠란다.

늙어가는 아빠가 어린 딸들에게 이렇게 사랑받고 있으니 고맙다.

내년에 열두살이 되는 큰 딸은 조금씩 아빠와 거리를 두려 할지도 모르겠지만

아직 1학년인 막내가 막강한 애정을 퍼 붓고 있으니

남편의 행복한 시간은 조금 더 길어질 듯 하다.


딸들이 아빠보다 남친을 더 좋아하게 되면......


그때야말로 내가 이뻐해주지 뭐..


여보..

믿는 구석이 있으니 마누라한테 더 틱틱거리는거야?

지금은 마누라보다 딸들이 더 좋지? ㅋㅋ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56474/95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39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손톱이 자랐다, 마음도 함께 자랐다 imagefile [8] 신순화 2018-01-19 10434
38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 가족이 한 해의 마지막 날을 보내는 방법 imagefile [9] 신순화 2018-01-01 14289
38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삼천번 절은 못 했지만... imagefile [2] 신순화 2017-12-26 11695
38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돌을 좋아하는 딸들에게 image [1] 신순화 2017-12-20 9692
38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리컵에 대한 아이들과의 토크 image [9] 신순화 2017-12-12 13193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누라보다 딸이 더 좋지? imagefile 신순화 2017-12-05 11357
38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7년의 사랑, 그리고 이별 imagefile [4] 신순화 2017-11-28 10734
38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파 다듬다 울었다 imagefile [8] 신순화 2017-11-23 13321
38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흔들렸다 imagefile [1] 신순화 2017-11-17 8784
38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일곱, 사랑에 빠지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11-09 11739
38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르지 않는 내 노다지 imagefile [1] 신순화 2017-10-31 10372
37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를 일깨우는 꼬마 시인 imagefile [6] 신순화 2017-10-17 9075
3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빨래, 그래도 별 탈 없다 imagefile [3] 신순화 2017-10-12 9585
37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런 제사, 어떨까? imagefile [3] 신순화 2017-10-10 12014
37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는 서로 만나 무얼 버릴까 imagefile 신순화 2017-09-25 10828
37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좋아서 하는 공부 imagefile [1] 신순화 2017-09-19 24242
3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짜증과 예술사이 imagefile [4] 신순화 2017-09-10 10053
37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보이지 않는 것들이 우리를 이룬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9-01 9926
37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생리 이야기 해 보자! imagefile [4] 신순화 2017-08-22 16052
37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굳이 이렇게 한다 imagefile [7] 신순화 2017-08-18 1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