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열두 살이었던 한 여자 아이가 한 남자 아이와 그의 친구들로부터 윤간을 당했다‘착한’ 가톨릭 신도였던체구가 작고 똑똑했던 아이는그 일 이전의 삶을 모두 버렸다신이 정말로 존재한다면 자신에게 그런 일이 벌어지는 걸 가만 두었을 리 없다고 생각한 아이는 신에 대한 믿음도스스로에 대한 믿음도 모두 버렸다경제적으로 풍족하고 정서적으로 충만한 집안에서 자랐지만아이는 그 일을 겪고도 누구에게도아무런 내색도 할 수 없었다엄마 아빠도주변 누구도 몰랐지만아이는 스스로에 대한 모멸과 자괴감으로 자신을 갉아먹고 있었다


그 때부터 아이는 끝없는 허기에 시달렸다무엇으로도 채워지지 않을 몸과 마음의 공허함을 물리적으로 채울 수 있는 건 음식 뿐이었으므로아이는 먹고먹고또 먹었다점점 체구가 커졌다몸집이 커질수록 묘한 안정감을 느꼈다몸이 크고 무거워질수록 자신의 몸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달라졌고작은 몸보다 큰 몸이 여자로서 살아가는 데 더 안전하다고 느꼈다몸은 순식간에 통제 불능의 상태에 빠졌다이십대에 250kg이 넘는 초고도비만의 상태에 빠져버린 몸은 이제 무엇으로도 제자리에 돌려놓을 수 없게 되었다다이어트를 할수록운동을 할수록최신 의학에 기대어볼수록스스로에 대한 경멸과 자괴감은 더해갔다이렇게까지 달라져버린 자신을 이해할 수 없다가도어느 순간 너무나도 이해가 되었고또 그 이해의 찰나가 다시 못마땅해지는 순간이 찾아오기를 반복했다.자신의 거대한 몸을 보고 비난하는 사람들의 시선에그 모든 것의 시작이었던 열두 살 때의 사건에 대해 한없이 자책하며 괴로웠던 그는, 40대에 들어선 지금에야 스스로를자신의 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스스로 편안해질 수 있는 길을 찾았다내가 살고 있는 바로 이 동네 대학에서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작가 록산 게이(Roxane Gay)의 이야기다자신의 몸에 숨겨진 ‘이야기’를 모른 채 그의 몸만을 보는 사람들그런 사람들의 시선을 때로는 체념하듯 받아들이고그보단 자주 그 시선과 거기 담긴 부당함을 온 몸으로 저항하고 거부하며 살아온 한 사람그의 책<헝거>(Hunger)를 읽으며여성의 몸, (엄마가 된나의 몸그리고 완벽하지 않은 몸으로 태어난 내 아이를 생각했다.

나는 체구가 작은 편이었다. 160cm가 채 안 되는 키에얼굴이 작고, 20대 내내 50kg 조금 못 미치는 체중을 유지했다. 외모에 신경쓸 여유가 없기도 했지만, 천성이 워낙 외모를 꾸미는 데 관심이 없는 천성이어서 내 몸에 특별히 신경 쓰며 살아본 적이 없다. 물론 그건 특별히 체중이 늘지도, 줄지도 않는 체질의 소유자여서 가능한 일이기도 했다임신 중에도 사람들이 ‘배만 나왔네! 할 정도로 다른 데는 붓거나 살이 찌는 현상이 없었다그러다 임신 후반부체중이 10kg 가까이 늘었고출산 후엔 거기서 정확히 아이의 몸무게를 뺀 만큼의 무게가 내게 그대로 남았다아이를 낳고 홀쭉해진 배가 탄력 없이 쭈글쭈글한 모습 그대로 내 몸이 되어 정착하는 걸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출산 후 6개월 넘게 유축 모유로 모유 수유를 하고 쉴새없이 움직여대는 아이를 들쳐 안고 내내 걷고 움직이며 돌아다녀도 체중은 줄지 않았다하지만 그 충격은 잠시였다내겐 짝짝이 다리로 태어난 아이가 있었으므로내 몸보단 아이의 몸이 더 애달팠다망가진 내 몸보다는 내 아이의 완벽하지 않은 몸이 먼저였고더 신경 쓰였고더 마음 아팠다하지만 1, 2시간이 지나고 아이의 완벽하지 않은 몸고칠 수 없는 몸을 천천히순순히 받아들여가는 한편에는 망가진 내 몸쭈글쭈글한 머핀탑(muffin top: 복부 언저리에 머핀 윗부분처럼 둥그런 챙이 생긴 모양을 가리키는 말)이 되어버린 내 아랫배에 대한 혐오가 불쑥 불쑥 목구멍을 치밀어 올랐다이런저런 핑계를 대가며 남편과의 섹스를 피하거나 거부하던 때내 머핀탑 뱃살은 그 여러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다그리고 한편으론 아이의 완전하지 않은 몸은 받아들이면서나의 달라진 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내 모습이 한심하고 이기적으로 느껴졌다.


괜히 의기소침해졌다이십대 내내 생계 유지하느라 바빠 외모엔 전혀 신경 써 본 적이 없는데출산 후 달라진 몸 때문에 이렇게까지 자존감이 떨어지다니우습기까지 했다뭐든 혼자서도 잘 하는 사람인데달라진 몸에 대한 나의 자괴감은 유독 혼자 극복하기 어려웠다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의 지지가 필요했다그리고 내게 물리적으로나 심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는 사람은 남편 뿐이었으므로남편에게 털어놓는 수밖에 없었다다행히 남편은그걸 해 줄 수 있는 사람이었다그는 원래 나이가 들면 사람 몸이란 더 그렇게 되기 마련이고아이를 품었다 낳은 몸이 예전과 똑같을 수는 없을거라며 나를 위로했다그러면서 ‘이제는 흔적만 남은’ 자신의 ‘한때 식스팩’이라든가늘어가는 흰머리를 굳이 헤집어 보이며 달라져가는 우리의 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게 했다운동을 권할 때도체중을 줄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노년의 건강을 위해서 내가 좋아하는 방식의 운동을 조금씩 해 나가면 되는 거라며 나의 심적 부담을 덜어주었다그리고 ‘몸매 관리’에는 돈과 시간이 들 수밖에 없는데지금 우리 형편엔 돈도 시간도 여유가 없으니 달라진 ‘몸매’에 대해 자괴감을 갖기보단 오래 쓸 건강한 몸을 만들어가는 데 신경을 쓰자고도 했다그렇게 함께 이야기하는 동안 내 달라진 몸에 대한 자기 혐오는 천천히조금씩 수그러들었다.


출산 후달라진 몸에 대해 남편과 함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나는 내 엄마를 떠올렸다내 기억 속 엄마는, 20년 가까이를 ‘다이어트’에 대한 심리적 압박에 시달린 사람이었다못 먹고 못 살던 학창시절핏기 없이 창백한 얼굴을 한허약하고 마른 몸에 가까웠던 엄마의 몸은 두 아이를 낳고 ‘독박 육아’를 하는 세월 동안 많이 달라졌다내가 기억하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엄마 아빠는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일하느라 육아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을/못했을 아빠는 아마 엄마의 달라진 몸에 대해서도 그 이유는 생각하지 못하고 현상만을 보고 비난했을 것이 분명했다게다가 아빠와 엄마는 식사량이나 식습관에 관한 한 거의 서로 반대 수준이었는데아빠는 늘 말랐고 엄마는 늘 몸집이 커서 서로에게 반감이 컸다엄마 아빠를 오랜만에 한 자리에서 보는 친척친구 등 주변 사람들의 시선도 큰 몫을 했을 게다수영을 꾸준히 하고 몸 쓰는 식당일을 몇 년씩 하는 와중에도 엄마의 몸은 좀처럼 달라질 줄 몰랐고엄마는 그런 자신의 몸을 두고 때로는 미워했고때로는 동정했으며자주 허탈해했다.


우리 사회에서 몸특히 여성의 몸은 언제나 잔혹한 평가의 대상이 된다그 중에서도 최악은 몸이 큰 여성들에 대한 평가다몸집이 큰 여성들에겐 자기 관리를 못한다게으르다식습관이 좋지 않다등 부정적인 평가가 꼬리표처럼 붙는다실제로 그의 생활이 어떤지 전혀 알지 못해도 그렇게 쉽게 얘기되고그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된다아이 엄마가 된 뒤 예전의 모습을 찾지 못하는 여성들에 대해서도 그렇다애초에 '예전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는 데에 녹아 있는 강박도 문제지만엄마들에게 '집에 들어앉아 애나 보면서 자기 관리도 안 한다', '애 보는 일이 편해서 그런다', '애들이랑 똑같이 간식을 먹어서 그런다', 등등의 말도 안 되는 추정들을 쏟아내는 사람들도 많다하지만 정말로 집에 들어앉아 육아를 해 보면 안다아이와 함께 있는 시간 동안 몸매 관리는커녕 눈꼽 뗄 여유도 없이 하루 종일 동동거리는 것이 엄마의 삶이라는 것을아이를 데리고 수시로 놀이터를 들락거리는철저히 아이의 잠과 밥용변 욕구와 놀이 욕구에 따라 움직이는 삶을 살다 보면 나도 모르게 옷을 뒤집어 입은 채 외출을 하고헝클어진 머리를 가다듬을 여유도 없이 집 밖을 돌아다니기 일쑤다낮잠도 밤잠도 꼭 누군가 붙어 누워야 편안하게 잠드는 아이 때문에 옆에 누워 늦도록 아이를 토닥이다 결국 함께 잠들어버리는 일도 허다하다운동 부족근력 부족으로 몸이 아파 짬짬이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이라도 하고 싶어도 아이가 곁에 있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엄마가 하는 요가 동작마저 재미있어 보인다며 같이 하길 원하거나 업어달라 안아달라 방해하는 아이 옆에서 대체 나의 ‘몸매’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나의 달라진 몸에 대해 어떤 평가도 함부로 하지 않는 나의 남편은본인이 저녁마다주말마다 꼬박꼬박 육아를 도맡아 하기 때문에 ‘엄마’의 현실을 조금이나마 안다아이에게 꼬박꼬박 하루 두어시간만 시달려도 쉬이 피로해진다는 것을 아는 그는내가 집안일을 미뤄두고 정말 게으르게 쉬어도 그런 나를 ‘게으르다’고 말하지 않는다오히려 저녁 식사 직후 아이에게 ‘오늘의 만화’ 시간을 주고 설거지를 할 때나 아이를 씻길 때남편은 늘 내게 “가서 좀 쉬어” 하고 말한다아이가 쉴 때 쉬어두지 않으면아이가 먹을 때 같이 먹어 두지 않으면 엄마는 쉴 때와 밥 때를 놓치기 십상이라는 걸 그는 안다아이와 밥을 먹다 보면 제 속도대로 먹을 수 없어 순식간에 밥을 후루룩 삼켜야 할 때가 있다는 것도때로는 밥을 먹다 말고 아이 용변을 처리하거나 엎질러진 밥상을 치우느라 식사를 어중간하게 끝낼 때가 있다는 것도 안다본인도 아이 낮잠밤잠을 재우다 함께 잠들어버리는 날이 있기에그런 나를 이해하고도 남는다게을러서식습관이 나빠서운동을 안해서가 아니라‘엄마’ 일을 하다보면 쉽게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걸 아는 것이다.


누군가의 몸에 숨겨진 이야기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차이가 크다평생을 다이어트에 대한 압박에 시달렸던 내 엄마의 몸에 숨겨진 이야기를나는 몰랐다엄마의 몸에엄마의 생활 습관과 식습관에 숨겨진 이야기를나는 알 방법도알 필요도 없었다물론 지금도 안다고는 말할 수 없다물어본 적도 없고엄마가 말해 준 적도 없으므로하지만 내가 누군가의 ‘엄마’로 살아보니 조금은 알겠다왜 나의 엄마가 그토록 오랫동안 다이어트에 집착했는지왜 그렇게 열심히 수영을 하고 고된일을 해도 엄마의 몸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는지왜 아빠는 끝끝내 모를 수밖에 없었을지도그리고 또 알겠다두 아이를 혼자 돌보며 숨통 트일 데라곤 동네 문화센터 밖에 없었을 그 때왜 엄마는 그렇게 열심히 우리를 데리고 밖으로 다녀야 했는지왜 그렇게 바깥 음식을 자주 사 먹였는지그러면서도 집 밥을 먹을 땐 또 왜 그렇게 푸짐하게 상을 차려냈는지그리고 어린 아이 둘을 키우는 그 기간 동안누구도 아무것도 알아주지 않는 텅 빈 시간 속에서 정서적으로 얼마나 심한 공허와 허무를 느꼈을지도하지만 이런 걸반드시 똑같은 경험을 해 보아야만 알 수 있는 건 아니다우리가 각자 자신의 몸에 대한 이야기를 어떤 판단이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낌 없이 꺼내 놓을 수 있고서로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면그걸로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그랬을 때 비로소 우리는 우리 자신의 몸을 스스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마른 몸, 커다란 몸, 달라진 몸에 대해, '정상' '비정상'의 잣대를 들이대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자신에게 편안하고 흡족한 방식으로 몸을 가꾸어갈 수 있다.


록산 게이는 자신의 이야기를자신의 몸을 만들어 온 그 이야기를 자신의 말로글로 풀어내면서야 비로소 자기 몸에 대한 혐오와 연민을 떨어낼 수 있었다고 고백한다오랫동안 숨겨왔던 이야기가 부모님의 귀에까지 들어갔을 때그는 그토록 오랫동안 듣기를 원했던그러나 결코 드러내놓고 구할 수 없었던 그 말“그건 네 잘못이 아니야”라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그리고 그것으로 마침내 조금쯤은 자유로워졌다고 털어놓는다그리고 또한 고백한다커다란 몸‘비정상적인 몸’을 가진 흑인 여성으로 살면서 겪은 많은 일들때로는 한없이 부당하고 때로는 역겹기까지 했던 그 많은 일들 덕분에 비로소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확장하고‘다른 몸’에 숨겨진 진실들을 마주할 수 있었다고그래서 나는 우리 주위에도감상하기에 예쁜 ‘몸매’에 대한 기준과 품평이 아닌여성의 몸엄마의 몸아니 여성이고 엄마이기 전에 '한 사람'으로서 그의 몸을 구성해 온 삶그에 대한 ‘이야기’들이 더 많이 쏟아져 나왔으면 좋겠다그래서 우리가 한 사람을 그의 ‘몸매’가 아닌 그가 살아온 삶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좋겠다그래서 나의 엄마도나도나의 아이도우리의 불완전한 몸과 화해할 수 있다면 좋겠다그래서 또 다른 불완전한 몸들과 기꺼이 함께 살아갈 수 있다면그럴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KakaoTalk_20171026_085617967.jpg


<엄마와 함께 있는 예쁜 모습을 그려달라는 부탁에 아이는 꽃을 든 우리를 그렸다. '예쁜 우리'가 아니라 '예쁜 꽃'을 들고 웃고 있는 우리를 그린 아이에게서, 나는 또 배운다.>  

 


---

읽은 책


록산 게이(Roxane Gay), Hunge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49358/dd0/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여성의 몸, 엄마의 몸 imagefile [6] 서이슬 2017-10-27 13242
196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아이의 러브라인을 응원해본다 imagefile [1] 홍창욱 2017-10-25 8844
1963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자전거 역설, 육아의 역설 imagefile [4] 정은주 2017-10-23 9168
1962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암 아내 챙기는 말기 암 남편 imagefile [8] 강남구 2017-10-21 14755
196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를 일깨우는 꼬마 시인 imagefile [6] 신순화 2017-10-17 9190
1960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누구에게나 있는 것 imagefile [4] 서이슬 2017-10-16 9652
195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와 함께 하는 여행, 선택권 주고 욕심 줄이고 imagefile [6] 양선아 2017-10-16 11621
19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빨래, 그래도 별 탈 없다 imagefile [3] 신순화 2017-10-12 9725
1957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육아, 엄마식 아빠식 imagefile [6] 박진현 2017-10-10 21297
19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런 제사, 어떨까? imagefile [3] 신순화 2017-10-10 12191
195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내가 외로운 이유...관계의 깊이 imagefile [2] 강남구 2017-10-10 10021
195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빠를 부탁해 image [1] 정은주 2017-10-09 9529
1953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즐거운 나의 집 imagefile 서이슬 2017-10-07 7069
195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두물머리에서 imagefile [3] 정은주 2017-10-01 8090
195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와 함께 한 첫 초등운동회 imagefile 홍창욱 2017-10-01 7803
1950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매일 엄마와 이별하는 아이들 imagefile 안정숙 2017-09-27 11057
19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는 서로 만나 무얼 버릴까 imagefile 신순화 2017-09-25 10985
1948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비상이 발생했습니다." imagefile [2] 강남구 2017-09-24 13347
194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왜 낳은사람이 꼭 키워야 하지? image [2] 정은주 2017-09-22 7668
194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너를 사랑하는 만큼 나를 사랑하고 싶다 imagefile [2] 최형주 2017-09-21 9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