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다엘

국외 입양인이 불행하다는 편견

한국 태어나 미국 입양된 20여명, ‘국외 입양은 아동학대’ 주장에 고개저어

제1202호
 
국외 입양인이 찍어준 나와 다엘의 사진. 정은주

 

평창겨울올림픽 응원차 미국에서 온 국외 입양인 20여 명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함께한 자리는 오붓하고 따뜻했다. 원탁을 가운데 두고 국내외 입양가족이 앉아 얘기를 나누는 동안, 맞은쪽 한 사람에게 관심이 갔다. 그의 이름은 데릭 파커, 40대 중반의 남성이었다. 소아마비를 앓던 아기로 입양기관 문 앞에 유기된 뒤 미국으로 입양됐다. 국내에서 남자·장애·유기 아동, 이 세 조건을 갖춘 아이는 입양되기 어렵다.

 

백인 동네에서 휠체어 장애인으로 살아온 파커는 모든 면에서 남과 달랐으나 부모님은 항상 솔직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대했다. 파커가 말했다. “나의 출생기록이 없다는 사실은, 내가 알 수 없는 혈연이 어딘가에 있다는 뜻입니다.” 이어서 웃으며 덧붙였다. “이 중에도 내가 모르는 나의 친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를 처음 봤을 때 나는 의식적으로 휠체어에 눈길을 두지 않음으로써 배려하려 했다. 그러나 파커의 태도는 나의 얕은 배려가 의미 없을 만큼 여유 있고 당당했다. 유인물에 적힌 프로필을 살펴봤다. “자라면서 혈연과 입양가족이 다르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으며 내 부모님은 자녀들에게 늘 똑같은 사랑을 주었다.” 이어서 다음 대목에 눈길이 갔다. “우리 가족 모두 놀이, 휴가, 그리고 일상생활을 좀더 느린 이동 스타일에 차례로 맞춰나갔다.” 이런 환경에서 파커가 장애인이라는 것, 인종이 다른 입양인이라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는 현재 성공한 사업가로서 아내, 세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

 

‘국외 입양은 사라져야 한다’는 일부 주장에, 이날 만난 입양인들은 국외든 국내든 영구적인 가정에서 자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며 입양이 준 기회를 자신들의 삶으로 증언할 수 있다고 했다. 어느 공무원이 말한 ‘국외 입양인의 90%는 불행하다’는 견해를 전해듣고 그들은 모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90%를 뒤집어 생각해야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현재 입양법 개정 움직임의 바탕에 ‘국외 입양은 강제 이주에 따른 아동학대’라는 주장이 있다는 사실에도 깊은 우려를 표했다. “국외 입양인 중 평범하게 살아가는 이들은 굳이 목소리를 내지 않기에 한국 사회는 우리의 얘기를 듣지 못했습니다. 우리도 앞으로 매체를 통해 발언할 수 있기 바랍니다.” 아동복지 전문가인 수전 콕스의 말이다. 그는 미국의 국회와 백악관에서 아동복지, 입양과 관련해 여러 차례 발언한 입양인이다. 모임이 끝나고 나서 콕스가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내게 보여주었다. 다엘이 내 어깨에 기대고 있던 순간을 담은 사진에 가슴이 따뜻해졌다. 앞으로 가정 아닌 시설에서 자라는 아이가 한 명도 남지 않는 날까지, 국내외 입양가족은 연대해 편견과 싸워나갈 것이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 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202호(2018. 3. 12)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정은주
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공교육 교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시민단체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상담원이자 웰다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산지역의 입양가족 모임에서 우리 사회의 입양편견을 없애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으며 초등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함께 대안교육 현장의 진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메일 : juin999@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heart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84104/29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4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격동의 1월을 보내고 imagefile [6] 정은주 2018-02-01 8501
44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박완서 《엄마의 말뚝》 imagefile 정아은 2017-12-11 8485
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날, 우리.. imagefile 신순화 2018-04-16 8470
4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는 죽음에 적극 반대한다 imagefile [3] 정은주 2017-06-20 8395
4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바다에게 더 잘해주고 싶다 imagefile [2] 최형주 2017-07-06 8369
4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8편] 초등 아들 사주를 봤더니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11-09 8352
3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런 날 imagefile 신순화 2018-07-26 8324
»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국외 입양인이 불행하다는 편견 image [1] 정은주 2018-04-27 8317
3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그것이 사랑 imagefile 서이슬 2017-07-20 8304
3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동화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아내 imagefile [18] 홍창욱 2018-04-14 8301
3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내 마음의 고향, 할머니 imagefile 최형주 2017-01-31 8284
3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다엘의 여름방학, 미래를 꿈 꾸다 imagefile [1] 정은주 2017-08-07 8276
33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내가 하향선택결혼을 했다. [6] hyunbaro 2017-03-15 8268
3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이들의 로맨스 imagefile 홍창욱 2018-07-01 8266
3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거절의 품격 imagefile 정은주 2018-08-12 8261
3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왜 육아 모임은 엄마들끼리만 하는걸까? imagefile 홍창욱 2018-02-04 8253
2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장발의 바다에게 온 시련 imagefile [4] 최형주 2017-07-25 8239
2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명절 대이동 보다 힘들었던 놀이기구 타기 imagefile [2] 홍창욱 2018-02-24 8228
2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미친 말과 똥 거미 imagefile [3] 정은주 2017-08-28 8192
2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엄마 곧 돌아올게 imagefile 최형주 2017-01-20 8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