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6-2-2.JPG

 

 

바다가 어린이집에 다닌다.

 

세 살, 다섯 살 때도 시도는 했었다.

세 살 때는 눈물 콧물 범벅이 되어 우는 통에 일주일을 보내다가 그만두었고

다섯 살 때는 적응 기간 중에 한 아이가 엄마가 보고 싶다며 계속 울고 있는 것을 보고

바다도 그럴까봐 내가 포기했다.

 

다섯 살 때 그만 두면서 다시는 어린이집이라는 곳에

바다를 보낼 생각을 하지 말아야지 했다.

바다도 준비가 안 되었지만 나도 준비가 안 되어서였다.

 

그런데 얼마 전,

엄마, 나 이제 어린이집에 다닐 수 있을 것 같아.”

라고 바다가 말하는 게 아닌가?

 

나는 이게 무슨 일인가 하고 어리둥절하면서도

이제 정말 때가 되었나 싶어 남편과 의논하여

가까운 어린이집에 대기 신청을 했다.

어차피 기다려야할 테니 차분히 생각하자 했는데

맙소사! 바로 등원이 가능하다고 연락이 왔다.

 

이번에는 바다가 할 수 있을까?’

이젠 내가 바다를 보낼 수 있을까?’걱정하며 첫 날 등원을 했는데

바다는 가자마자 친구들 곁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며

나에게 등을 보였고 나는 생각보다 아무렇지 않게 집으로 혼자 돌아왔다.

 

그동안 참 많은 사람들이 나를 설득하려고 애썼다.

어린이집에 보내라고,

아이에게 기회를 줘야 되지 않겠냐고,

사회성을 배워야 한다고,

처음에는 힘들어도 다 적응해나간다고.

 

정말 힘들 때는 그래...’하고

그들의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지만

내 마음 깊은 곳에서는 계속 고개를 젓고 있었다.

무엇보다 바다에게 상처를 줄까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내가 어렸을 때 엄마는 늘 나를 할머니께 맡겨두고

뭘 배우거나 일을 하러 나가셨다.

그 때마다 창 문 앞에 서서 엄마 빨리 돌아오라며 손을 흔들고

하루 종일 엄마 옷을 붙잡고 냄새를 맡으며 외롭고 슬픈 마음으로 엄마를 기다렸다.

 

그 어린 내가 어른이 되어 딸을 낳았는데

내 딸이 나를 기다리며 외로워하고 슬퍼하는 경험을 하게 둘 수가 없었다.

 

남편은 내가 바다를 어렸을 때의 나와 똑같이 생각하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고

나도 그런 것 같아서 떼어놓고 생각하려고 애써보았지만 잘 안 되었다.

그래서 천천히 하기로 했다.

바다와 보내는 충분한 시간을 통해 나의 어린 시절의 상처가 회복이 되든 뭐든

이 시간이 나에게 그리고 바다에게 주어진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첫 날 어린이 집에 다녀온 바다는

"엄마, 되게 되게 재미있어. 매일 매일 갈 거야." 라고 했고

둘째 날 바다는

"엄마, 이렇게 재미있는 곳일 줄 몰랐어. , 대단해!" 라고 했다.

 

자유 의지로 어린이집을 즐기고 있는 바다를 보면서

남편은 당신이 지혜로웠다며 나를 칭찬했고

나는 남편에게 당신이 중심을 잡고 보내자고 해서 용기를 냈다고 고맙다고 했다.

 

그런데 삼 일 째 되는 날부터 바다가

어린이집 안 갈래... 재미없어...” 라고 하며 울상을 짓기 시작했다.

 

등원을 안 하려고 늦게 일어나고

내 소원은 어린이집에 안 가는 것이라고 말하고

어린이집에 안 다니면 안 되냐고 계속 물어봤다.

심지어 하루는 신발을 벗고 몇 발자국 들어갔다가 다시 나와

어린이집 정말 재미없어! 안 갈 거야!” 하고 소리치며 신발을 신고 뛰어 나가버렸다.

 

일주일 정도 대화를 해본 결과, 어린이 집이 재미가 없는 이유는

지켜야 하는 규칙들이 많아서 힘들고

자기랑 놀아주는 친구들이 많이 없고

퀴즈나 게임을 잘 몰라서 지는 것이 눈물이 날 정도로 싫은 것이었다.

 

보내지 말까. 아직 좀 더 기다려야 하나.

지금부터 꼭 이런 것들을 적응해내고 이겨내야 할 필요가 있나. 고민이 되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나와 떨어지는 것은 이제 바다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나도 다행히 바다와 떨어질 용기가 어느 정도 생겼고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좀 더 집중해서 빨리 낫기 위해서라도

바다를 보내야겠다고 결심을 했다.

 

그렇게 한 달이 지났다.

 

요즘도 바다는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어린이집에 가기 싫다는 말을 한다.

하지만 갔다 와서는 어린이집에서 그린 그림이나 만든 것을 자랑하며 보여주고

어떤 칭찬을 받았는지, 어떤 활동을 했는지 이야기를 쏟아내느라 바쁘다.

더 씩씩하고 활발해진 몸으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동네 아이들과, 어린이집 친구와 어울려 논다.

 

품 안의 자식을 내놓으며 가지게 된 여러 가지 감정들,

불안, 긴장, 걱정, 뿌듯함, 고마움, 만족감 같은 것이 계속 오르락내리락 하는 와중에

하루는 어린이집 옷을 입고 걸어가는 바다를 바라보며 생각했다.

 

우리가 한 시기를 넘어왔구나...’

 

바다와 하루 종일 부비고 다투면서 보낸 5.

내일은 아무래도 바다와 나를 위해 어린이집 등원 한 달 기념 파티를 해야겠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최형주
이십 대를 아낌없이 방황하고 여행하며 보냈다. 서른 살이 되던 해에 시골 대안학교로 내려가 영어교사를 하다가 남편을 만나 결혼했고 지금은 두 딸 바다, 하늘이와 함께 네 식구가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에 살고 있다. 부모님이 주신 '최형주'라는 이름을 쓰다가 '아름다운 땅'이라는 뜻의 '지아'에 부모님 성을 함께 붙인 '김최지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베이비트리 생생육아에 모유수유를 하며 겪은 에피소드를 그림과 글로 표현한 ‘최형주의 젖 이야기'를 연재 완료하였다.
이메일 : vision323@hanmail.net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amjam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95084/92f/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5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두 번의 출산 - 차가움과 편안함의 차이 imagefile [2] hyunbaro 2017-03-22 8831
6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우리의 소중한 야성 본능 imagefile [1] 최형주 2017-02-09 8805
6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04
6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조두순과 소설 ‘오두막’ imagefile [3] 정은주 2017-11-13 8803
61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깨어나라, 육아 동지들’ imagefile [1] 이승준 2017-05-18 8803
6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선생님이라는 큰 선물 image [3] 정은주 2018-03-04 8752
5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웃음을 기다려 imagefile [2] 최형주 2015-05-20 8709
58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우리 가족 사랑의 막대기 imagefile [4] hyunbaro 2017-04-21 8689
5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7편] 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7-09-12 8676
5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일상의 정의를 지키는 사람들 imagefile [2] 정은주 2018-07-28 8643
55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세련된 아빠이고 싶지만 imagefile 이승준 2017-04-12 8636
5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파서 고마운 지금 imagefile 최형주 2018-01-19 8632
53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image [1] 정은주 2017-12-06 8629
5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나의 결혼기념일 imagefile [2] 최형주 2018-07-26 8616
5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594
5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78
4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상처를 드러내는 법 image [3] 정은주 2017-08-21 8532
4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적이냐 친구냐를 부모에게 배우는 아이들 imagefile [1] 최형주 2017-08-30 8522
4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아들 딸 구별 말고 서이슬 2017-12-20 8515
46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육아도 재해가 있다 imagefile [6] 박진현 2017-06-15 8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