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그동안 hyunbaro라는 이름으로 글을 썼습니다. 한겨레 로그인 할 때 쓰는 아이디입니다. 아무 생각 없이 로그인 한 채로 글을 올리다 보니 그렇게 됐습니다. 오늘부터 제 이름인 '박진현'으로 글을 올립니다.  

 

육아도 재해가 있다.

 

육아도 재해가 있다. 출산 후 우울증이나 고된 육아노동으로 인해 허리 디스크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남자들도 예외가 아니다.

 

아이를 키운다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는 육아를 맞이하게 된다. 엄마도 그러한대, 아빠는 더 더욱 그렇다. 어떤 아빠는 숨을 꽉 막히게 하는 직장에서 벗어나 아이와 가족과 함께 하는 행복한 상상으로 육아휴직에 들어가지만, 막상 부딪치는 현실 앞에서 우울증을 겪기도 한다. 나의 경우는 첫째 윤슬이를 키우면서 허리디스크에 걸렸다.

 

자동차윤슬은유.jpg  

 

윤슬이가 태어날 때 우리는 서울 은평구 1층 빌라에 살았다. 윤슬이가 돌도 되기 전 일이다. 아이를 태운 유모차를 들고 계단을 내려오다 발을 헛디뎠다. 어떻게든 아이를 다치지 않기 위해 유모차는 꽉 잡고 바닥에 내렸지만, 허리를 삐긋했다. 아이를 맡길 사람이 없어서 병원에 갈 수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 생각하면서 한 달을 꾹 참았다.

 

한 달 후에도 낫지 않았다. 아내한테 아이를 맡기고, 토요일마다 한의원에 가서 침을 몇 번 맞았다. 그래도 낫지 않아 평일에도 아이를 데리고 한의원에 가서 침을 맞았다. 몇 번 침을 맞으면 나을 거라 생각했지만 큰 차도가 없었다. 왠지 심상치 않다는 생각을 했다. 큰 병원에 가서 MRI를 찍었더니, 디스크가 터져서 흘러나온 것. 의사가 괜찮았냐고, 이 정도면 무척 아팠을 건데..”라고 물었다.

 

물론, 괜찮지 않았다. 허리가 아파도 아이는 울고, 보채고, 안아 달라고, 밖으로 놀러가자고 한다. 아이도 키우랴, 허리 치료하랴 참 힘든 기간이었다. 김연아가 운동치료 받았다는 병원도 가보고, 유명한 한의원에 가서 눈물 나게 아픈 침도 맞았다. 백약이 무효였다. 수술을 하기로 결정했다. 날짜도 잡았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허리 통증이 사라졌다.

 

수술은 하지 않았다. 물론 그 이후에도 불청객처럼 찾아오는 허리통증 때문에 침도 맞고, 물리치료도 받았다. 매년 통증이 찾아오는 주기가 길어지더니 이제는 괜찮다. 가끔씩 뻐근할 때도 있지만, 스트레칭을 해서 자체 해결한다.

 

이것으로 육아재해 이야기가 끝나면 좋겠지만, 더 큰 일이 있었다. 2016730일 점심을 먹고 나서 벌어진 일이다. 둘째 은유가 나무 젓가락을 든 채로 나에게 안겼다. 은유가 손에 든 젓가락이 마음이 좀 쓰였지만, 자연스레 안아줬다. 그런데 은유가 나무젓가락을 내 왼쪽 귀에 쑤셔넣었다. 귀에다 나무 젓가락을 넣고 손바닥으로 쳐버렸다. 의사가 야무딱지게도 넣었다고 말할 정도로.

 

귀에서 삐익하는 소리가 들렸다. 방바닥이 90도로 일어섰다. 나는 쓰러졌고 평생 처음으로 119에 실려 병원 응급실로 갔다. 의사는 고막은 물론 달팽이관을 보호하는 막까지 찢고 젓가락이 들어갔다고 말했다. 의사 생활 15년 동안 이렇게 귀를 심하게 다쳐서 온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라고 말했다.

 

의사는 달팽이관까지 손상된 것 같고, 청력이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손상된 달팽이관이 회복되지 않으면 평생 어지러울 수도 있다고 했다. 수술 여부는 응급처치 이후 2,3일 경과를 보고 나서 판단하자고 했다. 다행히 수술은 하지 않았다.

귀약.jpg

귀를 다쳤을 때 먹은 약봉지. 스트로이드제 12알에 혈액순환제, 신경안정제, 위궤양약을 먹었다.

  

1년 가까이 된 지금, 청력은 60% 돌아왔다. 듣지 못하는 40%는 고음역대다. 여러 명이 큰 소리로 말하면 무슨 소리인지 당최 알아 들을 수 없을 때가 많다. 그래도 의사가 이 정도라도 회복된 게 천만다행이라고 말했다.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사는데 큰 지장은 없으니까. 몹쓸 어지러움증은 말끔히 사라졌다.

 

대신 이명이 무척 심하다. 듣지 못하는 음역대가 고장난 라디오의 ~~’ 소리로 변했다. 라디오 볼륨 4 정도 소리쯤 되나.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갑자기 ! !’ 거리면 귀 안을 날카롭게 후벼파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힘들지 않냐고묻는다. 솔직히 그러저럭 지낼 만한다. 의사 말대로 이 정도라도 회복된 게 천만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지금의 상태를 그냥 받아들이고 있다. 의사가 이명 치료의 기본은 이명을 잊는 것이라며 말했다. 처음 그 말을 들을 땐 무슨 선문답 같은 소리야라고 속으로 생각했다. “부러우면 지는 것이라는 말이 있듯이 (그닥 좋은 말 같지 않지만), “괴로우면 지는 것이다. 이명도 내 몸의 일부다라고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생활하려고 노력하다보니 이명 자체를 잊고 있을 때가 많다.

 

나무위은유.jpg

 

많은 사람들이 아들이 밉지 않냐고묻는다. 둘째 은유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아빠 귀 아파하면서 내 귀에 입을 대고 ~”를 해줬다. 다친 왼쪽 귀가 아니라 멀쩡한 오른쪽 귀에다 대고. 그러면서 내가 젓가락으로 아빠 귀를 찔렀지라는 말도 자주 덧붙였다. 나는 귀를 다쳤지만, 그 사건으로 아이도 충격을 받은 것 같다. 여튼 귀를 다친 것 때문에 아들이 밉다라는 생각은 딱 한번 했다.

 

육아를 하다가 손목이나 허리가 아프거나, 갑작스런 사고로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아이를 대신 돌봐줄 사람이 없으면 병원에 가는 것도 큰일이고, 어쩔 수 없이 차일피일 미루다가 병을 키우기도 한다. 지자체별로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육아돌보미를 신청할 수도 있으나, 여러 가지 절차도 있고,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육아종합지원센터나 건강가족지원센터 같은 곳에 엄마나 아빠가 치료를 받는 동안 아이는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병원도 만들면 어떨까. 아이를 키우는 것은 행복한 일이기도 하지만, 정신적으로나 체력적으로 힘든 일이다. 엄마, 아빠들이 여러 가지 어려움과 질병에 시달리기도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좋은 육아공약을 많이 내놓았지만, 아픈 엄마, 아빠들이 맘 편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아이 돌봄실이 있는 병원 하나 쯤 동네마다 생기면 참 좋겠다.

 

*  이 글은 프레시안 '박진현의 제주살이'에도 실렸습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진현
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육아휴직도 두 번 했습니다. 4년 전에 각박한 서울을 떠나 제주로 왔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삶을 살고자 벌인 일입니다. 우리 부부의 좌우명은 평등육아입니다. 사실 아내가 먼저 외치기 시작한 좌우명이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진짜입니다.
이메일 : hyunbaro@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equal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27602/b8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5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두 번의 출산 - 차가움과 편안함의 차이 imagefile [2] hyunbaro 2017-03-22 8836
6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조두순과 소설 ‘오두막’ imagefile [3] 정은주 2017-11-13 8810
6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09
6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우리의 소중한 야성 본능 imagefile [1] 최형주 2017-02-09 8806
61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깨어나라, 육아 동지들’ imagefile [1] 이승준 2017-05-18 8804
6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선생님이라는 큰 선물 image [3] 정은주 2018-03-04 8766
5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웃음을 기다려 imagefile [2] 최형주 2015-05-20 8709
58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우리 가족 사랑의 막대기 imagefile [4] hyunbaro 2017-04-21 8694
5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7편] 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7-09-12 8680
5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일상의 정의를 지키는 사람들 imagefile [2] 정은주 2018-07-28 8651
5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파서 고마운 지금 imagefile 최형주 2018-01-19 8641
54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세련된 아빠이고 싶지만 imagefile 이승준 2017-04-12 8639
53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image [1] 정은주 2017-12-06 8635
5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나의 결혼기념일 imagefile [2] 최형주 2018-07-26 8629
5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596
5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83
4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상처를 드러내는 법 image [3] 정은주 2017-08-21 8536
4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적이냐 친구냐를 부모에게 배우는 아이들 imagefile [1] 최형주 2017-08-30 8532
4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아들 딸 구별 말고 서이슬 2017-12-20 8520
»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육아도 재해가 있다 imagefile [6] 박진현 2017-06-15 8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