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95%84%EC%9D%B4%EC%B1%85%202_One%20Child.jpg


처음 이곳에 왔을 때제일 먼저 발 들이기 시작한 곳은 동네 공공도서관이었습니다일주일에 한두 번지하에 있는 서고에 들어가 매일같이 쏟아져 들어오는 기증품을 분류하는 자원활동을 했지요웬만해선 물건을 버리지 않는 습성이 단체로 들기라도 한 것인지이곳 사람들은 오래된 책잡지비디오 테이프퍼즐 등 먼지 잔뜩 앉은 오래된 물건들을 도서관에 기증합니다그러면 사서들과 도서관 자원활동가들이 그 물건들을 받아 분류하고정리하는 작업을 합니다절판되어 구하기 어려운 귀한 책은 도서관 서가로 올려보내고비교적 깨끗한 신간이지만 복본이 있는 경우는 계절마다 여는 도서관 책 장터에 내보낼 준비를 하지요이렇게 저렇게 섞여 들어온 책갈피엽서뱃지 같은 소소한 물품들도 한데 묶어 둡니다그렇게 일을 하다 보면 우연히 마음에 쏙 드는 책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한 아이>라는 책은 지하서고에서 만난제 마음에 쏙 드는 첫 그림책이었습니다아직 아이를 갖기 전이던 그때처음 이 책을 집어 들고 넘겨다 보게 된 건 책 표지에 그려진 기린의 얼굴 때문이었습니다저는 동물 중에서 기린을 제일 좋아하거든요그런데 생각보다 내용이 진지합니다한 아이가 조금씩 혼자 해 나가는 일이 어느새 세상을 바꾸는 물결이 될 수 있다는 얘기를 하는 책이거든요어쩌면 이때부터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작가-활동가로 살고 싶다는조금은 모호한 꿈이 제게 생기기 시작한 것이앉은 자리에서 후루룩이 책을 한 번 읽고다시 한번 천천히 읽고세 번째 읽었을 때이 책은 제게 인생의 그림책’ 같은 것이 되어버리고 말았습니다그래서 지하서고에서 함께 일하던 베테랑 자원활동가 할머니께 슬쩍 부탁했지요할머니는 흔쾌히 그래가져가.” 하고 허락해주었고그때부터 이 책은 때로는 아이 책꽂이에때로는 저의 책꽂이에 섞여 들며 우리 세 식구의 공간에 자리 잡았습니다.

 

책을 직접 읽으실 수 있게 소개하려고 했는데찾아보니 이 책번역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원서로도 책이 거의 남아 있지 않네요출판된 지 제법 시일이 지난 책인데다 덜 알려진 호주 작가의 책이어서 그런가봐요그냥 제가간단히 요약을 해야겠군요.

 

한 아이가 망가져가는 주변 세계를 보며 고민합니다.

내가 어떻게 해야 할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긴 할까?’


아이는 고민 끝에 혼잣말을 읊조립니다.

어떻게 해야 할 지 알 것 같아.”

 

아이가 스스로 깨닫고 조금씩 해 나가는 일이란 처음엔 이런 것들이었습니다

걸어서 학교에 가기공원에 나무심기거리에 떨어진 쓰레기 줍기 같은 사소한 것들이지요


%EC%95%84%EC%9D%B4%EC%B1%85%202_%EA%B0%80%EB%93%9C%EB%8B%9D.png

<케이티가 그린 당근 텃밭함께 나누는 모두의 텃밭이라면 더 좋겠죠?>


이 아이가 하는 사소한 행위를 그려 보이는 작은 퍼즐 조각 주변엔 먼지 자욱한 도시의 모습갖가지 폐기물이 넘쳐나는 거리의 모습이 온통 시커멓게 그려져 있습니다그런데 아이는 거기서 멈추지 않습니다망가져 가는 바다를 살리기 위해 글을 쓰고파란 하늘을 되찾기 위해 노래합니다죽어가는 동물들을 위해 행진을 하고많은 사람들 앞에서 연설도 하지요한 사람이그것도 몸집도 발자국도 작기만 한 아이걸어서 학교에 간다고쓰레기를 줍는다고글을 쓰고 연설을 한다고세상이 바뀔까요?

 

아닐거라고요?

 

그럼세상 모든 아이가 함께 한다면어떨까요?

 

한번 상상해보세요.

세상 모든 아이들이 친구들과 함께 걸어서 학교에 가고나무를 심고쓰레기를 줍고거리에 나와 행진을 하고글을 쓰고말하는 장면을요하나가 둘이 되고둘이 셋이 되는그 연대의 행진을요책 속에서아이는 눈을 감고턱을 괴고상상합니다세상 모든 아이들이 친구들과 함께 손을 잡고 그 모든 일들을 함께 해 나가는 모습을 말이죠


그 아이들이 자라 다음 세대 아이들을 기를 때쯤엔, 세상이 조금은 달라져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모두가 파란 하늘과 보드라운 흙이 맞닿는 곳에서 즐거운 노래를 부르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책 맨 마지막 장, 아이가 눈을 감고 그런 세상을 상상하는 마지막 장면을 보며, “한 사람이 꾸는 꿈은 꿈이지만, 여럿이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는 말을 떠올려봅니다. 존 레논도 그랬잖아요. “사람들은 내게 몽상가라 말할 지 모르지만, 난 혼자가 아니야(You may say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라고요. “언젠가 당신도 나와 함께 했으면, 그래서 세상이 하나가 되었으면 좋겠다(I hope some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be as one)고요

 

복잡하고 시끄러운 세상 속에서이런저런 일들로 일인시위를 벌이는 사람들이 종종 있지요저는 그런 사람들을 볼 때마다어쩐지 미안해집니다어느 하나 그냥 지나치기엔 너무나도 중요하고 안타까운 일들 투성이인데우리는 각자 먹고 살기에도 바쁜 나날들을 살고 있는 게 현실이니까요그런 현실 속에서도 하루쯤한 두 시간쯤 내 일 제쳐두고 나와 피켓을 들고 함께 거리에 설 수 있는 마음그렇게 거리에 나와 선 누군가를 알아보고그의 이야기를 청해 듣고그의 곁에 잠시라도 설 수 있는 용기그런 걸 가진 사람이고 싶습니다언젠가 아이 손을 잡고 나설 그 거리에서, 같은 상상을 하며 거리에 나선 다른 이들을 하나, 둘 더 만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

혹시 여러분에게도 기억에 오래 남는그래서 인생의 책이라 할 만한 그림책이 있나요?

아이와 함께 읽으려고 무심결에 들었다가 푹 빠져버린그런 책 혹시 없나요?

있다면함께 나눠요제목과 작가 이름간단한 사연을 댓글로 써 주세요.

세상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인생 그림책 하나씩 꺼내어 놓고 함께 나눌 수 있다면그걸로도 세상을 조금 더 환하게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36004/8e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85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육아 휴직 대차대조표 imagefile [2] 박수진 2017-05-24 9052
8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그와의 이메일 imagefile [8] 케이티 2017-02-09 9038
83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행복해야 한다는 또 하나의 의무 - 슈테파니 슈나이더, 《행복한 엄마가 행복한 아이를 만든다》 imagefile 정아은 2018-02-01 9023
8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무지개 너머'를 넘다 image [4] 케이티 2015-06-29 8997
81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한밤 전화, 슬픔의 무게 imagefile 강남구 2017-12-19 8990
8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세상 속으로 등 떠밀기 imagefile [1] 정은주 2017-05-01 8964
7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욱하지 말자, 그냥 화를 내자 imagefile [3] 케이티 2017-03-26 8961
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흔들렸다 imagefile [1] 신순화 2017-11-17 8956
7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교실에서 만났던 휘성, 이완, 그리고… imagefile [1] 정은주 2017-11-29 8949
7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위풍당당 임최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7-08-21 8948
7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첫 상처 imagefile [2] 최형주 2015-08-31 8947
7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 생일날 받은 타인의 선물 imagefile [6] 윤영희 2016-06-17 8939
7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의 첫 운전교습 imagefile [2] 홍창욱 2017-12-12 8913
»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한 아이 imagefile [3] 서이슬 2017-08-10 8910
7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바다가 어린이집에 다닌다 imagefile [2] 최형주 2018-06-30 8904
70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빠의 평등육아 일기] 꿈나라에 가기 싫어! imagefile [5] 박진현 2017-07-28 8877
6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아이의 러브라인을 응원해본다 imagefile [1] 홍창욱 2017-10-25 8852
6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유전자가 전염되나? imagefile [2] 정은주 2017-07-24 8846
67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큰 바다 손 위에 작은 자연 imagefile [7] 최형주 2018-01-09 8840
66 [너의 창이 되어줄게] 힘든 시절, 내 아이의 가장 예쁜 시절 imagefile [3] 임경현 2017-07-12 8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