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03366-3.JPG

 

올 해 우리 마을에는 유난히 귀뚜라미가 많아서

날이 어두워지면 베란다 창틀에 난 비 구멍으로

귀뚜라미들이 집 안으로 속속들이 들어온다.

 

하루 평균 다섯 마리 정도가 우리 집을 방문하는데

펄쩍 펄쩍 뛰고 날아다니는 이 귀뚜라미들을

어떻게 잡나 고민을 하고 있을 때

집에 놀러 온 친구가 방법을 알려주었다.

 

입구가 넓은 플라스틱 통으로

귀뚜라미가 있는 자리를 덮은 다음

밑에 판판한 판을 귀뚜라미 아래로 밀어 넣어서

통과 바닥의 판을 같이 들고 밖으로 나가

풀밭에 보내주는 것이다.

 

처음에는 벌레나 곤충을 잘 못 잡는 내가

너무 긴장을 하고 무서워하는 것을 보고

아이들도 덩달아 무서워하고 도망을 가다가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음은 귀뚜라미가 들어오면

“놀러 왔어?”

하고 말하며 조심히 플라스틱 통을 덮어

판을 받쳐서 들고 풀밭에 나가

잘 가!” 하고 보내주는 것을 보더니

 

아이들도 같이 잘 가! 또 만나!” 하고 인사를 하고

예전처럼 무서워하면서 도망가지 않는다.

 

귀뚜라미가 들어온 것을 보면 여전히 놀라기는 하지만

빨리 없애야 되는 무서운 적이 아니라

잠시 우리 집에 놀러 왔고

우리가 조심스럽게 다루어서

풀로 다시 보내 주어야하는 친구로 생각한다.

 

내가 귀뚜라미를 1층 풀밭에 혼자 버리고 돌아올 때면

바다가 엄마, 잘 가라고 인사했어?” 하고 꼭 묻고

풀밭으로 돌아간 귀뚜라미를 보고는

다행이다~ 아휴~ 잘됐다~!” 하고 행복하게 웃는다.

 

하루는 늦은 밤에 귀뚜라미를 발견하고

아침에 일어나서 보내주려고 플라스틱 통을 덮어두었는데

하늘이가 일어나서 귀뚜라미를 보자마자

우따미 보내줘~ 우따미 보내줘~”해서 눈을 비비고 일어나

귀뚜라미를 보내주기도 했다.

 

그런데 내가 귀뚜라미가 집에 들어올 때 마다 싫어하고

잡아서 보내주면서도 다시는 오지 마!” 라고 했다면

아이들은 지금처럼 귀뚜라미한테 다정한 인사를 할까?

 

내가 귀뚜라미를 대하는 태도와 마음을

아이들은 고스란히 배우고 따라하니

귀뚜라미를 적으로 만드느냐 친구로 만드느냐는

온전히 부모가 보여주는 태도에 달린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나중에는 내 옆에 있는 친구와 내가 적이냐 친구냐

내 주변 나라와 내가 적이냐 친구냐도

아이가 부모에게서 배운

작은 귀뚜라미를 대하는 태도에서 나오는 것 일거다.

 

이런 배움들이 아이들의 삶을 만들고

이 아이들의 삶이 세상을 만들 것이기에

어찌 보면 아이를 키우고 있는 내가

세상의 평화를 위해

가장 실질적인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참 부끄러운 모습이 많지만

참 미안한 모습이 많지만

 

귀뚜라미를 다정하게 맞이하고 보내주는

내 모습을 기억하면서

그 모습을 배우고 따라하는 아이들을 기억하면서

힘을 내어 내 삶의 자세를 다잡는다.

 

 

 DSC02280-2.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최형주
이십 대를 아낌없이 방황하고 여행하며 보냈다. 서른 살이 되던 해에 시골 대안학교로 내려가 영어교사를 하다가 남편을 만나 결혼했고 지금은 두 딸 바다, 하늘이와 함께 네 식구가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에 살고 있다. 부모님이 주신 '최형주'라는 이름을 쓰다가 '아름다운 땅'이라는 뜻의 '지아'에 부모님 성을 함께 붙인 '김최지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베이비트리 생생육아에 모유수유를 하며 겪은 에피소드를 그림과 글로 표현한 ‘최형주의 젖 이야기'를 연재 완료하였다.
이메일 : vision323@hanmail.net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amjam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39157/fc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45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커다란 나무가 필요한 이유 imagefile [2] 서이슬 2017-09-20 11110
19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좋아서 하는 공부 imagefile [1] 신순화 2017-09-19 24487
1943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우리 가문의 격세유전 imagefile [1] 정은주 2017-09-18 11460
1942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맞벌이 일주일 만에 걸린 대상포진 imagefile [3] 박진현 2017-09-14 18766
194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의 생생한 글쓰기 imagefile [2] 윤영희 2017-09-13 12153
194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7편] 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7-09-12 8676
1939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일상, 제일 먼저 지켜야 하는 것 imagefile [9] 안정숙 2017-09-12 12099
193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가장 예기치 못한 사건, 노년 imagefile [2] 정은주 2017-09-11 9250
19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짜증과 예술사이 imagefile [4] 신순화 2017-09-10 10147
193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의 첫 교통봉사 imagefile [5] 홍창욱 2017-09-10 7948
1935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분리된 세계 저쪽 imagefile [10] 서이슬 2017-09-10 10432
1934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내가 복직을 했다 imagefile [6] 박진현 2017-09-07 16933
19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매미와 아들 imagefile [3] 윤영희 2017-09-04 9546
19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보이지 않는 것들이 우리를 이룬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9-01 10008
1931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엄마, 기자 계속 해야하지?" imagefile [9] 양선아 2017-09-01 25343
1930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엄마면서 아빠이고 학생 imagefile [6] 강남구 2017-09-01 10891
»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적이냐 친구냐를 부모에게 배우는 아이들 imagefile [1] 최형주 2017-08-30 8522
192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 이래서 생방송이 힘들구나. imagefile [2] 홍창욱 2017-08-30 7808
192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어쩌다 요리왕의 왕짜증 imagefile [4] 양선아 2017-08-30 11753
1926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조금 다른 종점 여행 imagefile [7] 서이슬 2017-08-30 7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