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봄이 오면

첫째가 6학년, 둘째가 1학년이 된다.

초등 교육의 시작과 끝을 올 한 해동안,

두 아이를 통해 동시에 경험하게 되었으니

엄마인 나로서는 정말 의미있는 1년이 아닐 수 없다.


큰아이가 학교에 입학한 뒤 보낸 지난 5년은

아이도 나도 참 많은 것들을 배우고 겪은 시간이었다.

첫째를 키우면서 겪은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찬찬히 돌아보며

둘째 아이의 입학을 앞둔 요즘, 엄마로서의 마음가짐을 다시 새롭게 다지고 있다.


첫째가 입학할 때는 잘 몰랐지만

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키우면서 한 가지, 깨달은 게 있다면

육아의 성공 여부는 결국 아이와의 관계맺기에 달린 게 아닐까 하는 것이다.

아이가 학교생활을 하면서 갖추기를 바라는 요소들,
예를 들면 공부에 대한 의욕, 성실함, 규칙적인 생활습관, 적극성, 사회성 등등

이 모두를 자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근원적인 힘은

결국 부모가 아이와 오랜 시간에 걸쳐  맺어온 관계의 깊이에서 

나오는게 아닐까 하는 게 내 생각이다.


파브르는 곤충기뿐 아니라 식물기를 쓰기도 했는데

그의 식물기에 보면 이런 표현이 나온다.


"양파는 저금을 많이 한 부모같다"


양파의 껍질 하나하나가 쌓이고 쌓여 단단한 알뿌리 식물이 되는 것처럼

좋은 육아란, 그렇게 아이와의 관계를 차곡차곡 저금해가는 일이 아닐까 싶다.

지루하고 피곤하고 힘든 긴 육아의 순간순간들을 현명하게 겪어내며 쌓아온

그런 깊은 관계의 힘이 만기적금을 타듯, 제대로 발휘되는 게

아이가 초등 고학년 시기인 셈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이 아이의 학교생활이 시작된 후,

가장 갈등하고 불안하게 되는 이유는 주변에서 들려오는 필요 이상의 정보와

남의 집 아이에 대한 소문과 이야기들 때문이다.

"우리 아이의 리듬보다,

남의 집 아이 리듬을 파악하고 따라가는데 더 열을 쏟는 엄마들"

이란 어떤 잡지에서 읽은 표현이 꼭 내 이야기 같기만 해, 속이 뜨끔해진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주변의 정보와 흐름도 사실 무시할 수 없는지라

다 따라하진 않더라도 어느 정도 듣고 참고할 필요도 있다.

하지만 다 지나고 보면, 가장 필요하고 그때 꼭 했어야 할 일은

내 아이의 성향과 리듬을 잘 관찰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이란 걸 깨닫게 된다.


아이들의 지능, 감성, 인성 등 모든 역량은

부모에게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 가장 폭발적으로 발달한다고 한다.

아이가 학교생활에서 갈등을 겪는 일이 있을수록

아이의 어떤 부분이 더 나아지길 바라는 때일수록

그 해답을 외부에서 찾지말고, 나와 아이와의 관계를 더 깊이 만드는 일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으면 한다.

가정에서 부모와 쌓은 그 정서적인 풍요로움으로

위기의 순간이나 도전해야 할 과제들을 자신있게 풀어갈 수 있도록 말이다.


이 시대의 엄마는 아이를 잘 키워야 하는 과제에 덧붙여

자신까지 키워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

그러나 부담스러워 할 필요없다.

이 과제들은 실은 두 개가 아니라 하나이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육아책의 Best of Best라 꼽는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의 한 구절이다.

아이를 잘 키우는 일이 나 자신까지 잘 키우는 일이라면,

너무 두려워말고 한번 해 볼만한 일 아닐까.

그런 용기와 마음으로 좀 뻔뻔하게, 아이의 초등 입학에 임해봐도 괜찮을 것 같다.


IMG_2518.JPG

무엇보다 다행스럽고 고맙고 대견한 것은
태어날 때 이렇게 쪼그맣던 아이가 ...

DSCN4224.JPG


이만큼이나 건강하게 잘 자라주었다는 사실이다.

아이는 어른들의 한보따리는 될만한 걱정들과는 상관없이

새로운 학교에서의 생활을 진심으로 기뻐하며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큰아이 입학 때는 긴장과 걱정 때문에 잘 볼 수 없었던

1학년 아이만이 가진 사랑스러움을,

둘째 아이와는 함께 충만하게 즐기고 느끼면서 이 1년을 지내보고 싶다.

6학년이 되는 큰아이와도 초등 생활의 마지막 1년이 너무 아깝고 소중하다.

1학년과 6학년.

처음처럼, 또 마지막처럼.


이 아이들과 보낼 2015년의 시간들이

반짝반짝이는 크리스마스 트리처럼 빛날 수 있도록 노력해 보리라.

입학과 졸업을 앞둔 모든 아이들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합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37503/aa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피아노, 아이들이 겪는 첫 번째 좌절?! imagefile [11] 윤영희 2015-04-18 20995
14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모와 아이를 함께 돌본다는 것 imagefile [6] 윤영희 2015-04-15 12892
14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새학기의 긴장, 먹는 것으로 풀자?! imagefile [7] 윤영희 2015-03-27 16606
14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초등학교 6년 동안 쓰는 책가방 imagefile [3] 윤영희 2015-03-25 25088
13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유치원 졸업식 풍경 imagefile [4] 윤영희 2015-03-21 27944
13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두운 등잔 밑…엄마들의 재발견 imagefile [6] 윤영희 2015-03-09 17305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 초등 입학에 임하는 엄마의 자세 imagefile [5] 윤영희 2015-02-27 12794
13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 함께 발렌타인데이 초콜릿 만들기 imagefile [3] 윤영희 2015-02-12 16890
13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밥, 된장국 만들기가 겨울방학 숙제라구?! imagefile [2] 윤영희 2015-02-10 16170
13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카레라이스 잼잼 imagefile [4] 윤영희 2015-02-03 14869
1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가 자라는 소리 imagefile [8] 윤영희 2015-01-27 10923
13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일본 급식 문화, 같거나 다르거나 imagefile [13] 윤영희 2015-01-22 24076
1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의 삼시세끼, 좀 더 행복해지려면 imagefile [8] 윤영희 2015-01-18 14680
1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 함께 크리스마스 케이크 만들기에 도전! imagefile [2] 윤영희 2014-12-21 15636
12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 즐기는 크리스마스(2)-친구들과 함께 파티를!! imagefile [3] 윤영희 2014-12-14 15065
12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에게 많이 미안한 날 imagefile [2] 윤영희 2014-12-06 10023
12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 즐기는 크리스마스(1)-리스만들기 imagefile [2] 윤영희 2014-11-30 15888
12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10년 전 우리 가족에게서 온 편지 imagefile [5] 윤영희 2014-11-27 16275
12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친구의 향기 imagefile [1] 윤영희 2014-11-18 14851
12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린이 벼룩시장, 생생한 경제교육의 현장 imagefile [6] 윤영희 2014-11-16 15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