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N4158.JPG



우리 동네 지하도 벽에는 아이들이 그린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어린이집, 유치원생부터 초등학생, 중,고등학생까지,
우리가 사는 동네의 아이들이 직접 그린 그림으로
지역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지하도의 벽을 장식한 것이다.

유명한 그림책에 나오는 한 장면을 협동화로 완성한 작품도 있고,
아주 어린 아이들이 다니는 어린이집에서는
아이들 모두의 작은 손바닥을 단풍잎처럼 물감으로 찍은 것을 큰 액자로 완성해 두었다.
초등생들의 레오리오니 <으뜸헤엄이> 협동화에는 아이들이 손가락 지문으로
작은 물고기들을 표현했는데 볼 때마다 참 사랑스럽다.

DSCN4160.JPG

지하도를 걸어내려가 다시 지상으로 나오기까지는, 2,3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지만
이곳을 지날 때마다 아이들의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감성과 손놀림이 떠올라
나도 모르게 미소를 지으며 걷게 된다.

그런데, 한 가지 참 특이한 건
여러 아이들이 함께 그린 협동화든, 혼자 그린 그림이든
참 잘 그렸다.. 싶은 그림들 틈에 유아나 초등 저학년들이 그렸음직한
낙서같은 그림들도 함께 걸려 있는 것이다.

DSCN4162.JPG

심심할 때 아이들이 장난스럽게 그리는,
어느 아이의 낙서장에도 몇 장은 있을법한 이런 그림들이
와..하는 감탄사가 날 만큼 잘 그려진 작품들 속에 함께 전시되어 있다.

DSCN4161.JPG


충분히 아이스러운 그림이라 귀엽지만,

어떤 시각으로 보면 좀 성의없다고 여겨질 수도 있는 이런 그림들을

1미터가 훨씬 넘는 크기의 액자에 넣어 동네 한 복판에 전시할 필요가 있을까.. ?

하는 생각이  드는 게 솔직한 마음이었다.


그런데, 일본에서 10년 넘게 아이들을 키우고 살면서

이제야 그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다.

일본의 교육과 문화는 아이들의 그림에 대해 대체적으로

평가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인정과 공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인 것 같다.

누가 봐도 잘 그린 그림들에 대해 감탄하고 인정하는 건, 일본도 마찬가지지만

아무렇게나 그린 듯한 그림에 대해서도 함부로 평가하고 폄하하기보다

그림을 그린 아이의 의도를 이해하고 공감을 해 주는 게, 먼저라 여기는

그런 분위기가 있다.


물론 그림을 잘 그리는 아이들에 대한 칭찬과 우열을 가르는 미술대회가 있긴 하지만,

초등학교 내에서 그림으로 아이들에게 상장을 주는 일을,

큰아이가 6학년이 된 지금까지도 본 적이 없다.

미술 시간을 통해 그린 그림들은 모두 교실 뒷벽과 복도 벽에 그때그때 전시하는데,

좀 더 잘 그려진 몇몇 그림들은  미술실과 교무실 복도에 전시되는 게,

좀 더 특별하게 인정받는 유일한 방식인 듯 하다.


DSCN3693.JPG

아이들이 그린 그림들은 잘 그렸든, 못 그렸든
왠지 모르게 웃음이 나면서 어떤 해방감같은 걸 경험하게 해 준다.
아무렇게나 그은 점과 선에서 순수함과 자유, 자기다움이 느껴진다.
그와 동시에 이미 어른이 되어버린 나는 문득 슬퍼진다.

점 하나를 찍기도 전에, 그림 도구를 손에 잡기도 전에,
남이 어떻게 볼까.. 잘 못 그리면 어떻하나.. 두려움이 앞서
간단한 그림조차 시작해볼 마음이 거세돼 버린..
그래서 아이들이 그리는 단순한 점 하나, 선 하나만 봐도 부럽고 질투가 난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자기검열이 없던 그 어린시절이.

DSCN3803.JPG


평가의 부담이 비교적 덜한 환경이라 그런가,

일본 아이들은 특별한 몇몇 아이들이 아니라도 대체로 그림을 참 잘 그린다.

잘 그린다기 보다, 정성들여 표현한다고 해야할까.


위에 있는 사진은 큰아이가 5학년 때 교실 복도에 있던 그림들인데,

잘 된 작품만 모은 게 아니라 반 아이들 30여명의 작품이 전부 전시되어 있었다.

미술시간에 자신이 직접 선택한 한자를 디자인한 그림인데,

아이들의 개성이 한 눈에 들어오고 성별의 차이가 뚜렷한 것이 재밌어

구경하는 내내 웃음이 났다.


그림 아래에는 이 글자를 선택한 이유와

어떤 점을 특히 표현하고 싶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쓰여있었다.

얼마전에 아기가 태어나 어린 동생이 있는 아이는

'사랑 애' 를 가족이 서로 손을 잡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했고,

꽃과 겨울을 좋아하는 아이의 그림,

빨강파랑 두 가지 색만으로 심플하게 '불 화'를 그린 아이,

밤과 고구마를 좋아하는 아이가 그린 '밤 율'(우리집 딸^^) ...


획일적인 평가기준으로 좋은 그림과 아닌 그림을 나누지 않는 것,

우열을 가르고 상장에 집착하지 않는 환경 속에서

아이들은 그림으로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지 않을까.


평가에 앞서, 다양한 감성과 개성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있어야

아이들의 미술 재능이 제대로 꽃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에서  뛰어난 그림책 작가와 만화가가 많이 배출되는 것도

바로 이런 배경 때문이 아닐까.

적어도 유아기, 초등시절만이라도

아이들이 자유롭게 자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그림그리기를

즐길 수 있는 교육과 문화가 필요하다.

평가보다 이해와 공감을!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08669/2e8/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추석, 아이와 함께 하는 글과 그림놀이 imagefile [2] 윤영희 2015-09-25 15200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의 그림, 평가보다 공감을 imagefile [3] 윤영희 2015-09-17 20484
16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른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아이들은 본다 imagefile [3] 윤영희 2015-09-07 15392
16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네 아이의 엄마가 된 날 imagefile [12] 윤영희 2015-08-31 12144
15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딸의 어록, 아들의 어록 imagefile [9] 윤영희 2015-08-23 13546
15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꽃과 함께 크는 아이 imagefile [10] 윤영희 2015-08-09 16146
15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밥' 엄마용 심야 식당 어디 없소? imagefile [4] 윤영희 2015-08-05 21454
15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가족 모두를 성장시키는 '도서관 육아' imagefile [4] 윤영희 2015-07-13 13653
15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냉장고 안 안녕하십니까 imagefile [5] 윤영희 2015-07-01 11916
15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새들의 육아일기 imagefile [1] 윤영희 2015-06-23 9536
15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텃밭은 자연 분만실?! imagefile [4] 윤영희 2015-06-16 12950
15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 마음의 깊이 imagefile [5] 윤영희 2015-06-12 12404
15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텃밭 부엌, 자연 육아 imagefile [8] 윤영희 2015-06-10 12388
15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너의 그 존재가 아름다워 imagefile [3] 윤영희 2015-06-03 11884
14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에서 만들어 먹는 일본 가정식 imagefile [3] 윤영희 2015-05-29 12651
14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1학년을 부탁해!! imagefile [6] 윤영희 2015-05-19 18379
14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집이 아이를 키운다 imagefile [13] 윤영희 2015-05-16 17539
14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도 어른도 가끔은 이벤트가 필요해^^ imagefile [3] 윤영희 2015-05-09 14762
14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재난과 어린이 imagefile [2] 윤영희 2015-04-29 10488
14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침이 있는 삶 imagefile [4] 윤영희 2015-04-21 13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