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딸은 한 겨울에도 늘 하의실종이다. 내년 3월이면 세 돌이지만, 아직도 기저귀를 달고 다니는 신세다보니 아랫도리를 안 입는 게 저나 나나 편한 까닭이다. 집이 20도 안팎으로 추운 편인데도, 빨간 다리를 내놓고 위풍당당한 끄떡없다. 워낙 단련이 된 거 같아서 그냥 나둔다. 문제는 외출할 때다. 집에서 워낙 시원하게 지내서 그런가 옷을 두껍게 입히면 참지 못한다. 게다가 요즘 폭풍식사로 살이 붙을 대로 붙은 상황인지라 겹겹이 껴입는 옷이 불편할 만도 하다. 그런 걸 이해한다고 쳐도 한겨울에 홑겹으로 입혀서 나가면 아동학대로 손가락질 받을 게 뻔한 노릇. 현관 앞에서 입히려는 자와 입기 싫다는 자의 실랑이가 벌어진다. 결국 시간에 쫓긴 내가 물리적 힘으로 제압하다보면 결국 우리 아이 팔다리 버둥거리며 저항하는 소리.

“그만, 오~그~만~”

요즘 우리 딸이 푹 빠져 있는 애니메이션 구름빵. 또래 아이들이 뽀로로에 빠져 있는 것에 반해, 우리 딸은 구름빵 매니아이다. 구름빵은 꼭 종이인형마냥 인물들이 평면적이고 전체적인 색감이나 동작이 차분한 편인데도 그렇게 재미있게 본다. 특히, 구름빵의 핵심 컨셉인 구름빵을 먹고 몸이 ‘부웅’ 떠올라 하늘을 나는 장면에서는 세 살 짜리 아이에게 나는 소리라고는 믿을 수 없는 비명이 나온다. '까악~' 물론 좋아서 지르는 소리다. 그렇게 좋아하다보니 부작용이 있다. 헤어지기가 너무 힘들다. 끄자고 하면, 닭똥 같은 눈물을 뚝뚝 흘리며 대성통곡을 하곤 한다.

“안돼~, 안되애~”

그만_~1.JPG
내년부터는 어린이집에 보내려고 알아보고 있는 중이다. 나도 일이 생기고, 애도 친구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아서 내년엔 보내기로 마음을 먹은 것이다. 바로 가까이에 공동육아 어린이집이 있어서 거기부터 가봤다. 우리에겐 비용적인 부담이 크지만, 바로 가까이 있고, 아이들을 자유로이 놀리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철학이 마음에 들어 우선적으로 생각해보고 있다. 남편과 내가 상담을 하는 동안, 아이는 2층집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흥미를 보였다. 간혹 아는 얼굴도 있어 친구네 집에 놀러 온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았다. 집으로 돌아와 아이에게 물어봤다. ‘도토리(공동육아 어린이집 이름)에 갈까?’ 그러면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하는 말.

“아니야, 아니야~아니라고...”

요즘 이게 우리 대화다. 웬만한 부정어를 모두 섭렵하셨다. 주위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를 해주면서 '그래도 아직 ‘싫어’라는 소리는 안 하네'라고 했더니, 세상에나...그걸 놓치지 않고 '싫어'라는 말을 딱 ‘픽업’했다. 기껏해야 두어 번 그런 이야기를 한 거 같은데, 귀신이다. 밥 먹자고 해도 '싫어', 화장실 가지고 해도 '싫어', 싫으면 당연히 싫어, 좋아도 싫단다. 이렇게 ‘싫어’라는 카드까지 쓰기 시작하면서, 부정어를 풀장착한 상태다. 누굴 탓하겠나? 그래서 애 앞에서는 찬물도 안 마신다고 했나 보다.

‘그만, 안돼, 아니야’라고 말하는 아이에게 나는 ‘뭐가 그만이야, 뭐가 안돼, 뭐가 아니야, 뭐가 싫어’라고 말하면서 아이의 부정을 부정하려고 한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애를 나무랄 일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일단, 아이가 배운 부정어들은 내가 최근 자주 한 말들이다. 그만큼 요즘에 아이를 조심시키거나 저지하는 일이 많은 거다. 두번째 아이에게 부정은 곧 긍정이기도 하다. 부정어가 는다는 것은 자기 생각, 자기 의지, 곧 자아가 강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한동안 서로 부정어를 주고 받을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나도 머리로는 이해한다. 자기도 밥 먹고 싶을 때가 있고, 하고 싶은 게 있고, 하기 싫은 때가 있을텐데, 엄마의 스케줄에 따라 살아야 하는 게 부당하다고 느낄 수 있다. 말로 다 표현을 못하니, 짧은 부정어와 몸부림으로 저항할 수 밖에 없을 게다. 이 맘때 아이들의 부정어와 긍정어의 비율이 14대 1이라고 한다. 자연스러운 상태인 것인데도 옆에서 보는 남편이 불안불안해한다. 머지않아 한 고집하는 나와 그 속에서 나온 또 한 모태고집의 빅매치가 벌어질 거 같다며...나도 긴장되긴 마찬가지다. 후유~이제 겨우 시작이다. 심호흡을 하며 부정의 시대를 맞는다.

소율늑~2.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연희
30대 중반, 뒤늦게 남편을 만났다. 덜컥 생긴 아기 덕분에 근사한 연애와 결혼식은 건너뛰고, 아이 아빠와 전격 육아공동체를 결성해 살고 있다. '부자 아빠=좋은 아빠', '육아=돈'이 되어버린 세상에 쥐뿔도 없으면서 아이를 만났고, 어쩔 수 없이 '돈 없이 아기 키우는 신세'가 되었다. 처음엔 돈이 없어 선택한 가난한 육아였지만, 신기하게도 그 경험을 통해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몸의 본능적인 감각에 어렴풋이 눈을 뜨 고 있으며, 지구에 민폐를 덜 끼치는 생활, 마을공동체에 재미를 들여가고 있는 중이다.
이메일 : tomato_@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slow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9713/8cf/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73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동생 imagefile 윤아저씨 2011-04-14 44779
72 [하어영 기자의 철딱서니 없는 육아빠] 초보 아빠, 2차는 없었다 imagefile [1] 하어영 2015-09-17 44747
7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시행착오 imagefile 윤아저씨 2011-08-03 44437
70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객관성을 상실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6-01-04 44340
» [김연희의 태평육아] 부정어 풀장착 imagefile [1] 김연희 2011-12-02 44322
68 [임지선 기자의 곤란해도 괜찮아] 아, 내가 전생에 나라를 구했나! imagefile [14] 임지선 2012-07-26 44083
67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유모차 imagefile 윤아저씨 2011-08-25 43951
66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까불지마! imagefile 윤아저씨 2011-08-12 43296
65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부부싸움 관전평 imagefile 윤아저씨 2010-12-02 42407
64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질투 imagefile 윤아저씨 2011-07-07 42404
63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기자 아빠 일상에도 파고든 종편 [1] 김태규 2011-12-06 42288
62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아가들도 힘들어요 imagefile 윤아저씨 2011-07-14 42102
6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안 졸려, 안 졸리다니깐! imagefile 윤아저씨 2010-09-30 41669
60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관중도 없는 각본 없는 드라마 imagefile [6] 김태규 2015-05-29 41160
59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울보공주의 눈물보 imagefile 윤아저씨 2010-10-08 40516
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살 아들, 머리를 묶다!! imagefile [9] 신순화 2012-01-09 40287
57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인테리어는 안드로메다로 imagefile [2] 송채경화 2016-05-24 40263
56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등반 imagefile 윤아저씨 2011-07-21 39955
55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카오스의 손 imagefile 윤아저씨 2011-07-28 39599
54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개인주의? imagefile 윤아저씨 2011-04-30 39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