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말씀에 따르면 나는 어릴 때 잔소리 한 번 안들을 정도로 착했다고 한다.
가끔 며느리 앞에서 늘어놓는 어머니의 아들 자랑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어릴 때를 떠올려보면 ‘착한 이미지’를 나 스스로 고착화시키며 자라온 게 아닌가싶다.
그렇게 말을 잘 듣던 아들이 지금은 청개구리가 되어 멀리 제주에서 살고 있으니 말 잘 듣는 것도 유통기한이 있는 게 아닐까?
 
35년을 살아오며 아내나 나나 누구의 삶을 대신 사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을 살기 위해 용기를 내어 제주로 이주했다.
‘부모님의 기대’라는 ‘예’에 부응하기보다 ‘내 삶을 추구’하는 ‘아니오’를 선택하고 나니 나중에 후회가 될 지라도 지금은 몸과 마음이 가볍다.
청개구리 엄마, 아빠를 둔 아이여서 그럴까?
 
뽀뇨는 엄마, 아빠, 우유 등 대상을 지칭하는 단어 이외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로 ‘안 해’를 제일 처음 배웠다.
한 손을 흔들며 이것도 ‘안해’, 저것도 ‘안해’하다 보니 ‘누구한테 배웠냐?’며 다들 물어보고 심지어 ‘예’를 가르치기 위해 외갓집 식구들은 피나는 노력을 하였다.
 
할머니가 ‘할아버지’하고 부르면 할아버지가 “예”라고 대답하고, ‘이모’라고 하면 이모가 “예”라고 대답하는데 늘 마지막은 ‘뽀뇨’를 불렀다.
할머니, 할아버지 하는 걸 보고는 뽀뇨도 “예”라고 하게 되는데 실생활에서 “예”를 쓸 때가 많지가 않아서 그런지 ‘안 해’를 훨씬 더 많이 쓴다.
 
처음 ‘안 해’를 배운 것은 출판사에 다니는 용석 삼촌이 뽀뇨에게 선물한 세밀화를 읽으면서부터다.
책을 읽어주며 처음엔 무슨 책이 ‘안 해’, ‘싫어’라는 부정적인 말밖에 없을까라고 생각했는데
돌이켜보니 그 부정의 말이 뽀뇨에게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처음이자 유일한 말이 된 것이다.
 
사실 긍정을 이야기하는 말들은 ‘우유’라는 구체적인 단어와 ‘손짓’ 등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 등 많이 있는데 선택을 표현하는 방식은 두 살도 안된 뽀뇨에게는 많지 않은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안 해’를 일찍 가르쳐준 것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 해’를 남발하는 뽀뇨, 습관으로 굳어지지 않을까?
다행히도 18개월 소녀, 뽀뇨는 아빠에게 뽀뽀를 선심으로 해줄 정도로 눈치가 빠르다.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 ‘안 해’보다 ‘그래’를 쓸 날이 더 많겠지만 ‘안 해’의 용기 만큼은 누구보다 더 많이 가지길 바란다. 

<뽀뇨랑 함께 책읽기. 이 책은 메뉴판 ^^; 아래 사진을 클릭하시면 뽀뇨가 아니아니를 처음 배운 동영상으로 이어집니다> 
12월 8일 2.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7102/370/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93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울컥 imagefile [1] 윤아저씨 2011-09-20 54765
92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육아가 그렇게 힘든가요? imagefile [17] 안정숙 2016-05-03 54297
9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엄마는 아주 천천히 늙어줘 imagefile [1] 신순화 2011-08-17 53627
90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불량식품 쥐어주는 엄마 imagefile [9] 김은형 2012-05-31 52880
89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형님반에 간다네 imagefile [7] 김태규 2012-02-20 52295
88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두달 뒤 마흔!, 센티(?)한 아줌마의 푸념 혹은 넋두리 imagefile [15] 김미영 2013-11-08 52039
8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돌잔치는 할 수 있는 만큼, 딱 그 만큼만 imagefile 양선아 2011-08-17 50990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안 해!' 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imagefile [8] 홍창욱 2011-11-14 50468
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동생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imagefile [9] 신순화 2011-12-05 50162
84 [김연희의 태평육아] 봄이 기다려지는 이유 imagefile [9] 김연희 2012-02-15 49860
83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덜컥 임신, 큰 일 났다! imagefile [1] 송채경화 2015-09-17 49511
82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장래희망 imagefile 윤아저씨 2010-10-21 49479
8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가수’보다 더 재미있는 것 imagefile 신순화 2011-08-31 48838
80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아빠힘내세요 imagefile 윤아저씨 2010-09-23 46431
7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들을 부려먹자!! imagefile [2] 신순화 2011-11-28 45916
78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로이터 사진전] 65살 아빠와 35살 딸의 합작 관람기 imagefile [7] 안정숙 2016-09-21 45791
7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브루미즈 체험전 다녀와보니 imagefile [2] 양선아 2012-01-03 45724
76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두 자매와 동고동락 85일] 오후 3시를 부탁해 imagefile [10] 안정숙 2014-10-15 45294
75 [송채경화 기자의 모성애 탐구생활] 그렇게 엄마가 되었다 imagefile [3] 송채경화 2015-11-02 45095
74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입조심 imagefile 윤아저씨 2011-08-18 44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