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다엘

‘싱글맘의 날’을 아시나요

좌담회에서 쏟아진 미혼모들의 생생한 증언

제1184호
등록 : 2017-10-25 05:00 수정 : 2017-10-26 09:47
미혼모 단체 ‘인트리’ 좌담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정은주

 

지난 9월 미혼모 단체 ‘인트리’에서 개최한 좌담회에 참석했다. 미혼부모 연구를 진행하는 일본 도요대 교수와 우리나라 미혼모들이 만나는 자리였다. 이곳에서 미혼모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 한 미혼모는 아이의 생부가 양육비 지급은 않고 면접교섭권을 수시로 행사하는 현실을 개탄했다. 빼앗듯이 아이를 데려가서 키즈카페 같은 곳에 방치하곤 한다는 것이다. 의무는 묵살하고 권리만 챙기는 남자에게 한국의 법은 한없이 관대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가의 복지 혜택을 알아보기 위해 수없이 인터넷을 검색하고 스스로 발로 뛰었던 경험을 얘기했다. 그러나 정작 공공기관에 발을 디디면 담당자들의 무례한 태도에 거듭 상처받아야 했다. 사생활을 함부로 파헤치기 전에 미혼모의 개인 상황에 맞는 정서적 지지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이들은 입을 모았다.

 

이날 만난 미혼모들은 낙태 등 성적 자기결정권,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당당히 주장했다. 앞으로 학교 성교육에서 미혼모 이슈를 다뤄 자신과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현실적 대처법을 가르치면 좋겠다는 당부도 덧붙였다.

 

이들의 합리적인 주장은 국가의 탁상행정이 보이는 무능을 넘어 복지가 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었다. 한편으로 이와 대척점에 서는 부조리한 주장을 떠올려본다. 학생에게 미혼모 교육을 하면 미혼모 발생을 조장한다거나, 입양 활성화를 강조하면 원가정 해체를 불러온다는 말 등이다. 심지어 한 매체의 기자는 미혼모를 인터뷰하면서 ‘미혼모를 줄일 방법이 있느냐’고 물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을 문제 삼는 대신, 당사자의 정체성을 정면 부인하는 질문을 한 것이다.

 

5월11일은 정부가 지정한 ‘입양의 날’이다. 몇 년 전부터 이날을 ‘싱글맘의 날’로 기념하는 단체들이 등장했다. 미혼모에게 양육 기회를 주지 않는 현실을 고발하며 ‘입양의 날’을 반대하기 위해서다. 사회보장이 잘된 선진국에선 미혼모가 자기 아이를 입양 보내는 일이 거의 없다고 했다. 좋은 지적이다. 두 가지 상황을 먼저 고려한다면 말이다. 시설에서 입양을 기다리는 아동 수에 비해 예비 입양부모 수가 턱없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 여성에게 피임이나 낙태, 입양 또는 양육에 대한 실질적 선택권이 있는 선진국의 현실이 그것이다.

 

같은 날을 기념일로 삼은 것은 역설적으로 미혼모와 입양가족이 한 배를 탔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무의미한 대립 구도를 만드는 대신 미혼부의 책임을 강화하는 일에 매진할 때라고 생각한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 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184호(2017. 10. 30)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정은주
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공교육 교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시민단체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상담원이자 웰다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산지역의 입양가족 모임에서 우리 사회의 입양편견을 없애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으며 초등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함께 대안교육 현장의 진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메일 : juin999@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heart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53694/ee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98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두 마음 사이 전쟁 imagefile 강남구 2017-12-01 9443
1984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엄마 미안해, 내 딸들을 더 사랑해서 imagefile [3] 안정숙 2017-12-01 56091
1983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엄마라는 이름의 속살 imagefile 정아은 2017-11-30 26908
1982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0편] 엄마가 알아서... imagefile 지호엄마 2017-11-29 19215
198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교실에서 만났던 휘성, 이완, 그리고… imagefile [1] 정은주 2017-11-29 8971
198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7년의 사랑, 그리고 이별 imagefile [4] 신순화 2017-11-28 10935
197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이들 플리마켓 셀러로 참여하다 imagefile [2] 홍창욱 2017-11-28 13243
19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파 다듬다 울었다 imagefile [8] 신순화 2017-11-23 13557
1977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높은 파도를 바라보는 아이 imagefile 강남구 2017-11-23 10069
»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싱글맘의 날’을 아시나요 image 정은주 2017-11-21 7263
1975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9편] 초등 사춘기가 뭐야? imagefile [4] 지호엄마 2017-11-18 31967
197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흔들렸다 imagefile [1] 신순화 2017-11-17 8982
1973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읽기장애여도 괜찮아 imagefile [2] 박진현 2017-11-16 17070
197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조두순과 소설 ‘오두막’ imagefile [3] 정은주 2017-11-13 8828
1971 [아이가 자란다, 어른도 자란다] 딸딸 엄마 임신부의 두 얼굴 imagefile [7] 안정숙 2017-11-11 13883
197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일곱, 사랑에 빠지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11-09 11898
1969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8편] 초등 아들 사주를 봤더니 imagefile [2] 지호엄마 2017-11-09 8365
1968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당당하게! imagefile [8] 서이슬 2017-11-07 9201
196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르지 않는 내 노다지 imagefile [1] 신순화 2017-10-31 10535
196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미혼부 법’을 도입하라 image [4] 정은주 2017-10-30 13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