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 빵집이 다음달 2월에 문을 닫는다네요.. 섭섭해서 어쩌죠?"



어린이식당 멤버에게서 이런 연락이 왔다.

정말 그 가게 이름이 맞나, 애써 눈을 깜빡이며 한 글자씩 읽어봤는데

역시나.. 그 가게가 맞다.

어린이식당에도 매번 맛있는 빵을 한아름 기부해 주시고

작은 가게였지만, 빵 하나하나가 나름 품위있고 맛도 좋았는데...

이렇게 갑자기 문을 닫는다 생각하니 아쉬움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내가 사는 동네에 좋은 가게가 변함없이 있어주길 바란다면

나부터 열심히 이용하고 좋은 손님이 되는 거라 여기며

자주 사먹던 빵집인데 정말 아쉽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누구에게나 가끔은 다시 가 보고 싶은 가게가 있을 것이다.

부산에서 나고자란 나에겐, 90년대 부산대학교 앞,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져 있던

양식당 <포 시즌>이 바로 그런 곳이다. 친구들끼리는 사계절이라고도 불렀던 것 같다.


탁자가 몇 개 안 되는 작은 식당이었지만,

돈가스에 딸려 나오는 스프가 무척 맛있고 가격 또한 황송할 만큼 저렴한 곳이었다.

한국인 입맛에 맞는 평범하고 소박한 메뉴인데도, 왠지 모르게 요리하는 분의

전문적인 포스가 느껴지던 예사롭지 않은 맛이었다.

내 기억에는 정말 한두 평쯤 될까 싶은 좁은 주방에서

늘 새하얗고 깔끔한 요리사복을 입고 계시던 주인 아저씨를 보며

내가 써내려간 상상력은 이랬다.


--------------------------------------------------------

원래 요리 공부를 많이 하셨던 분인데, 어렵게 개인 가게를 열게 된다.

정성을 다해 음식을 만들지만 찾아오는 손님들은 늘 고만고만.

음식 값을 조금 올리면 가게 형편이 더 나아지겠지만

학교 앞이라 그러기도 힘들다.

아무튼 하루하루 열심히

이 작고 작은 주방에서 음식을 만드는 게 할 수 있는 최선이다!

-------------------------------------------------------


그때는 내가 좋아하는 이 가게가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켰으면 하는 바람으로

열심히 가서 먹고 동네방네 소문을 내던 기억이 아직도 난다.

그러나 어느 순간 다시 찾아갔을 때, 문을 닫았으면 어떡하나 하는 내 걱정대로

정말 '포 시즌' 식당은 영업을 중단했다.

정확한 이유는 알 길이 없지만, 많은 음식점들이 그렇듯이

손님이 적어 장사가 어렵고 가게 유지비는 많이 드니, 결국 문을 닫은 것이리라.


한국의 수많은 작은 가게들이 얼마나 이런 식으로 사라져 갔을까.

사실 '포 시즌'보다 더 훌륭한 음식 맛을 내는 식당들은

그 당시에도 얼마든지 있었을 거다.

하지만, 큰 규모의 가게들 틈에서 작고 소박한 가게를 자기 식으로 운영해 가는

그런 곳도 함께 존재하면 안 될까.

2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영화 <카모메 식당>같은 분위기의 그 식당만 생각하면 늘 아쉽다.

지금은 어디서도 먹을 수 없는 맛이니 더 아련하게 느껴지는지도 모르겠다.


20여년이 훌쩍 지나, 지금 살고 있는 일본에서도

경제적인 안정을 찾기 어려운 자영업자들을 자주 보게 된다.

다음달이면 곧 폐점이 될 동네 빵집을 비롯해

앞으로도 얼마나 많은 작은 동네 가게들이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게 될까.


멀리서도 일부러 사람들이 찾아오는 좋은 가게가

우리 동네에 있다는 건 참 뿌듯하고 행복한 일이다.

이미 있는 좋은 가게들이 쓸쓸하게 사라져가지 않도록

자주 이용하고 소소한 이야기도 나누며 그 가게가 성장해 가는 걸

응원하고 싶다.

좋은 동네 가게가 많은 곳에 산다는 건, 일상의 큰 행복이니까.



크기변환_DSCN8354.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816149/eb0/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16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다짜고짜 아슬아슬 성교육, 아들 답이 걸작 imagefile [29] 신순화 2012-03-04 241210
2163 [김외현 기자의 21세기 신남성] 남편이 본 아내의 임신 - (5)성(性)의 도구화 image [1] 김외현 2012-05-14 173957
216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자, 생각해 볼까? imagefile 신순화 2019-04-12 156093
2161 [사진찍는 엄마의 길 위의 생각] 엄마 따라 3년째 싱싱한 자연감성 쑥쑥 imagefile 빈진향 2014-07-15 151547
21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40대 유부녀가 제대로 바람나면?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10 147726
215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와 무슨 이야기를 나눌까? imagefile [2] 신순화 2019-03-25 145859
21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방탄 소년 VS 방탕 소년 imagefile [3] 신순화 2019-03-22 144185
215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9편] 엄마도 봄! imagefile [9] 지호엄마 2019-03-12 134654
21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도끼질 하는 남편 imagefile [12] 신순화 2011-10-21 133061
2155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내가 사는 제주도 집에 가족들이 왔다 imagefile 최형주 2019-05-27 127670
21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나...... 좋아하는 사람 생겼어요!' imagefile [11] 신순화 2012-04-03 120263
2153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33편] 왜 이제야 나타난거야? 베이비트리 앱 imagefile [1] 지호엄마 2014-02-20 109832
2152 [김연희의 태평육아] 노브라 외출, 사회도 나도 준비가 안됐다 imagefile 김연희 2011-08-19 108220
2151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28편] 추석 연휴, 엄마와의 힐링 여행 imagefile [20] 지호엄마 2013-09-25 103019
2150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4.19kg의 거대아(?) 출산후기 1 imagefile [7] 김미영 2012-03-27 102522
21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엄마, 딸딸이가 뭐예요?" 엄마와 아들의 `성문답' imagefile [9] 신순화 2013-04-09 99395
2148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미안하다 딸아, 겁부터 가르쳐야하는 엄마가 imagefile 양선아 2010-07-23 98605
214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95377
214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19편] 엄마의 선택, 아~ 발도르프여!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2-12-27 92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