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9208.JPG

 항상 인심이 넉넉한 친구가 홍합을 한 박스 보내줬다. 워낙 손이 큰 친구라 사흘 밤낮으로 먹어도 다 못 먹을 양이었다. 한밤 중이었는데도, 눈앞에 떡 버티고 있는 홍합을 두고 내일을 기약할 수 없었따. 당장 홍합을 다듬어서 한 솥 끓였다. 때는 밤 12시, 우리 세 식구 원 없이 먹었다. 그 다음날 남은 홍합을 또 삶아 먹었다. 이쯤되니 다시는 홍합을 못 먹는다고 해도 전혀 서운하지 않을 것 같았다. 이제부터 먹는 홍합은 한계효용이 급격히 감소될 것이 뻔 했다. 그래서 대외적으로 홍합주간을 선포했다. ‘홍합이 생각나면 언제든지 우리집 문을 두드리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발신했다.

마침 이웃에 사는 언니가 전화를 했다. 저녁에 술 한 잔 하자는 거였다. 오호, 나이스 타이밍! 그럴 줄 알고 우리 집에 기가 막힌 술안주를 미리 준비해두었다고 했다. 몇 시간 뒤에 같이 있는 사람들과 집으로 오겠다고 했다. 그때부터 또 홍합을 다듬었다. 그렇게 몇 시간 동안 홍합 다듬는 일에 열중하다 보니 아차 싶었다. 내 꼬락서니와 집안 꼴을 챙기지 못한 거다. 까칠한 민낯은 기본이고, 며칠째 머리를 못 감아 제대로 떡진 머리. 집안 꼴도 얼굴 사정에 못지 않았다.(나중에 내 떡진 머리를 머리 감아서 그런  줄 알았단다. 푸훕) 빨래와 온갖 잡동사니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었고, 주방에는 설거지 거리가 수북이 쌓여있었다. 하지만, 이미 늦었다. 대충이라도 손 쓸 겨를도 없이 벨이 울렸다. 그 상태로 문이 열렸고, 일행 중에는 서로 본 적은 있지만, 우리 집에 처음 오시는 분도 있었다. 겉으로는 밝게 웃고 있었지만, 속으론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냐…딱 그 마음이었다.

얼마 전부터 이렇게 겁(?)을 상실하고 대범한 삶을 살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누가 우리 집에 온다고 하면, 그 전날부터 유난스럽게 대청소를 하던 나였다. 아무리 급해도 청소기도 한 번 돌리고, 얼굴에 비비크림도 발라서 최소한의 품위(?)는 유지하던 나였다. 그런데, 그 얄팍한 품위조차 점점 바닥나고 있다.

애 낳기 전에 나는 이런 사람이 아니었다. 우선, 사람들을 이렇게 빈번히 집에 초대하는 일은 없었다. 사람들에게 늘 깔끔하고 정리된 모습만 보여주고 싶었다. 그러나 보여주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연출과정이 필요했고, 자주 연출하려면 피곤하니까 그냥 밖에서 ‘쾌적한 환경’을 소비하는 쪽을 택하곤 했다.

그런데, 아이가 생기니 전혀 달라졌다. 처음에는 아이를 데리고 음식점이나 커피숍을 전전했었다. 그런데 돌발상황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가 연출하는 일보다 더 고달팠다. 그래서 집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처음엔 제대로 청소도 하고, 연출도 했다. 청소도 제대로, 음식도 제대로 준비하고, 머리도 감고 드라이도 했었다. 적어도 애 엄마처럼 푹 퍼져있다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았으니까. 그런데, 어느 샌가 준비시간이 점점 짧아지고, 연출하는 가짓수가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 가까운 이웃과 더 자주 더 계획없이 만나는 까닭에 이제는 아예 평소 모습, 초자연인의 모습으로 뻔뻔하게 사람들을 마주한다. 삶이란 늘 정리 정돈된 상태가 될 수가 없다. 특히 애 엄마는 아예 불가능하다. 그걸 인정하고나니 한동안 유지되었던 가식과 품위는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갔다. 그리고 한 두번 해보니 용기가 생겨, 이제는 언제, 어떤 순간에도 마음 편하게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그렇게 나는 망가져(?) 가는 대신, 우리집 문(마음)은 항상 열린 상태가 되었고, 마음도 편안해졌다.

가끔 포털 뉴스에 심심치 않게 지나가는 뉴스 중에 하나가 ‘애 엄마 맞아?’ 이다. 애 엄마인데, 처녀처럼 완벽한(?) 몸매, 피부, 화장, 스타일 등등이 유지된다는 의미다. 애 엄마한테 '아줌마'는 흉이고, ‘애 엄마 아닌 거 같아’는 칭찬인 세상이다. 애 엄마가 애 엄마가 아닌 것처럼 보이기 위해 들이는 수많은 노력들을 폄하하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마흔을 바라보면서도 가끔 그 이야기가 솔깃한 건 사실이고, 그렇게 관리되거나 그렇게 타고난 사람을 보면 신기하고 부럽긴 하다. 그런데, 중요한 건 나는 그렇게 못하겠다는 거. excuse me!!! 푹 퍼졌다, 망가졌다 소리도 달게 듣겠다. 그냥 생긴 대로 마음이나 편하게 살겠다는 게 지금 이 순간에도 세수도 못하고 파자마차림으로 앉아서 이러고 있는 나를 위한 위로 혹은 핑계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연희
30대 중반, 뒤늦게 남편을 만났다. 덜컥 생긴 아기 덕분에 근사한 연애와 결혼식은 건너뛰고, 아이 아빠와 전격 육아공동체를 결성해 살고 있다. '부자 아빠=좋은 아빠', '육아=돈'이 되어버린 세상에 쥐뿔도 없으면서 아이를 만났고, 어쩔 수 없이 '돈 없이 아기 키우는 신세'가 되었다. 처음엔 돈이 없어 선택한 가난한 육아였지만, 신기하게도 그 경험을 통해 가족, 친구, 이웃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어가고 있다. 더불어 몸의 본능적인 감각에 어렴풋이 눈을 뜨 고 있으며, 지구에 민폐를 덜 끼치는 생활, 마을공동체에 재미를 들여가고 있는 중이다.
이메일 : tomato_@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slow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40894/9b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3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가고 싶은 나라, 김밥나라 imagefile 윤아저씨 2010-12-29 29565
12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관심요망!! imagefile 윤아저씨 2011-01-05 29497
11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살면서 억울한 일도 있단다 imagefile 윤아저씨 2011-03-03 29447
10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파리 imagefile 윤아저씨 2010-12-16 29384
9 [동글아빠의 육아카툰] [육아카툰] 시샘하기 imagefile 윤아저씨 2010-12-08 28817
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장난감 열 개? 함께 놀아주세요 imagefile 신순화 2010-12-20 28811
7 [김태규 기자의 짬짬육아 시즌2] 세월호 리본 만든 아이 눈에 imagefile [6] 김태규 2015-10-11 28782
6 [김미영 기자의 공주들이 사는 법] 벌써부터 사교육비 걱정?! imagefile 김미영 2011-04-08 26701
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모두가 함께 하는 작은 학교 운동회 imagefile [5] 신순화 2015-05-07 26681
» [김연희의 태평육아] 묻지마 품위! imagefile [4] 김연희 2011-12-09 26208
3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아이들, 선생님께 상장을 수여하다 imagefile 정은주 2017-01-30 25792
2 [너의 창이 되어줄게] 캠핑 예찬 imagefile [6] 임경현 2015-09-14 25110
1 [너의 창이 되어줄게] 복직, 새로운 시작 imagefile [5] 임경현 2015-10-30 2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