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후 줄지 않는 뱃살에 우울하고...




우울해서 자꾸 단 것을 먹고...




단 음식 때문에 살은 계속 찌고...




악순환의 고리는 언제쯤 끊어질까?






a406592ec1a2f9a549407ed8e759fdf2. » 출산 네달 뒤 재본 허리 사이즈, 숨을 들이쉬고 아무리 졸라도 30인치가 넘는다.




산모마다 산후우울증의 강도와 방향이 다 다르듯이 산후우울증에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있는 것 같다. 아이와 씨름하며 느끼는 고립감이나 외로움이 절대적인 독립변수라면 출산 이후의 외모 변화는 상대적인 종속변수다.




출산하기 전에는 출산 후의 변화, 즉 다이어트 문제에 대해서 별로 걱정을 하지 않았다. 출산 전으로 돌아갈 자신이 있어서가 아니었다. 출산 전에도 사람들의 부러움을 받는 몸매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냥 무신경했던 것 같다. 뭐, 어떻게 되겠지, 여기서 몇 킬로그램 더 찌나 안찌나 비슷하지 않겠어? 라고 막연히 생각했다.




그런데 얼마 전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남자들이 싫어하는 여자들의 옷차림 첫번째로 레깅스가 꼽히는 걸 보고 기분이 급다운됐다. 임신중기부터 지금까지 사시사철, 낮과 밤, 실내외를 막론하고 레깅스를 교복삼아 입어왔기 때문이다. 평소 같으면 코미디 프로그램 같은데서 나의 처지가 희화화되면 더 깔깔대고 좋아했는데 우울증 탓인지 완전히 의기소침해졌다.




 냉정하게 말해 현재 내 처지가 아주 심각한 건 아니다. 몇달 전 신문에서 건강칼럼을 보니 한국 임산부들이 평균적으로 15킬로그램 쪄서 출산 후 10킬로그램 정도 빠진다고 했으니 평균 수준에 불과하다. (물론 그렇게 남은 5킬로그램이 문제라는 게 칼럼의 주제이긴 했지만 --;;)  출산 후 내 모습을 본 사람들도 쪽 빠졌다고 말하니 내가 엄살떤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오로지 생존!(시장, 병원 등 간단한 외출)을 위해서 입어본 바지들이 하나도 맞지 않음을 확인했을 때의 기분은 참 별로였다. 출산 130일이 지난 지금 허리 사이즈가 30인치대의 중반에서 전혀 내려갈 생각을 안하고 있으니 과연 옛날에 입던 옷들을 다시 입을 날이 올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 생각은 내가 옛날의 잘나가는 커리어우먼(은 아니었고 뭐 그래도 평범한 직장인)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라는 청승맞은 상념으로까지 확대된다. 좀처럼 가까워지지 않는 바지의 단추와 단춧구멍 사이는 ‘민간인 사회’와 나와의 머나먼 거리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문제는 단지 빠지지 않는 살만이 아니다. 다이어트도 현재의 상황으로서는 참으로 요원하다는 게 문제다. 모유수유 때문에 친구 표현대로 ‘소처럼’ 먹어야 하는 상황이라서만은 아니다. 아이를 낳고 중독자가 돼 버렸다. 빵 중독자, 초콜릿 중독자. 아이와 둘이 있으면 외로움에 치를 떨며 임신 전에는 거의 무관심하던 남편의 퇴근 시간을 쌍심지 켜고 기다리는 나. 사실 남편보다 더 기다린 건 그가 사오는 케이크였다. 회사 앞 빵집에서 파는 ‘초콜릿 덩어리인지 케이크인지 구별하기 힘든 초콜릿 케이크’는 유일하게 요즘 나의 시름을 덜어주는 친구다.




육아로 몸은 지치고, 마음은 우울하니 초콜릿이나 크림빵 같은 단 음식이 땡기지 않을 도리가 있는가 말이다. 산후 도우미 아주머니가 이런 음식은 젖을 줄인다고 경고했건만 포기가 안된다. 오죽하면 케이크를 엄청 쌓아놓고 먹는 꿈까지 자주 꾼다. 우울해서 단 거 먹고, 늘어지는 뱃살에 다시 우울해지고의 반복이다. 뱃살을 줄이고 싶은 마음 간절하지만 누군가 ‘흥,  초콜릿 케이크부터 끊으시죠!’라고 냉정하게 말한다면 어쩌면 그 사람의 머리끄덩이부터 잡아당길지도 모르겠다.




이러니 뱃살 줄이기는 요원해 보이고, 옷장 속의 옛날 옷을 꺼내입을 날도 요원해 보이기만 한다. 이렇게 징징거리는 나를 보면서 남편은 청승 떨지 말고 새 옷사라고 말한다. 하지만 새옷 사면 지는 거다!  마음 약해져서 지금 88사이즈를 샀다가는 평생 그 사이즈로 남을 것만 같다. 그래서 나는 요즘도 옛날 옷을 다시 입을 생각으로 줄기차게 임시방편 레깅스 차림이다. 이노무 임시방편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기약 없지만 언젠간, 언젠간 허리 사이즈 20인치대(아 물론 옛날에도 29였읍죠--;;)로 다시 돌아가고야 말테다. 일단, 케이크 한 조각부터 먹고...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태그
첨부
김은형 기자
투명하게 비칠 정도로 얇은 팔랑귀를 가지고 있는 주말섹션 팀장. 아이 키우는 데도 이말 저말에 혹해 ‘줏대 없는 극성엄마가 되지 않을까’, 우리 나이로 서른아홉이라는 ‘꽉 찬’ 나이에 아이를 낳아 나중에 학부모 회의라도 가서 할머니가 오셨냐는 소리라도 듣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서는 엄마이다. 그래서 아이의 자존심 유지를 위해(!) 아이에게 들어갈 교육비를 땡겨(?) 미리미리 피부 관리를 받는 게 낫지 않을까 목하 고민 중. 아이에게 좋은 것을 먹여주고 입혀주기 위해 정작 우는 아이는 내버려 두고 인터넷질 하는 늙다리 초보엄마다.
이메일 : dmsgud@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6983/0a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 [김은형 기자의 내가 니 엄마다] 단추와 구멍의 비극, 옷 사면 진다 imagefile 김은형 2010-07-06 2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