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노동’은신문배달이었다 3 수험생 시절밤잠이 많아 늦게까지 공부를 하거나 밤샘 공부를 할 수 없었던 나는 야간자율학습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일찌감치 잠자리에 들었다가 새벽 4시에 일어나곤 했다수능을 마친 직후새벽 4시에 일어나던 버릇이 아직 몸에 남아 있던 때그 시간에 무얼 할까 생각하다 신문배달을 해보기로 했다.

 

초겨울의 깜깜한 골목길을신문 60부를 실은 ‘구르마’를 끌고 나는 걸었다오토바이를 탈 수 없는 내게 많은 일을 맡길 수 없었던 보급소장은 엘리베이터가 없는 5층짜리 아파트가 늘어서 있는 단지 몇 개를 도는 일을 내주었다얼마 되지 않는 분량이었지만 동트기 전에 배달을 마치려면 아파트 계단을 뛰어 올랐다 내려와야 했다빈 구르마를 끌고 밝아오는 아침을 맞으며 터덜터덜 보급소에 가면그 사이에 어느 집에선가 ‘신문이 오지 않았다’는 신고가 접수되는 경우가 있었다그러면 보급소장은 나를 오토바이 뒷자리에 태워 다시 그 집에 가서 신문을 주고사과를 하게 했다나는 분명히 쪽지를 손에 쥐고 동/호수 확인해가며 배달을 했는데그런 항변은 하려야 할 수 없었다그저 내 탓이려니 하면서도 자존심 상했다그렇게 시작했던 나의 첫 ‘노동’은두 달도 채 못되어 끝났다.

 

곧 대학생이 되었지만그건 곧 ‘알바’인생이 시작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했다운 좋게 받게 된 장학금이 아니었으면 대학에 못 올 형편이었으면서 계속 ‘용돈’을 받아 쓸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그렇게 구한 첫 자리는 학교 앞 빵집. 오후 네 시부터 밤 열 시까지앉을 곳도 앉을 틈도 없이 일했다그렇게 해서 받는 돈은 시급 2300그나마도 한 달씩 근무 개월 수가 늘어나야 한 달에 100원씩이 올라 2700원까지 받을 수 있는구차하기 짝이 없는 돈이었다.

 

‘빵집 알바생’이 해야 하는 일의 목록은 끝도 없었다매장 청소출입문과 유리창 닦기구워진 빵 내오기떨어진 빵의 냉동 생지 꺼내오기케이크 포장하기케이크 진열장 채우기데워 내 주길 원하는 손님을 위해 전자레인지에 빵 돌리기바게뜨 빵 썰기생크림 케이크 위에 올라갈 과일 장식 얹기손님 응대하기샌드위치에 들어갈 계란 부치기빵에 들어간 재료 설명하기어떤 이유에선지 반품하려는 손님과 어떻게든 반품을 받지 않으려는 점주 사이에서 진땀 빼기 등등.. 정말이지 쉴새 없이 닥치는대로 일해야 했다그렇게 일해서 남는 건 시급 2300유통기한 지난 케이크 한 조각그리고 가끔 바게뜨 빵을 썰다 칼에 베여 반창고를 덕지덕지 붙인 손가락그 뿐이었다대학 4대학원 2년의 과정을 마칠 때까지나는 빵집공부방 한 군데학원 두 군데과외 대여섯 곳, 회사 임시직 연구원고시원 총무 일을 번갈아 하며 푼돈을 벌었다그 돈으로 네 식구 사는 지하방의 월세를 보태고밀린 공과금을 내고유학 준비에 들어가는턱없이 비싼 시험 비용을 댔다그 정도의 노동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었다우리가 사는 세상에선 ‘노동’마저도 양극화되어 있다는 사실을아무리 일해도 벗어날 수 없는 가난과 끝없는 노동, 차별의 굴레 속에 갇힌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는 사실을. ‘비정규’ ‘임시’ ‘알바’ 딱지를 달고 이 동네 저 동네 전전하던 나 역시 그 중 하나라는 사실을.

 

김진숙의 <소금꽃나무>를 읽으며여러 번 책을 놓아야 했다그가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은 삼십 년이십년 전의 일이고이 책이 나온 것은 십년 전인데지금 이 순간에도 노동의 현장엔 책 속에 묘사된 일들이 숱하게 벌어지고 있다그런 생각을 하면 마음이 갑갑해져 책을 더 읽을 수가 없었다삼십 년 세월 동안 ‘민주정부’가 들어섰지만노동 환경은 그리 크게 달라진 것 같지 않다바로 얼마 전여성 마트 노동자가 일터에서 쓰러진 후 응급처치를 받지 못한 채 목숨을 잃었다순식간에 ‘희망퇴직자’ 명단에 자신의 이름을 올려야 했던 노동자 두 사람이 세상을 떠났다청년 노동자 한 사람이 마트 무빙워크 수리작업을 하다 숨졌다누군가는 핸드폰을 만들다 실명을 하고, 3교대에 태움을 당하는 간호사들이 유산을 하고, 누군가는 병에 걸린다. 위험하고 고된 작업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어떤 보호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고최저임금이 올라도 그 법의 테두리 안에 들어와 있지 않은 사람도 많다어떤 사람들은 ‘노동자’로 인정조차 받지 못하고또 어떤 사람들은 스스로를 ‘노동자’로 여기지 않기도 한다그리고 그 많은 사람들 ‘위’에는노동자를 자기가 부리는 하수인쯤으로 여기고 ‘종업원’이라 칭하는 ‘고위경영진’이 있다하루 종일 서서 계산하고청소하고배달하고무언가를 만들고옮기고, 그 많은 일들을 ‘사람’이 하는데도어떤 이들은 손 하나 까딱 않고 다른 이의 노동에 기대어 풍족함을 누리고노동하는 이들은 자신의 노동이 자기 삶에 ‘월급’ 외에 무엇을 가져다 줄 수 있을지 알지 못한 채 그저 하루 하루 일할 뿐이다평생을 수저 찍어내는 기계 앞에서 기름밥도금밥 먹는 내 아버지와십여 년 식당 일을 거쳐 이제 요양원에서 어르신들을 돌보는 내 어머니의 노동이 우리 사는 세상에서 얼마나 하찮게 여겨지는지도충분히 알고 있다.  

 

이런 노동의 조건을 만들어 온 것은 우리가 아니지만우리가 이 조건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건 확실한 것 같다몇 년 전 원자로 취수구 작업을 하다 목숨을 잃은 잠수사그리고 용광로에 떨어져 목숨을 잃은 청년의 이야기를 내 눈과 귀로 똑똑히 보고 들었으면서도나는 하루에 몇 시간씩 노트북을 켜놓고 자판을 두드리며 ‘값싼’ 전기를 쓰고물건의 값을 꼼꼼히 따져가며 물건을 산다유해 수습마저 할 수 없었던 그 잔인한 사고 후에도 잠시 잠깐 눈물 짓거나 죄스러워할 뿐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잊고 금새 더 많은 풍족함을 누리고 사는 게 사실이다서비스 노동 구매비용이 한국보다 높은 미국에 살면서 ‘내 돈’ 아끼려고 서비스 구매 자체를 포기한 경험도 많고구매 비용에 비해 떨어지는 ‘서비스의 질’을 비판한 경험도 많다그 사이사이 느껴지는 불편함과 부당함을 가끔은 소리내어 이야기해보지만그 때뿐이다많은 경우 그런 이야기는 내가 얼마나 ‘양심 있고 생각 있는’ 사람인지 드러내려는 몸부림일 뿐결국에는 ‘우리처럼 없이 사는 사람이 그런 것 다 따져 가며 살기엔 세상이 너무 이미 이렇게 되어버렸다’며 합리화하고 만다.

 

요즘 아이는 종종엄마 아빠 흉내를 내느라 가방 한 가득 짐을 싸서는 ‘일하러 가야 한다’며 안방으로 종종걸음을 친다이 아이에게 ‘일’이란손바닥만한 전자사전을 켜 놓고 엄마 아빠가 노트북으로 글 쓰는 흉내를 내는 걸 말한다아이의 천진스러운 놀이를 보며 깔깔 웃지만 ‘일’이라는 단어 속에 담긴 많은 이야기를 언제쯤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게 될까 생각하며 생각에 잠기기도 한다우리 집 수도가 고장 났을 때 신발을 신은 채 성큼성큼 들어와 뚝딱 고쳐주는 기사 아저씨하루 종일 너와 네 친구들을 돌보는 어린이집 선생님그리고 어린이집에 오가는 길에 보이는꽁꽁 언 땅을 깨트려가며 도로 공사를 하던 사람들그 사람들의 노동이 있어 우리의 하루가 이렇게 평탄하게 굴러가고 있는 거라고 아이에게 말해주어야 하는데네가 가지고 노는 모든 장난감에 찍힌 메이드 인 차이나라는 그 짧은 문구 속에도 노동, 노동의 가치, 이윤 때문에 이리 저리 옮겨다니는 공장, 그곳에서 하찮은 대접을 받으며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해주어야 하는데. 정작 나조차도 그 사실을 잊기 일쑤다그렇게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연결되어서로에게 기대어 살아가고 있다고그러니 누군가 ‘일하고 싶다’고, ‘인간답게 일하고인간답게 살고 싶다’고 외칠 때 그 목소리를 듣고 함께 외쳐야 한다고 말해주어야 하는데정작 나조차도 ‘듣기’만 할 뿐 ‘함께’ 외치지는 않는다

 

세기를 넘어, 지역을 넘어, 국경을 넘어, 업종을 넘어, 자자손손 대물림하는 자본의 연대는 이렇게 강고한데 우리는 얼마나 연대하고 있습니까? 우리들의 연대는 얼마나 강고합니까? 비정규직을, 장애인을, 농민을, 여성을, 그들을 외면한 채 우린 자본을 이길 수 없습니다.”

 

김진숙이 써 내려간 이 세 문장을 읽고, 부끄러워 다시 책을 내려놓았다. 나를 보고나를 따라 배우는 아이를 두었으니 지금부터라도 그렇게 할 수 있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고서, 다시 책을 집어 들었다등에 소금꽃나무 한 그루 피워본 일 없이, 신문 배달과 빵집과 학원 일을 해보았다는 얘기로 노동을 추억삼아 이야기하는 나의 염치없음을 다시 한 번 상기했다. 그렇게 책장을 덮고 보니, 어느새 5월이다.

 

5 1일은 메이데이, 노동절. 노동하는 모든 이에게 하루 쉼을 선사하지도 않는 우리의 세계에서, ‘근로자의 날은 누구를 위한 날일까. ‘종업원이 한 일은 자신이 알지 못한다던 이에게 집행유예 선고를 내린 사법부에선, 이 날을 무슨 날로 이해하고 있을까. 따뜻한 봄날 소금꽃나무 몇 그루씩 등에 지고 일하고 있을 모든 일하는 사람들에게, 진짜 은 언제 올까

 

읽은책: 김진숙, <소금꽃 나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911324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84333/a76/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20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장조림, 아, 소고기 장조림!! imagefile 신순화 2018-05-30 12416
2084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하늘 나라 엄마에게 보내는 편지 imagefile [9] 강남구 2018-05-28 24379
208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얘들아, 살림공부 하자 imagefile [2] 신순화 2018-05-25 12113
2082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빠와 아들의 취미 '낚시' imagefile [2] 박진현 2018-05-23 18554
208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아이와 바닷가 자전거 타기 imagefile [2] 홍창욱 2018-05-16 11635
2080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젖소들이 뿔났다 image [6] 서이슬 2018-05-15 11185
2079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육아 3종 세트, 착각과 오산 imagefile [3] 양선아 2018-05-14 10835
207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랑은 착각과 오해를 타고... imagefile [3] 신순화 2018-05-14 11329
207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나는 피를 흘린다 imagefile [2] 신순화 2018-05-09 13448
207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이젠 평화로 가자 imagefile [2] 신순화 2018-05-02 10980
207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삶을 디자인할 수 있는 아이 imagefile [4] 윤영희 2018-04-30 11724
2074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부모님께 닮고 싶지 않은 세 가지 imagefile [14] 강남구 2018-04-30 15773
»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5월에 피는 소금꽃 [4] 서이슬 2018-04-30 9923
2072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국외 입양인이 불행하다는 편견 image [1] 정은주 2018-04-27 8338
207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소설을 써야겠어요!! imagefile [5] 신순화 2018-04-24 12008
2070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아빠 어디가 imagefile [4] 박진현 2018-04-22 18761
206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이렇게 가까이 있는데 imagefile [3] 정은주 2018-04-19 14677
2068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77편] 체육이 사라지고 있다 imagefile [3] 지호엄마 2018-04-19 26773
206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발 큰 발레리나 imagefile 서이슬 2018-04-18 7319
206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날, 우리.. imagefile 신순화 2018-04-16 8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