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이와 이룸이 3.jpg

 

어떻게 하면 집안일을 애들한테 좀 시킬까를  궁리하는 내게 설거지는

늘 골치거리였다.

그동안은 아이들이 어려서 시키지를 않고 있다가 큰 아이가 아홉살때

갖고 싶은 장난감을 살 돈을 모으기 위해 몇 백원씩 주고 설거지를 시켰었다.

아들은 한 3-4일 열심히 했는데 겨우 그걸 가상하게 여긴, 아들바보인 남편이

거금을 용돈으로 한번에 주는 바람에 설거지 아르바이트는 끝났다.

 

큰 아이가 열살이었던 지난해에는 집안일을 엄마가 너무 많이 하는 것같으니

좀 나누자며 고르라고 했더니 아들은 설거지, 큰 딸은 신발 정리, 막내는

엄마 심부름을 골라서 한동안 그럭저럭 지켜졌다. 그러나 이내 아들이

불만을 제기했다. 동생에 비해서 자기가 너무 힘든 일을 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니 매일 저녁 설거지를 아들이 하고 있었는데 좀 과한 것 같아서

일주일에 3일만 하는 것으로 줄였다.

처음엔 제가 하고 싶은 날을 골라서 하더니 나중에는 슬슬 주말께로 미루다가

어영부영 안 하고 넘어가는 날이 많아졌다. 큰 딸도 이미 한참전에

실발 정리를 잊고 있던 참이었다.

 

드디어 큰 아이가 열한 살, 둘째가 일곱 살, 막내가 네 살이 된 올해..

집안일 나누기는 또 한 번 대대적인 조율에 들어갔다.

큰 아이는 닭장 관리, 나는 개밥 당번, 둘째와 막내는 앵무새와 금붕어 먹이 관리를

맡았다. 물론 자기 방 정리는 기본이고 이불 펴는 것은 아이들이, 개키는 것은

내가 하기로 했다. 그리고 설거지가 남았다.

우린 잠시 의논을 한 끝에 각자 자기가 먹은 그릇은 자기가 닦기로 했다.

네살 막내도 물론이었다. 아이들이 제가 쓴 식기만 닦아 놓으면

반찬그릇과 큰 설거지는 내가 하기로 했다.

밥 그릇과 국 그릇, 먹은 컵, 수저가 기본이었다. 아들은 좋아했다.

밥을 먹으면 재빨리 제 그릇만 얼른 씻어 놓고 물러갔다.  

일곱살 큰 딸은 마음이 넓어서 제 그릇 거두어 갈때 빈 반찬그릇도

가져다가 함께 닦아 놓곤 한다.

막내 이룸이도 제 그릇을 닦는다. 물론 막내는 옆에서 조금씩 도와준다.

그래도 여자애라서 그런지 그릇 닦는 손놀림이 야무지다.

 

이렇게 아이들이 설거지를 해도 내가 닦아야 하는 양이 훨씬 많긴 하지만

한동안 시행해 본 결과 나는 이 방식이 제일 맘에 들었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미루지 않는다. 날짜를 챙기거나 다그칠 필요도 없다.

밥을 다 먹는 순서대로 그릇을 가져다가 씻어 놓으니 나는 반찬을

정리해서 뒷 설거지만 하면 된다.

전에는 설거지가 제일 많은 저녁같은 경우 설거지 할 시간이 없어서

다음날 아침까지 그대로 개수대에 쌓여 있는 날이 많았다.

저녁을 먹고 나면 방 청소와 애들 씻기기에 이부자리 펴고

책 읽어주네 어쩌네 하느라 시간이 다 가곤 했는데 이제 각자 제 그릇을

닦아 놓으니 설거지 양도 줄었고 나도 요령껏 설거지를 쌓아두지 않고

그때 그때 조금씩 해 놓으니 큰 설거지가 쌓이지 않았다.

무엇보다 크 아이부터 막내까지 제 그릇은 제가 닦는다는 것에

익숙해진게 큰 소득이었다.

 

이제 큰 아이가 방학을 했으니 아이들과 부대끼며 함께 집안일을 할

시간이 늘었다. 다시한번 가족 회의를 해서 방학중에 집안일을

어떻게 나누어 할 것인가를 정할 것이다. 제대로 다 지켜지진 않지만

그래도 이렇게 시행착오를 거치는 동안 조금씩 조금씩 아이들이 집안일에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 온 것을 사실이다.

 

어서 어서 아이들이 커서 밥도 같이 하고, 걸레질도 같이 하고

내 일을 덥석 덥석 덜어갔으면 좋겠다.

공부하라는 소리는 지금껏 해본적이 없는 나는 오늘도

애들을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부려먹을까를 고민한다.

공부 잘 하는 애보다, 제 밥 스스로 챙겨 먹을 줄 아는 아이..

그게 내 교육의 목표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22991/af8/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5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의 진실!! imagefile [6] 신순화 2015-07-16 20322
24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한 밤중에 응급실, 주인공은 나!!! imagefile [2] 신순화 2012-08-07 20245
24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10년 걸려 성공한 혼자 머리감기!! imagefile [2] 신순화 2016-01-13 20210
24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빗속에서 놀아보자! imagefile [4] 신순화 2013-07-08 20018
24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배움에 목마르게 하자! imagefile [4] 신순화 2013-03-12 20003
24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내 슬픔 날려준 막내의 한 마디 imagefile [4] 신순화 2013-06-04 19979
2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담배 끊고 좀비 된 남편, 힘 내시라 imagefile 신순화 2010-11-23 19761
2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두근 두근, 대안학교 첫 등교 imagefile [8] 신순화 2012-02-21 19723
2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어제는 '바비', 오늘은 '클라라', 내일은 뭐 할꺼니? imagefile [2] 신순화 2013-01-22 19701
2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친정과 시댁, 두 개의 설 풍경 imagefile [1] 신순화 2014-01-07 19618
2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에게 못 당한다!! imagefile [4] 신순화 2012-06-05 19562
23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흔 여섯살의 공부 imagefile [6] 신순화 2015-01-21 19400
2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397
2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홉살 아들이 금발 염색에 서클 렌즈까지 ? imagefile [5] 신순화 2011-11-21 19345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연 많은 우리집 설거지 변천사! imagefile [2] 신순화 2013-07-24 19261
2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배움은 말이 아닌 삶으로 보여주는 것 imagefile [5] 신순화 2012-10-23 19245
23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언니처럼 할래요!! imagefile [2] 신순화 2012-07-24 19194
23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 여덟명 시댁 식구, 1박 2일 손님 치르기 imagefile 신순화 2011-11-01 19160
2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오페라의 유령'보다 진짜 귀신 될 뻔.. imagefile [4] 신순화 2011-12-19 19111
2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비 새고 벌레투성이여도 모험이 있는 집! imagefile [2] 신순화 2013-10-08 18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