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예능 프로그램인 '개그콘서트'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코너는
박지선과 박성광이 출연하는 '크레이지 러브'다.
아무리봐도 키 작고 못 생긴 두 배우들을 매력남, 매력녀라고 설정한 것 부터
웃음을 자아내지만 결혼하고 한참이 지났으면서도 결국은 서로의 치명적인
매력에 다시 반하고 만다는 결론은 늘 내 배꼽을 잡게 한다.
이 코너의 첫 시작은 늘 같은 대사다.
남편이 자신을 더 이상 사랑하시 않는다고 생각하는 아내가
"이제 나 좀 놔줘!"하고 외치는 것이다.
남편한테 최신 핸드폰을 선물한 뒤 그 자리에서 바로 남편에게 전화를 걸어
남편이 받으면 "이제 나 좀 놔줘!' 한다거나, 어려운 외국어를 배웠다며
알아듣기 힘든 발음들을 쏟아내고는 뜻을 묻는 남편에게
"이제 나 좀 놔줘!" 하는 식이다.
매번 이 대사가 나오는 계기가 참 기발하고 웃기지만 사실 이 대사는 내가
아이들을 향해 오랫동안 마음으로 외쳐온 말들이었다.
이제 엄마 좀 놔줘!!!!
첫 아이 키워 학교에 보냈을 때 둘째는 네 살, 막내는 한 살
둘째까지 학교에 보냈을때도 막내가 다섯살이었던 까닭에 내 곁엔
늘 아이가 있었다.
아이가 이쁘고 사랑스럽기는 처음이나 지금이나 매한가지지만
솔직히 늘 내 곁에 어린 아이가 있는 세월이 13년 동안 이어지다보니
가끔은 나 혼자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이 울컥 울컥 솟구치기 마련이다.
정말 읽고 싶은 책이 있어도 제 책 읽어달라고 매달리는 아이때문에 포기하거나
가끔은 까닭없이 울적해서 아무말 않고 싶을 때에도 옆에서 내 반응을 쉼없이
요구하는 아이에게 영혼없는 메아리같은 말들을 쏟아 놓을때도
혹은 밤 늦도록 일을 하고 난 다음날 정말이지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있고 싶을때도
배고프다는 아이말에 좀비처럼 일어나 밥을 준비할때도
마음으로 '엄마 좀 그냥 놔 둬!!'를 얼마나 외쳤는지 모른다.
남편이 출장 간 날, 저마다 엄마 옆에서 자고 싶다는 세 아이들 때문에
자다가 서너번이나 일어나 잠자리를 바꾸던 밤에는 정말이지
이제 정말 엄마 좀 내버려 둬!! 하고 소리치고 싶었다.
사랑하지만 가끔은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듯, 나와 아이들은
너무 가깝게 너무 오랫동안 함께 있었다.
올 3월에 드디어 막내가 병설유치원에 입학해서 매일 세 아이가 등교를 하게
되었다. 아침은 전보다 훨씬 더 바빠졌지만 세 아이가 모두 떠난 집에 들어서면
느끼는 그 자유의 맛이란...
혼자 있어도 빨래는 해야 하고, 청소와 설거지, 집안 정리며 이런 저런 일들이
넘쳐나지만 나 혼자 해 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신난다. 바쁠때 일에만
몰두할 수 있는 것도 얼마나 달콤하던지..
한참 설거지 하다가도 애가 부르면 달려가고, 한창 빨래를 비비던 중에도
애 한테 달려가던 세월에 비하면, 한 번 시작한 빨래며 설거지를 끝까지
마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자유의 맛은 달고 진하다.
잼 바른 빵에 견과류와 애들 먹는 유산균 음료 한잔을 접시에 담아
책상에 앉아 책을 읽어가며 먹는 아침도 행복하다. 애들에게는
밥 먹을 때 책 읽으면 안된다고 하지만 나는 혼자니까 내 맘대로 한다.
읽고 싶은 책, 쓰고 싶은 글, 하고 싶은 일의 목록은 한이 없다.
날이 풀리면 저수지까지 산책도 하고, 가까운 이웃들과 뒷산에도 오르고
혼자 살짜쿵 시내에 나가 봄 옷 구경도 하고, 텃밭에 질펀하게 주저앉아
흙도 고를 수 있게 되었으니 13년만에 이런 행복이 없다.
큰 아이와 막내는 오후 3시에 끝나고 둘째도 막내가 끝나는 시간까지
학교에서 놀며 기다리기로 했으니 이제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내 시간이다. 마을 조합의 자원봉사 활동도 있고, 이런 저런 모임에
얼굴을 내밀어야 하긴 하지만 그래도 늘 아이를 달고 다니는 것에 비하면
나 혼자 다니고, 일하는 것은 그 자체가 자유다.
얘들아..
오후 3시까지 엄마는 자유부인이란다.
혹여나 그 시간에 엄마를 찾지 말아다오.
이제 엄마도 좀 놀아볼란다. 크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