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14일 밤 10시 54분, 

예정일을 일주일 넘겨 시작된 진통 끝에 역아가 되어버린, 

그래서 내 배를 갈라 낳은 아이. 

아이의 이름은 그 날부터 케이티가 되었다. 클리펠 트리나니(KT) 증후군. 


그로부터 만 4년. 

아이의 공식 이름은 케이티에서 클로브스로 바뀌었다. 

클로브스 (CLOVES:  Congenital, Lipomatous, Overgrowth, Vascular Malformations, Epidermal Nevi and Spinal/Skeletal Anomalies and/or Scoliosis ) 증후군. 


올해 우리는 아이의 의료기록을 모아 보스턴 아동병원에 소견서를 요청했는데,  

그 결과 보스턴 아동병원에서는 이 아이의 몸에 이렇게 긴 이름을 붙여주었다. 

KT라는 병명으론 다 담아낼 수 없는 다양한 양상을 좀 더 자세히 기술한 것에 불과하지만, 

그래서 완치법이 없는 것도,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도 같지만, 

어쩐지 이 이름은 더 낯설고 더 무겁다. 

아이를 따라 함께 성장한, 그래서 참 익숙하지만 한편으론 언제 보아도 낯선, 

아이의 크고 무거운 오른다리 처럼. 


이 결과를 받아 들고, 다시 우리 의사들과 상의를 거쳐 한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그리고 그 결정에 따라 이번 주 목요일, 아이는 수술실에 들어간다. 

무겁고 큰 오른발 발등의 부피를 줄여주는 시술을 하기 위해서다. 

수술 시간은 서너 시간, 입원은 하루, 회복기는 총 3, 4주가 예상되는, 간단하다면 간단하고 어렵다면 어려운 일. 그나마 다행인 건 그동안 같은 병명의 다른 사람들이 종종 겪는 심각한 증상을 한번도 겪은 일이 없어서 수술 후 경과도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수술의 결과로 큰 문제 없이 발등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면, 몇 개월 뒤 다리 일부의 부피를 줄이는 수술도 시도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마음을 다잡아봐도 불현듯 찾아오는 불안감은 어쩔 수 없다. 


그래도 이렇게 어려운 걸음을 끝내 떼어야만 하는 건, 

케이티든 클로브스든 우리와 평생 함께 살아야 하는 운명인 이상 

순간 순간 우리가 공존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 

뛰어 놀기 좋아하는 아이가 조금 더 가뿐하고 날렵하게 몸을 움직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 

그래서 십 수년 뒤 우리 품을 떠날 때 우리가 조금 더 편안한 마음으로 아이를 세상 속으로 내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 이 두 가지 바람을 안고 어렵고 복잡한 마음으로 아이를 수술실로 들여보낸다. 


이제 내일 모레면 만 네 살이 되는 아이, 

그리고 아이와 함께 태어난 만 네 살의 KT. 

때로는 싸우고 원망하지만, 대개 보듬고 어루만지며, 

그렇게 우리는 공존하고 있다. 

내년에도, 그 후년에도, 20년 후에도,

그럴 것이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서이슬
'활동가-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다. 막연했던 그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진 것은 운명처럼 태어난 나의 아이 덕분이다. 아이와 함께 태어난 희소질환 클리펠-트리나니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의 약자 KT(케이티)를 필명으로 삼아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라는 제목의 연재글을 썼다. 새로운 연재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은 아이책, 어른책을 번갈아 읽으며 아이와 우리 가족을 둘러싼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내 아이 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을 함께 잘 키워내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글과 삶을 꾸려내고 싶다.
이메일 : alyseul@gmail.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alyson0215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80114/29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100986
174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72
17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8
174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6-12-10 10469
17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604
1740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71
173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여섯 여자 imagefile [1] 최형주 2016-12-02 13640
17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43
17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1010
173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9편] 광화문 촛불집회를 다녀오니~ imagefile [6] 지호엄마 2016-11-29 43973
173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KBS 인간극장과 내 마음 속 촛불 imagefile [4] 강남구 2016-11-25 15975
173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 있는 집, 정리수납 도전기 1 imagefile [6] 양선아 2016-11-24 19027
173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58
1732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아빠도 주양육자가 될 수 있다 imagefile [2] 이승준 2016-11-18 11167
17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왜 늘 고통은 국민 몫인가 imagefile [4] 윤영희 2016-11-18 14037
17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시민들이 만든 어린이식당 이야기 imagefile [9] 윤영희 2016-11-14 14360
172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번째 유치원 면담을 가다 imagefile [1] 홍창욱 2016-11-13 12056
172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가장 먼저 사랑을 해 imagefile [1] 최형주 2016-11-10 10486
1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422
172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박근혜와 오래된 가방 imagefile [8] 강남구 2016-11-10 2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