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00508-3.JPG



“하늘아 큰~하늘 어디 있어?”

“쩌꺼!”

“아기 하늘 어디 있어?”

“이꺼!”

 

와,

하늘 어디 있냐고 물으면 항상 자기를 가리키던 하늘이가

오늘은 하늘이 머리 위에 있다고 손짓하며 말했다.

며칠 전에 산책을 하면서 너랑 이름이 같은 하늘이 저 위에 있다고,

저 하늘은 큰~ 하늘이라고 알려주었는데 그 때 이해를 한 것일까?

기특하고 신기하다.

 

바다는 두 살 정도 되었을 때 큰산이 큰 바다를 가리키며 “바~~~~~~다!”라고 하고

아기 바다를 가리키며 “바다!”라고 해서 길고 짧게 소리를 내어 가르쳐주었다.

그 때도 그걸 이해하는 바다가 참 예뻤는데.

 

높고 넓고 아름다운 하늘을 볼 때 마다

하늘이 너도 저 하늘이랑 똑같다고,

크고 깊고 신비로운 바다를 볼 때 마다

바다 너도 저 바다랑 똑같다고,

둘째 딸 하늘이와 첫째 딸 바다에게 이야기해준다.

 

산책을 할 때 마다 가려지지 않은 큰 하늘과

멀리 보이는 파도치는 바다를 보니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저 하늘과 내가 같고

저 바다와 내가 같다고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

라고 여겼는데,

바다는 자기 이름이 저 바다랑 똑같아서 마음에 안 든다며

도대체 왜 그렇게 지었냐고 따진다.

마음에 안 들면 네가 네 이름을 지으라고 했더니

하루에도 몇 번씩 이름을 바꾼다.

오늘은 “나 이름 바꿨어. ‘음머’야.” 라고 자기 이름을 소개했다.

아직 어리니까 그 이름이 어떤 이름인지 모르는 거라고 ‘음머’엄마는 생각하고 있다.

 

임최바다.

임최하늘.

큰산의 성 ‘임’과 나의 성 ‘최’를 함께 쓴 ‘임최’라는 성과

자연 에너지가 가득한 바다와 하늘이라는 이름을 두 딸에게 주며

얼마나 가슴이 뛰었는지 모른다.

아이들이 뱃 속에 있을 때 큰산과 함께 수없이 감탄하며 아이들의 이름을 불렀다.

푸른 바다 냄새를 맡듯이 “바다야...”를 부르고,

높은 하늘을 바라보듯이 “하늘아...”를 불렀다.

 

하늘이가 자연의 하늘과 자신의 이름을 구분한 오늘.

바다 그리고 하늘

두 이름을 지어줄 때의 그 떨림을 다시 느끼고

매일 바다와 하늘을 만나며 아이들 삶에 자연의 기운을 불어넣어줄 수 있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를 생각한다.

 

고맙다.

아이들 이름과 같은 바다와 하늘이라는 자연에게 고맙고

아이들이 잘 크고 있는 것이 고맙고

제주도에 살고 있는 것이 고맙고

이렇게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쓸 수 있는 것도

고맙다.


아이들 덕분에 

참 많은 것이 

고맙다.

 



DSC00196-1.JPG



DSC00466.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최형주
이십 대를 아낌없이 방황하고 여행하며 보냈다. 서른 살이 되던 해에 시골 대안학교로 내려가 영어교사를 하다가 남편을 만나 결혼했고 지금은 두 딸 바다, 하늘이와 함께 네 식구가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에 살고 있다. 부모님이 주신 '최형주'라는 이름을 쓰다가 '아름다운 땅'이라는 뜻의 '지아'에 부모님 성을 함께 붙인 '김최지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베이비트리 생생육아에 모유수유를 하며 겪은 에피소드를 그림과 글로 표현한 ‘최형주의 젖 이야기'를 연재 완료하였다.
이메일 : vision323@hanmail.net      
블로그 : https://blog.naver.com/jamjamlife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78853/5cb/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수
1745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만 네 살, 우리는 여전히 [11] 케이티 2016-12-13 100853
1744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0편] 전업맘이 되어보니 어때? imagefile [1] 지호엄마 2016-12-13 9462
174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리집만의 12월 imagefile [2] 윤영희 2016-12-11 11750
»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하늘 imagefile [1] 최형주 2016-12-10 10457
17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기대어 산다 imagefile [6] 신순화 2016-12-09 12582
1740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첫째가 아기가 됐다 imagefile [2] 박수진 2016-12-05 9449
173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여섯 여자 imagefile [1] 최형주 2016-12-02 13629
17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멕고나걸 교수의 주름에서 배우는 것들 imagefile [8] 신순화 2016-12-01 23213
173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돈 밖에 없는 빈곤 imagefile [3] 윤영희 2016-11-30 10996
1736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9편] 광화문 촛불집회를 다녀오니~ imagefile [6] 지호엄마 2016-11-29 43546
173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KBS 인간극장과 내 마음 속 촛불 imagefile [4] 강남구 2016-11-25 15969
1734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아이 있는 집, 정리수납 도전기 1 imagefile [6] 양선아 2016-11-24 18992
173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37
1732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아빠도 주양육자가 될 수 있다 imagefile [2] 이승준 2016-11-18 11152
173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왜 늘 고통은 국민 몫인가 imagefile [4] 윤영희 2016-11-18 14021
17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시민들이 만든 어린이식당 이야기 imagefile [9] 윤영희 2016-11-14 14351
172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세번째 유치원 면담을 가다 imagefile [1] 홍창욱 2016-11-13 12035
172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가장 먼저 사랑을 해 imagefile [1] 최형주 2016-11-10 10473
172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금은 광장으로 나가야 할 때 imagefile [5] 신순화 2016-11-10 19398
1726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박근혜와 오래된 가방 imagefile [8] 강남구 2016-11-10 24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