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아버지는 나에 대한 욕심이 있었을까?

간혹 사촌형에게서 생전의 내 아버지 이야기를 듣게 된다.

내가 몰랐던 아버지의 이야기,

특히나 나에 대한 이야기는 매번 듣는 이야기라도 귀를 기울이게되고 아버지를 생각하게 된다.

 

무뚝뚝한 경상도 사나이. 그 아버지에게도 자식이 어떻게 컸으면 좋겠다는 욕심이 있었을까?

없다면 그게 더 이상하겠지.

이제 갓 4살이 된 딸아이 아빠로 가끔 아이를 어떻게 키웠으면 좋겠냐는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늘 대답은 ‘잘 모르겠다’였다.

 

뜨뜨미지근한 대답으로 일관했는데 내 마음속에 언제부턴가 아이에 대한 욕심이 자리잡았다.

이름하여 ‘미각’.

입맛이라는건 평생 가는지라 어릴 적 엄마가 해준 음식이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건

그만큼 엄마의 음식에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텃밭에서 나오는 제철채소로 찬을 만들고

보글보글 찌개도 끓여 먹었던 그 입맛이 이제 어디로 갔는지.

농촌에서 일을 하며 아이를 돌보는 나로서는

그 이유가 어머니의 잃어버린 손맛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화학약품에 의존하여 재배되는 농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사과에 잔류농약이 있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물에 깨끗이 씻어서 껍질을 깎아내야 한다.

영양분이 많은 껍질, 과일껍질의 맛을 못 보고 그냥 버리는 것이다.

사과껍질에서 나오는 그 “향기”를 모르고 자란다면 얼마나 애석한 일인지.

 

며칠 전에는 마을에서 구멍이 송송 뚫린 쌈배추를 가져왔다.

집에는 얻어온 야채들이 냉장고, 베란다에 한 가득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마주치는 것이 벌레다.

벌레가 나오면 항상 잡아서 없애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벌레 또한 꼬물꼬물 기어다니는 “아기”라고 생각하니 차마 아이 앞에서 죽일 수는 없다.

 

“뽀뇨야, 이거 벌레야”라고 하니 “와, 벌레다”라고 하며 신기하게 쳐다본다.

아삭한 쌈배추의 식감을 배울 뿐 아니라

배추를 먹는 벌레까지 처음으로 보게 된 것이다. 말 그대로 현장교육이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그 지역의 조리방식대로 만들어진 문화를 담고 있고

그 지역에서 나온 신선한 제철 농수산물의 영양분과 특유의 맛을 담고 있다.

특히 과일, 야채등 농산물은 그 자체로 훌륭한 음식이며

손으로 만져보고 입으로 껍질부터 먹을 때만이 진가를 알게 된다.

 

주위에 아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맛’들이 너무나 많다.

나또한 그러한 맛에 길들여져 자랐고 어른이 된 지금까지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것을 극복할 방법에 대해 아내와 고민하는 것이

가끔 과자를 먹는다 하더라도 주식으로 먹는 밥과 반찬만큼은 제대로 된 것을 먹자는 것이다.

 

‘미각교육’.

 

다른게 무엇이 있을까.

몸에 좋은 제철 농산물을 고르는 엄마아빠의 눈.

그리고 과자가 넓혀주는 나쁜 미각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의 문화가 살아 숨쉬는 음식을 통해 좋은 미각을 키워주려는 노력.

 

작지만 거창하지 아니한가.

 

<선배가 귀농하여 농사지은 곶감. 얼려서 아이스크림처럼 뽀뇨와 먹고 있다. 내가 어릴적 먹던

하얀 곶감이 생각난다. 이것도 미각때문이겠지?>

*아래 사진을 클릭하시면 "아이스크림 대따 먹고 싶은 뽀뇨"를 보실수 있어요.

사본 -곶감.jpg

 

우리, 블로그 밖에서도 만나요 (^^)/

+ 트위터 + 페이스북 + 유튜브 +핀터레스트 + 메일로 받아보기 + 팟캐스트 제주이민편 + 아빠맘대로 동화책읽기 + 내 소개 & 스토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95277/025/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만 남겨두고 아버지는 가셨으니 홍창욱 2013-10-23 23373
7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파트를 되돌아보다 imagefile [2] 홍창욱 2013-10-09 18075
7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 아이를 맞이하는 아빠의 자세 [2] 홍창욱 2013-08-27 16497
7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갖기 위한 우리의 노력 imagefile [12] 홍창욱 2013-08-09 21086
7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한테 배운 ‘아이 관찰하는 법’ imagefile [4] 홍창욱 2013-07-16 19207
7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 어린이집에 가다 imagefile 홍창욱 2013-06-21 17524
7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은 강하고 아빠는 약했다 imagefile [6] 홍창욱 2013-06-07 18667
7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우리 부부 5개조 선언문 imagefile [4] 홍창욱 2013-05-21 25378
6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아빠임을 자각할때 imagefile [4] 홍창욱 2013-05-07 17877
6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제주도민의 1박2일 제주여행기 imagefile [3] 홍창욱 2013-04-26 20300
6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남 남편 전북 아내, 제주 딸의 말투는? imagefile [2] 홍창욱 2013-04-12 27552
6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른들은 왜 어린 아이들에게 돈을 줄까? imagefile [2] 홍창욱 2013-03-28 17835
6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봄꽃이 떨어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3-03-19 17435
6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기다리며 imagefile [2] 홍창욱 2013-03-05 17522
6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여기까지만 imagefile [2] 홍창욱 2013-02-20 18653
6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7천 원짜리 바지를 처음 산 날 imagefile [2] 홍창욱 2013-02-07 15446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미각교육, 아빠의 욕심 imagefile [8] 홍창욱 2013-01-24 16767
6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뿔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3-01-09 15955
5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공중파 방송출연 뒷담화, 뽀뇨네가 살아가는 방법 imagefile [2] 홍창욱 2013-01-02 17681
5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처음으로 매를 들다 imagefile [4] 홍창욱 2012-12-26 19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