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함께 있다보면 아이의 요구를 어느 정도 허용해야 할까를 잠시 고민할 때가 있다.

뭐라고 지적하기 귀찮을 때도 있고 이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넘어갈 때도 있는데

사건은 잠시간의 고민과 함께 시작되었다.

 

우리는 밤에 열리는 공연을 볼 생각으로 문을 나섰다.

시원한 캠핑장에서 밴드 공연을 볼 생각을 하니 콧노래가 절로 나오는 상황,

아빠는 ‘토끼 보러 가자’로 뽀뇨에게 바람을 잡고 있었다.

뽀뇨도 기분이 좋았는지 문앞에 대기중인 세발 자전거를 탔다.

 

“뽀뇨, 빵빵이 타고 토끼 보러 갈거에요.” 하니

“자전거 타고 토끼 보러 갈거에요”라며 되받아 친다.

어떻게 해야 할까 잠시 고민했다.

번쩍 안아서 엘리베이터로 튈 것인가

아니면 아주 조금만 지켜볼 것인가.

후자를 선택했는데 세발 자전거가 엘리베이트에 탔다.

 

‘그래, 세발 자전거를 가지고 차에 타지 뭐’하고 엘리베이트에서 내렸는데

아빠를 보는둥 마는 둥하며 전속력을 내기 시작했다.

선선한 시간인지라 놀이터에 놀고 있는 ‘친구 은수’에게 잠시 들렀다 가자며 멈추게 하려 했는데

 ‘토끼 보러 간다’며 결국 아파트 정문을 세발 자전거로 나섰다.

 

‘그래, 바람도 시원한데 아파트 바로 앞까지만 가지 뭐’하고 착한 아빠의 동행이 시작되었는데

신호등을 한번 지나고(여기서 한번 싸운다. 결과는 말 안해도 뻔하다)

골목길을 한번 가로질러서 수백여 미터를 갔다.

중간에 한 가게안의 아이에게 눈길을 한참 주고는 다시 정주행,

조금만 더 가면 동네 블록의 끝이 나온다.

 

<토끼보러 나섰는데 결국 동네를 이렇게 한바퀴 돌고있다. 아빠는 끌려가고..>

세발자전거뽀뇨1.jpg

 

여기서 또 한번의 대전을 예상했다.

가로지르기에는 조금 큰 도로.

지금 돌아간다면 진짜 토끼도 볼 수 있고 공연도 볼 수 있다.

아빠는 세발 자전거의 방향을 힘으로 돌려세웠고

뽀뇨는 울음을 무기로 밀어부쳤다.

길 가로지르기는 안된다는 선에게 약간의 타협, 동네 한바퀴로 합의에 이른것이다.

 

절대 되돌아 가지 않겠다는 아이를 억지로 끌고 갈수도 없고 그럴 명분도 없다.

아이가 좋아하는데 아빠라면 함께 동행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동네 한바퀴라는 합의가 이뤄지고 나니 마음이 한결 편해진다.

뽀뇨는 발로 신나게 페달을 저으며 속력을 내었다가

내리막길에는 발브레이크로 절묘하게 정지한다.

옆에서 마음 조리며 따르거니 앞서거니 하는데 4살 아이가 어떻게 이렇게 자전거를 잘 다루는지..

 

동네 블럭을 사각으로 돌아서 집으로 가는 길은 오르막이다.

분명히 ‘조금 있다가 아빠에게 안아달라고 하겠지’ 했는데

역시나 오르막길을 오르다가 자전거가 잠시 멈추었다.

한번도 내리지 않고 타다가 갑자기 서 있길래 가서 “왜 그래요?”하고 물었더니 “잠시 쉰다고”.

“그래, 잠시 쉬어요”하고 한참을 기다렸는데 그 자리에서 쉬를 했다.

기저귀를 안했는데..

 

축축한 바지를 입은 상태에서 또 오르막길을 오르기 시작했다.

잠시 쉬었다가 또 오르고 잠시 쉬었다가 또 오르고..

수백여 미터 오르막을 절대 내리지 않고 오르는 모습을 보고는

‘자전거가 정말 타고 싶었구나’하는 생각과 함께

아까 아빠가 고집피운 것에 대한 미안함이 쓰나미처럼 밀려왔다.

 ‘4살 뽀뇨가 아빠 생각보다 강하구나, 30대 중반을 넘기고 있는 아빠가 딸아이의 고집에 생각보다 약하구나’

하는 생각이 동시에 들었다.

 

중간에 완강히 버티며 울음으로 맞서는 아이를 보며 청을 들어줄 수 밖에 없었는데

생각해보니 그러기를 잘 한듯하다.

 

오늘 또 하나 배운다.

 

<내 생각보다 아이는 훨씬 강했다. 그래서 많이 놀랐다는..>

*아래 사진을 누르시면 뽀뇨 세발 자전거 타기 영상을 보실수 있어요.

세발자전거뽀뇨2.jpg 

우리, 블로그 밖에서도 만나요 (^^)/

+ 트위터 + 페이스북 + 유튜브 +핀터레스트 + 메일로 받아보기 + 팟캐스트 제주이민편 + 아빠맘대로 동화책읽기 + 내 소개 & 스토리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15281/52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만 남겨두고 아버지는 가셨으니 홍창욱 2013-10-23 23365
7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파트를 되돌아보다 imagefile [2] 홍창욱 2013-10-09 18064
7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 아이를 맞이하는 아빠의 자세 [2] 홍창욱 2013-08-27 16494
7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갖기 위한 우리의 노력 imagefile [12] 홍창욱 2013-08-09 21079
7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한테 배운 ‘아이 관찰하는 법’ imagefile [4] 홍창욱 2013-07-16 19197
7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 어린이집에 가다 imagefile 홍창욱 2013-06-21 17516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은 강하고 아빠는 약했다 imagefile [6] 홍창욱 2013-06-07 18657
7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우리 부부 5개조 선언문 imagefile [4] 홍창욱 2013-05-21 25372
6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아빠임을 자각할때 imagefile [4] 홍창욱 2013-05-07 17866
6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제주도민의 1박2일 제주여행기 imagefile [3] 홍창욱 2013-04-26 20284
6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남 남편 전북 아내, 제주 딸의 말투는? imagefile [2] 홍창욱 2013-04-12 27543
6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른들은 왜 어린 아이들에게 돈을 줄까? imagefile [2] 홍창욱 2013-03-28 17825
6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봄꽃이 떨어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3-03-19 17428
6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기다리며 imagefile [2] 홍창욱 2013-03-05 17511
6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여기까지만 imagefile [2] 홍창욱 2013-02-20 18643
6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7천 원짜리 바지를 처음 산 날 imagefile [2] 홍창욱 2013-02-07 15436
6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미각교육, 아빠의 욕심 imagefile [8] 홍창욱 2013-01-24 16760
6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뿔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3-01-09 15936
5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공중파 방송출연 뒷담화, 뽀뇨네가 살아가는 방법 imagefile [2] 홍창욱 2013-01-02 17668
5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처음으로 매를 들다 imagefile [4] 홍창욱 2012-12-26 19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