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음에 대해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적어도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는.

내 나이 29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으니 일찍 돌아가신 것은 아니지만

막 입대한 시기인지라 충격이 상대적으로 심하였다.

     

아버지가 사라지게 되었을 때의 그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가장 와닿는 표현이라면 “그 다음이 내가 되겠구나”라는 것이었다.

그 순간 죽음이라는 것이 두려웠다.

죽음을 앞둔 아버지를 어떻게 안정시켜드릴 수 있을까 하고

죽음에 관한 책을 3권 사서 읽으며

아버지를 핑계로 나 자신의 마음을 진정시켜야 했다.

 

하지만 머릿속으로 이해되는 것과 달리 죽음에 대한 살떨림은

쉬이 사라지지 않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큰아버지, 먼 친척, 친구 아버지, 친구 할 것 없이

5년 사이에 장례식장만 수도 없이 다녔다.

친구의 자살이 있었고 또 다른 여자친구가 결혼한지 얼마 되지 않아

꽃다운 생애를 마감하였다.

 

그 당시 나는 은평구의 뉴타운이 들어설 택지에 있었던 공동묘지의 인골들을

하나 둘 정리하는 작업을 하였다.

수십 구의 뼈에 묻어 있는 먼지와 흙을 털어내며 친구의 안타까운 소식을 들었을 때

나에게 삶과 죽음의 의미는 어떠하였을까?

 

그리고 나는 몇 년이 지나지 않아 제주로 내려왔다.

일련의 사건들이 어떤 영향을 미친 지는 알수 없으나 나

에게 죽음이라는 것은 가까이 있으며, 죽음이 두려운 만큼 삶이 절실해진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요 며칠 봄 햇살이 화창한 날, 며칠 뒤에 있을 아버지 제사를 떠올리게 되었고

자연스레 죽음이라는 것을 곱씹어볼 수 있었다.

이제 그 아버지가 돌아가셨듯 나또한 죽음을 맞이할 터인데

나는 어떻게 그 사실을 받아들이고 마음의 평정을 맞이할 수 있을까?

그런 생각에 이러다 보니 내가 너무나 사랑하는 내 딸 또한 자연스럽게 생겨났듯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라 생각하니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

 

왠 쓸데 없는 잡생각인가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부모가 자식보다 먼저 가는 것이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도 해보고

간디도, 예수도, 김구선생도 모두 죽었으니 나또한 사라짐이 합당한 것이라 마음을 다스려 본다.

 

오늘 저녁은 사람들을 만나 회 한 접시를 먹었다.

방금 전까지 펄떡 펄떡 뛰었을 생명체를 앞에도 두고

농담을 하며 마치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살점을 집어 삼키듯이

죽음은 우리에게 너무나 흔한 일상이고

그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또 삶이다라는 것으로 며칠간의 잡생각을 마무리 짓는다.

 

봄꽃1.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00621/be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만 남겨두고 아버지는 가셨으니 홍창욱 2013-10-23 23379
7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파트를 되돌아보다 imagefile [2] 홍창욱 2013-10-09 18082
7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 아이를 맞이하는 아빠의 자세 [2] 홍창욱 2013-08-27 16504
7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갖기 위한 우리의 노력 imagefile [12] 홍창욱 2013-08-09 21093
7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내한테 배운 ‘아이 관찰하는 법’ imagefile [4] 홍창욱 2013-07-16 19216
7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 어린이집에 가다 imagefile 홍창욱 2013-06-21 17528
7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은 강하고 아빠는 약했다 imagefile [6] 홍창욱 2013-06-07 18672
7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우리 부부 5개조 선언문 imagefile [4] 홍창욱 2013-05-21 25379
6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아빠임을 자각할때 imagefile [4] 홍창욱 2013-05-07 17882
6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제주도민의 1박2일 제주여행기 imagefile [3] 홍창욱 2013-04-26 20305
6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경남 남편 전북 아내, 제주 딸의 말투는? imagefile [2] 홍창욱 2013-04-12 27560
6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른들은 왜 어린 아이들에게 돈을 줄까? imagefile [2] 홍창욱 2013-03-28 17839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봄꽃이 떨어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3-03-19 17437
6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기다리며 imagefile [2] 홍창욱 2013-03-05 17523
6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여기까지만 imagefile [2] 홍창욱 2013-02-20 18658
6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7천 원짜리 바지를 처음 산 날 imagefile [2] 홍창욱 2013-02-07 15449
6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미각교육, 아빠의 욕심 imagefile [8] 홍창욱 2013-01-24 16773
6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가 뿔났다 imagefile 홍창욱 2013-01-09 15974
5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공중파 방송출연 뒷담화, 뽀뇨네가 살아가는 방법 imagefile [2] 홍창욱 2013-01-02 17684
5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처음으로 매를 들다 imagefile [4] 홍창욱 2012-12-26 19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