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거울에 비친 얼굴을 뚫어져라 쳐다본다.
눈 위에 주름이 자글자글하다.
아직 마흔도 안 되었는데 왠 주름살이람.
아내는 나이 먹으면 당연한 거 아니냐고 하지만 요즘 눈 위의 주름살,
거칠어진 손바닥, 들어가지 않는 배를 바라보며 마음이 착찹하다.
착찹한 아빠의 마음을 쭈글쭈글하게 만드는 이가 있었으니 바로 세 살에 접어든 뽀뇨다.
'우유', '바나나', '귤', '쮸쮸무아(요거트를 가르키는 뽀뇨만의 단어), '더 조' 등 계속해서 먹는 걸 찾는데,
가져다주면 얼마 먹지 않고 여기 저기 던진다.
밥 먹을 때는 작은 밥상에 뽀뇨를 앉히는데 아직 숟가락질을 잘 못해 반은 흘리고 반은 입에 들어간다.
그리고 남은 음식을 모두 흩친다.
빵을 들고는 이불이고 의자고 할 것 없이 올라가 부스러기를 흘리며 먹는다.
이하 생략.
아빠, 엄마가 그런 상태에 익숙해서 다행이지
만약 빈틈없이 청소하는 엄마아빠였으면 아이를 가둬놓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그런데 내 주름살은 아이가 어질러 놓은 상황 때문에 생기는 게 아니다.
원인은 아이가 말 짓(?)을 할 때 어떻게 혼내야 할지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데 있다.
이건 요즘 뽀뇨를 돌봐주는 내 엄마의 고민거리기도 하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손자를 혼내고 때려줄 수 있는 간 큰 시어머니가 몇이나 있을까?
아내 또한 틈틈이 뽀뇨를 보며 늘 웃고 받아주는 편이다.
결국 아이를 자주 볼 수 없는 아내와 며느리 눈치가 보여 아이를 제대로 혼내지 못하는 시어머니,
놀아주기는 잘해도 눈물 쏙 빠지게 혼내지 못하는 아빠 사이에서
뽀뇨는 미운 세 살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엄마, 아빠, 할머니가 차례로 얼굴을 꼬집히고
아빠 얼굴엔 손톱자국이 가실 날이 없지만
"뽀뇨, 아빠가 한번 더 그러면 혼낸다. 우리 강아지, 아빠 말 들어야 해요"
정도를 넘어서지 않으니 내가 나를 봐도 답답하기만 하다.
한번은 뽀뇨 돌전에 다니러온 엄마가 아이가 말을 안 들어 때린 적이 있는데
그 자리에서 제지를 한 적이 있다.
분명 기분 나쁘게 느끼셨을 텐데 말귀를 알아듣는다손 치더라도 때리고 싶지는 않다.
답답한 마음에 다른 엄마는 미운 세 살에 어떻게 대처하나 하고 검색을 해보는데
'아이 엉덩이를 때리고는 마음 상해하는 엄마들' 이야기에 피식 웃음이 나온다.
아이 엉덩이 때리는 걸로 화와 스트레스가 해소될 수 있겠지만,
이후 마음 상해하는 걸 보면 역시 주름살 하나 더 늘어나는 게 나을 듯 싶다.
<제주에 오신 엄마가 생일을 맞았다. 내가 주름 하나면 엄마는 주름 세개가 아닐까?>
*간만에 올리는 동영상. 구두신고 노는 뽀뇨. 아래 사진을 클릭하시면 영상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