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의 지갑은 돈으로 채워 두둑하다. 기혼의 지갑은 가족사진으로 채워 두둑하다.”

 

가끔 미혼과 기혼의 차이에 대한 유머가 인터넷에 떠돈다.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살아온 사람이 아이가 생겨 가족을 이루다보니

엄마/아빠 정체성이 더 강해져 생기게 되는 일들이다.

 

미혼일 때와 기혼일 때의 차이가 많은 부분에서 드러나겠지만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바로 잠자리에 대한 부분이다.

 

이미 결혼을 한지 8년차가 되는지 한 이불 덮을 때의 어색함(?)은 기억도 나지 않는다.

아니 아내와 둘이 한 이불을 덮어본 지도 까마득한 옛 이야기가 되었다.

매일 혼자 잠을 자다가 둘이 잠을 잘 때에 불편함은 없었던 것 같다.

 

첫째가 태어나면서 아내는 모유수유를 하고 우는 아이를 돌보느라

밤에 거의 잠을 자지 못했다.

나의 불편함이라면 자다가 잠시 깨는 것과 팔이 저리는 것밖에 없었다.

아내와 아이가 따뜻한 방바닥에서 자고 나 혼자 침대 위에서 자다보니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아이를 다치게 하지 않기위해)

팔 한쪽을 뻗어 기역자 형태로 잠을 자야 했다.

그렇게 몇 년을 자다보니 이제 혼자서 잠을 청할 때도

어깨죽지에 목을 올려놓아야 잠이 올 정도가 되었다.

 

이제 첫째가 커서 침대위로 올라오게 되었는데 언젠가부터

아빠가 아니라 엄마하고만 잠자리에 들려고 한다.

열심히 책을 읽어주고 놀아줘도 꼭 잠은 엄마와만 잔다고 하니 정말 밉상이다.

 

결국 내가 둘째를 보는 사이 아내가 첫째를 재운다.

얼마 전까지 돌 전인 둘째가 자다 깬다는 이유로 아내와 각방을 썼다.

‘가족끼리 이러면 안된다’ 싶어서 방을 합치게 되었는데

문제는 잠 들 때 아빠는 인기가 없다는 사실.

육아책까지 썼는데.. 아빠 자존심이 말이 아니다.

 

엄마 옆에 아이둘이 있다보니 안방에 반을 차지한 퀸 사이즈 침대가 거슬린다.

버릴까 말까 하다가 결국 아이디어를 낸 것이 침대 메트리스를 침대옆으로 내리는 것이었다.

침대높이와 메트리스 높이가 같아서 생각해낸 거였는데 깔고보니 마음에 든다.

 

그렇게 해서 안방 잠자리 배치도는 나, 첫째, 아내, 둘째가 되었다.

첫째와 나는 사실상 한 침대를 쓰게 된 건데 6살 아이와 한 침대를 쓰는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몸부림이 심해 자다가 늘 수평이 되어 나를 밀어낸다.

매트리스 높이가 40cm가 될까 싶은데 여기서 아이가 떨어질까봐 자다 실눈을 뜨기 여러 번.

가끔은 자다가 꿈을 꾸면서 발로 차는데 혹시나 중요 부위를 차일까봐

조심스럽게 “해솔아, 아빠 옆에 있어”라고 이야기를 한다.

 

매일 매일 밤잠을 설치며 둘째를 돌봐야 하는 아내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아빠의 잠자리는 늘 부족하거나 불편하거나 불안하다.

어쩌다 아이가 심하게 울어 책상방 혹은 쇼파에서 잘 때가 있는데

뭉뚱한 양인형을 베고 자서 그 다음날 목이 아프거나 쇼파에서 떨어질까봐 내내 선잠을 자야 했다.

 

요즘 첫째에게 “내 딸 보아라”라고 편지를 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아빠가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잠자리에서 조차 얼마나 불편함을 겪고 사는지 말이다.

아이들이 컸을때 이 글을 보면 어떻게 생각할까?

 

글을 쓰는데 거실에서 아내가 첫째에게 한마디 한다.

 

“해솔아, 동생한테 소리 지르면 못써. 엄마처럼 해봐. 개구리 뒷다리~~”

 

사본 -사진.jpg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홍창욱
세 가지 꿈 중 하나를 이루기 위해 아내를 설득, 제주에 이주한 뽀뇨아빠. 경상도 남자와 전라도 여자가 만든 작품인 뽀뇨, 하나와 알콩달콩 살면서 언젠가 가족끼리 세계여행을 하는 소박한 꿈을 갖고 있다. 현재 제주의 농촌 마을에서 '무릉외갓집'을 운영하며 저서로 '제주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 '제주, 살아보니 어때?'를 출간했다.
이메일 : pporco25@naver.com       트위터 : pponyopapa      
블로그 : http://plug.hani.co.kr/pponyopapa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54737/38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5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래 아내가 갑이다 imagefile [2] 홍창욱 2012-05-07 26745
15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기러기아빠의 게스트하우스 여행기 imagefile [9] 홍창욱 2014-03-20 26343
15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우리 부부 5개조 선언문 imagefile [4] 홍창욱 2013-05-21 25483
15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만 남겨두고 아버지는 가셨으니 홍창욱 2013-10-23 23470
15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제주에서 아이키우며 살아가기 imagefile 홍창욱 2012-02-06 23436
15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3600원짜리 주말여행 imagefile 홍창욱 2013-11-28 23296
15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다섯달, 기러기아빠의 종착역 imagefile [2] 홍창욱 2014-07-10 23244
15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애교 3종세트에 애간장 녹는 딸바보 imagefile [8] 홍창욱 2012-03-05 23041
14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돼요 안돼요?”를 “왜요”로 KO시킨 사연 imagefile [10] 홍창욱 2012-10-30 22874
»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결혼 8년, 잠자리 기억 imagefile [2] 홍창욱 2015-04-03 22639
147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48시간 안방 감금, 아내의 포고령 imagefile [4] 홍창욱 2014-01-29 21870
146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술 마시고 들어왔던 날의 기억 imagefile [2] 홍창욱 2012-03-13 21607
145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둘째를 갖기 위한 우리의 노력 imagefile [12] 홍창욱 2013-08-09 21189
144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마눌님 요리 거부감에 마늘요리 100일 신공 imagefile [12] 홍창욱 2012-06-12 21140
14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그대와 함께라면 '세숫대야도 아쿠아다' imagefile [4] 홍창욱 2012-07-10 21065
14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미운 세 살에 늘어가는 주름살 imagefile [4] 홍창욱 2012-02-21 21040
14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 베이비시터 되다 - 잘키운 이웃 아저씨, 열 아주머니 안 부럽다? imagefile [4] 홍창욱 2011-11-21 20928
140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예정일 지나 7일째, 둘째의 첫 세상여행 imagefile [2] 홍창욱 2014-04-08 20800
139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어젯밤 침대에서 일어난 격투(?) imagefile [2] 홍창욱 2013-11-06 20635
13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보다 남자친구가 좋아? imagefile [1] 홍창욱 2013-12-09 20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