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사태로 온 국민이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엄마,아빠들이 안심하고 계란을 식탁에 올릴 수 있는지 걱정이 태산이다. 또 아이들이 먹는 대부분의 과자, 빵 등 여러 음식에 계란이 들어가니 집에서만 조심한다고 될 문제도 아니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아빠들에게, 특히 맞벌이 부부에게는 계란과 김은 일종의 구원 투수다. 지금은 아내가 육아휴직 중이라 저녁 풍경이 좀 여유롭지만, 둘이 같이 일할 때는 허겁지겁 퇴근하고 나서 매일 저녁밥을 후다닥 차려 아이들과 먹는다. 퇴근은 일의 끝이 아니라 가사와 돌봄 노동의 또 다른 시작이다. 아이들에게 차려줄 반찬이 변변한 게 없거나, 퇴근이 지체돼 저녁이 늦어질 때, 아이들이 배고프다면 빨리 밥 달라면서 아기새처럼 짹짹 거릴 때, 계란과 김은 언제나 옳다. 계란후라이에, 김가루를 쓱쓱 뿌려 밥에 비벼주면 너무 잘 먹어서 어쩔 때는 미안할 정도다. “이렇게 대충 먹여도 되나라는 생각으로. 압력밥솥으로 밥을 할 때 계란을 풀어서 야채 좀 넣고 그릇에 담아 쌀 위에 올려 불을 켜면 밥과 계란찜이 동시에 된다. 이야말로 일석이조다.

 

바쁜 아침에도 계란은 언제나 나에게는 고마운 요리 재료다. 결혼하고 나서 아침 당번은 나다. 신혼여행 다녀오고 나서부터였다. 아이가 태어나고 나서도 아침 당번은 여전히 나다. 내가 아침식사와 아이 잠재우기 당번이니, 우리 집 하루는 내가 열고 내가 닫는 셈.

 

사과피자.jpg

 주말 아침 어느날,  첫째 윤슬이와 같이 만든 사과피자. 오래 구웠더니 치즈가 좀 탔다. ㅠㅠ 그래도 아이들은 맛있게 먹었다.

 

아침에도 계란은 이래저래 요긴하게 쓰인다. 샌드위치를 만들 때 계란은 필수. 시간이 나면 야채를 송송송 다져서 계란에 넣고, 시간이 없으면 그냥 풀어서 부친다. 첫째 윤슬이는 계란 스크램블을 좋아한다. 파와 양송이버섯을 넣어서 계란 스크램블을 해주면 언제나 잘 먹는다. 둘째 은유는 계란 스크램블을 좋아하지 않는다. 형이 계란스크램블을 해달라고 하면 옆에서 난 계란후라이라고 말한다. 아이들 밥도 먹이고 출근도 준비해야 하는 바쁜 아침이지만, 둘의 식성이 달라 어쩔 수 없이 후라이도 하고 스크램블도 한다. 아내가 옆에서 그 모습을 보고는 어유~주는 대로 먹지라고 아이들을 타박하지만, 아이들 식성이 다른 것을 어쩌겠냐.

 

이렇게 계란은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식재료다. 이런 계란에 그 독한 살충제 성분이라니. 화가 나고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제주 이주하고 나서 만난 지인이 닭 농장을 하고 있다. 조류독감 파동이 있거나 살충제 파동이 있을 때마다 그 지인이 자연스레 떠오르고 걱정이 된다. 카톡으로 아내가 어제 그 지인에게 “00농장은 괜찮아요?물었다. 그러자 그 지인이 흙목욕 한방이면 진드기 걱정 끝이라며 닭들이 흙목욕하는 사진을 올렸다.

 

좀 전에 지인의 농장이 한겨레 기사로 났다. 카톡 사진과 함께 닭 날개속 진드기 30마리, 흙목욕 1주일만에 사라졌다는 제목으로 한겨레 메인기사에 떴다.

 

조아농장.jpg

  지인이 카톡에 올린 사진이 한겨레 기사에도 그대로 실렸다.  

 

‘300여평 계사에서 닭 3500여마리를 키우는 제주의 한 양계농가는 살충제는 물론 백신도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름을 밝히지 않는 이 농장주는 마당을 만들어주니 닭들이 땅을 파서 안에 들어가 흙을 끼얹고 뒹군다. 여름에는 땅 밑이 시원해서 땅을 파서 더위도 식히고 진드기가 있으면 털어낸다. 흙목옥을 할 때 보면 깃털 사이로 흙을 끼얹어 털어낸다’ (한겨레 818일자 기사)

 

이름을 밝히지 않는 농장주의 이름을 아는 나로써는 그 지인과 농장 이름을 확 밝히고 싶지만, 본인이 굳이 밝혀지기를 거부하니 그럴 수는 없고, 입만 막 근질근질하다. 그는 제주토박이자 한살림 생산농가이다. 생산성도 떨어지는 제주 토종닭을 주로 키워 계란을 생산한다. 대학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고 기자생활을 하다 귀농한 그 지인의 경제개념은 한마디로 착한 경제.

 

페이스북 이름도 “happy hen’이다. 맞다. 닭도 행복해야 우리도 행복할 수 있다. A4 한 장의 공간도 허락되지 않는 공장식 축산에서는 살충제 계란, 조류독감은 숙명이다. 청정지역이었던 제주에서도 올해 초 조류독감이 휩쓸고 지나갔지만, 그 지인의 농장은 조류독감도 피해갔다.

 

조아농장2.jpg

2년 전 지인의 농장에 초대 받았다.

막 산란한 따끈한 계란과 함께 닭백숙도 대접받았다.

 

내가 먹는 게 바로 나다라는 말이 있다. 살충제 계란 파동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이제 닭들의 건강과 행복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어디 닭뿐이랴, 돼지도, 소도 마찬가지. 아이들 재우고 나면 베이비트리 엄마, 아빠들 봉준호 감독의 옥자도 한 번 보시길 바란다

 

박진현/ 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육아휴직도 두 번 했습니다. 우리 부부의 좌우명은 평등육아입니다. 사실 아내가 먼저 외치기 시작한 좌우명이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진짜입니다. ㅎ 4년 전에 제주로 이주해서 인터넷 언론 '프레시안'에도 글을 쓰고 있습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진현
제주에서 8살, 4살 아들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육아휴직도 두 번 했습니다. 4년 전에 각박한 서울을 떠나 제주로 왔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삶을 살고자 벌인 일입니다. 우리 부부의 좌우명은 평등육아입니다. 사실 아내가 먼저 외치기 시작한 좌우명이지만, 저도 동의합니다. 진짜입니다.
이메일 : hyunbaro@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equal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37253/0d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8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들의 겨울 imagefile [2] 신순화 2015-12-29 10595
28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날 뜯어 먹고 사는 놈들 imagefile [10] 최형주 2015-03-12 10595
28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블랙 프라이데이, 퍼거슨, 그리고 우리 imagefile [6] 케이티 2014-12-02 10579
28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여행육아, 엄마가 달라졌어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8-31 10572
28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2017 아날로그 육아의 종착역 imagefile [7] 윤영희 2017-12-31 10571
28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세 아이와 보낸 8일간의 보고서 imagefile [8] 신순화 2017-04-26 10571
279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7주 남편 없는 하늘 아래 imagefile [2] 케이티 2015-06-01 10571
27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남편이 말했다. "머리를 길러야겠어." imagefile [4] 최형주 2015-04-30 10568
277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생후 4일, MRI 찍다 케이티 2014-04-27 10542
27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여름방학 추첨 선발, 아이의 꿈이 이뤄졌다 imagefile [3] 윤영희 2014-08-01 10541
275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3편] 초등 엄마, 때론 재미있다. imagefile [5] 지호엄마 2016-05-16 10537
274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장난감보다 스카치테이프 imagefile [2] 이승준 2017-01-06 10524
27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좋은 한 끼 imagefile [8] 신순화 2018-03-20 10511
»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제주 아빠의 평등육아 일기] 닭이 행복해야 우리도 행복하다. imagefile [7] 박진현 2017-08-18 10491
27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전기없이 살 수 있을까? imagefile [2] 신순화 2018-03-16 10491
27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텃밭-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육아 imagefile [8] 윤영희 2017-06-13 10490
269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0편] 인공지능! 놀라운 발전이긴한데... imagefile [4] 지호엄마 2016-03-28 10487
26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딸은 사춘기 엄마는 갱년기 imagefile [3] 윤영희 2018-06-21 10461
267 [화순댁의 산골마을 육아 일기] 대략 두달 만이군요^^ imagefile [8] 안정숙 2014-09-13 10454
266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하지 않을 자유, 낳지 않을 자유 imagefile [4] 서이슬 2017-07-31 1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