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내 손을 부탁해.jpg

 

남편이 출장을 간 밤, 늦도록 글을 읽다 딸들 옆에서 자려고 작은 방에 들어갔더니
이불 속에 귀여운 고양이 한 마리가 잠들어 있다.
아홉살 막내다. 감청색 양말을 뒤집어 쓴 손 모양이 꼭 아기 고양이같다.
빙그레 웃음이 나왔다.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이룸이는 꼭 손이 튼다.
손등이 거북이 등처럼 거칠거칠해지다가 빨개져서 얼얼해지도록 아프게 된다.
똑같은 환경에서 살아도 윤정이는 괜찮은데 이룸이는 손 때문에 고생을 한다.
이유는 있다.
이룸이는 소변에 대한 예민함이 있어 유난히 화장실을 자주 들락거린다. 그때마다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따끈한 물로 잘 씻고 물기를 꼼꼼히 닦고 나와야 하는데 찬물로 대충 씻고

수건에 손을 한번 비비고 후다닥 나오기 일쑤다. 물기가 남아있는 손으로 다시 교실로, 운동장으로,
마당으로 다니며 놀다보니 손이 트지 않을 수 없다.
밤 마다 잘 씻고 좋은 핸드크림을 듬뿍 바르고 자도 별 효과가 없다. 요즘은 축구에 재미를 붙여
방과후에 아이들과 운동장을 달리며 공을 찬다니 손이 안 상할 수 가 없다.

그래서 어제는 자러 가는 이룸이 손을 만져보다가 한가지 제안을 했다.
"손을 잘 씻고 잘 말린 다음에 바셀린을 듬뿍 바르고 면장갑을 끼고 자 봐. 아주 효과가 좋아"
"손에다 장갑을요? 면장갑이 어디 있어요?"
"음.. 면장갑이 아니라도 양말도 괜찮아. 바셀린이 이불에 묻지 않고 손에 잘 스며들게
하는 목적이니까 양말을 손에 끼고 자도 되지"
"불편하지 않을까요?"
"뭐, 조금 불편하겠지만 효과가 좋아. 한 번 해봐"

그리고는 밤 늦도록 일을 하느라 이룸이가 손에 바셀린을 바르고 양말을 찾으러 다니는

모습을 곁눈으로 대충 살피고 말았는데 나중에 방에 들어와보니 감청색 양말을 양손에 낀 채로

얌전히 잠들어 있었다. 아이고 귀여워라..
대학시절 내 쌍둥이 언니도 이런 모습으로 잠들곤 했지.

그 시절, 아빠가 잡자기 직장을 그만두게 되어 집안이 크게 어려워졌을때 우리는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만 했다. 쌍둥이와 나는 시급이 좋은 백화점 일자리를 구했는데,

잔업까지 하루 열시간동안 서서 물건을 팔고, 나르고, 포장을 하는 일 이었다.
빳빳한 종이포장지를 접다보면 손이 금방 상했다. 나중에는 손끝이 갈라져서 옷을 입을때마다
올이 걸리곤 했는데 자지러질만큼 아팠다. 더운 물이 잘 나오지 않았던 낡은 집에서 아홉명이
부대끼며 사느라 서로를 챙겨주고 살펴 줄 여유라곤 없었다.
나보다 아르바이트가 더 많았던 쌍둥이 언니는 밤 마다 손에 크림을 듬뿍 바르고 장갑을 낀채

잠 들곤 했다. 잠 속에서도 고단해 보이던 얼굴과 양 손에 끼워져 있던 장갑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그땐 가족 모두 다 힘들었다.

이런, 이런..
귀여운 막내 모습에서 아득히 지난 날 힘들었던 모습을 떠올리다니... 궁상이다.
안스럽던 그녀의 손은 이제 철마다 알록달록 화려한 메니큐어를 자랑하는 고운 손으로
이쁘게 나이들어 가고 있는 걸..

오늘 아침 잠결에 양말이 빠져있는 막내의 손을 만져보니 하루만에 놀랄만큼 보드라와졌다.
역시 어린 아이는 회복력도 크구나.
"와, 엄마, 만져보세요. 완전 매꼴매꼴해요" 이룸이는 웃으면서 제 손을 어루만졌다.
"그러네, 정말 매꼴매꼴하네. 오늘 밤까지 양말 끼고 자면 내일은 정말 비단결같은 손이 되겠다"
우린 같이 웃었다.

날이 한층 추워진 아침, 이룸이는 양 손을 잠바 주머니 속에 넣고 생글생글 웃으며
교실로 들어갔다. 또 수시로 화장실을 들리고 그때마다 대충 손을 씻고 교실이며 복도며
운동장을 누비겠지. 호기심도 많고, 에너지도 넘치는 딸이라 종일 만들고, 쓰고, 만지느라
손이 쉴 틈이 없겠지만 이젠 요령을 알았으니 아플만큼 트지는 않을꺼야.
나도 더 세심하게 살피겠지만
크림아, 양말아.. 막내 손을 잘 부탁해^^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811346/8f2/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세살의 야구 imagefile [2] 신순화 2015-08-13 10957
32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내보내기 위해 잠깐 품는 것 [14] 케이티 2015-01-15 10949
32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44
32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소박한 크리스마스, 아픈 연말 imagefile [8] 케이티 2014-12-24 10944
32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시시포스가 되어 날마다 산을 오르다: 엄마의 탄생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8 10940
32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의 재능, 찾아도 걱정 imagefile [2] 윤영희 2016-05-24 10926
31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가 자라는 소리 imagefile [8] 윤영희 2015-01-27 10925
31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7년의 사랑, 그리고 이별 imagefile [4] 신순화 2017-11-28 10916
31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시대 흐름 역행하는 `출산주도성장' 발언 imagefile [4] 양선아 2018-09-11 10915
31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친구가 놀러오면 독립심이 쑥쑥! imagefile [2] 신순화 2014-06-19 10901
31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엄마면서 아빠이고 학생 imagefile [6] 강남구 2017-09-01 10898
31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자폐, 그건 어쩌면 우리의 이름 imagefile [12] 케이티 2015-07-02 10893
313 [사진찍는 엄마의 길 위의 생각] 밀양, 우리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2) imagefile [2] 빈진향 2014-07-10 10890
31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특별한 태교 이야기_레드 다이어퍼 케이티 image [6] 케이티 2014-05-06 10884
31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엄마의 봄방학 imagefile [6] 케이티 2016-03-21 10876
31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부엌공동육아모임, 이렇게 만들어 보세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4-07 10875
309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잃어버린 타이밍 imagefile [1] 박수진 2017-01-12 10873
308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가능과 불가능의 사이에서: 두 아이의 엄마 imagefile [2] 정아은 2018-01-11 10829
30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입양은 눈물의 씨앗인가 imagefile [6] 정은주 2017-04-03 10824
30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1층 할머니의 고추를 걷다 imagefile [1] 최형주 2015-08-31 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