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하 바보!” 누나도 도깨비에 빠진 엄마도 엇갈리기만 하네

148361414205_20170106.JPG »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는 큰아이. 둘째아이는 아랑곳하지 않고 잔다. 박수진 기자
벌써 찾아온 것일까. ‘둘이 논다’는 그 기적 같은 순간이. 어린이집에서 돌아온 첫째는 바운서에 앉은 동생과 대화를 시작했다. “태하야, 누나가 이거 읽어줄까?” 첫째는 내가 비장의 무기로 새로 구입한 그림책을 읽어주기 시작했다. (장난감으로 놀아주는 일에 관심 없던 나는 아이가 둘이 되면서 새 장난감, 새 책 등 ‘새로운 것’에 집착이 생겼다. 결정적 혼돈의 순간에 꺼내어 단 10분이라도, 단 한 명이라도 저지하고픈 마음에서다.) 책에는 큰아이가 좋아하는 펭귄, 고슴도치, 다람쥐가 구석구석 등장한다. 누나가 책 읽어주는 소리에 화답하듯 둘째는 옹알이를 시작했다. “아~, 오~, 쁘~.”

큰아이는 책을 읽어주고, 둘째는 옹알이를 하며 심지어 “이건 너하고 나하고 비밀이야”라며 비밀까지 만드는 꿀 같은 30분. 나는 재빨리 감자, 양파를 볶은 뒤 카레물을 부어 저으며 ‘여기가 천국인가’를 연발했다. 천국 같은 시간이 30분 정도 이어졌고 “외로워, 심심해”를 말하며 징징대는 큰 아이를 목격하지 않은 채 무사히 부엌에서 빠져나왔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효과를 기대하며 저녁에 돌아온 남편에게, 친구·가족과 전화할 때 그 기적 같은 순간을 말했다. “글쎄, 첫째가 동생한테 책을 읽어주면서 30분을 놀더라고, 둘이서.” 첫째는 어른들끼리 자기 얘기를 하면 그게 칭찬이든 그저 행동 묘사이든 그 행동을 의식적으로 반복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날 예상대로 첫째는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겠다며 잠자는 아이를 바운서에 앉혀달라 법석을 떨었다. 둘째는 ‘잠자는 숲속의 공주’처럼 계속 잤다. 다음날 침대에서 잠들려는 동생에게 책읽기를 시도하던 첫째는 “태하, 바보”라며 토라진 목소리로 동생을 타박했다. 둘째는 누나의 책 읽는 소리를 자장가 삼아 잠들었다. 다음날 바운서에 앉아 놀고 있는 동생에게 책을 읽어주던 첫째는 또다시 “태하, 바보”를 외치며 책을 내팽개쳤다. 동생이 옹알이로 책읽기에 화답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적은 정말 기적이어서 기적이로구나. 첫째가 책을 읽어주고 싶은 순간과 90일 아기가 배고프지 않고 졸리지 않고 목욕한 지 얼마 안 돼 개운한 기분으로 옹알이하고 싶은 순간이 겹치는 일은 그 뒤로 일어나지 않았다.

생각해보니 이 ‘미스 타이밍’의 문제는 식구가 한 명 늘어난 뒤로 우리 가족 모두에게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남편과 나는 두 아이 육아로 인해 각자가 느끼는 기쁨과 고독, 불안과 상실을 공유할 시간을 점점 잃어버렸다. 쉬는 날 낮에 남편과 큰아이는 쇼핑몰이든, 공원이든, 아쿠아리움이든 밖으로 나돌았다. 밖에서 찍은 큰아이 사진과 그날의 줄거리만이 부부간 대화창을 채웠다.

두 아이가 잠들고 나도 깨어 있는 몇 안 되는 밤에는 누군가와 말을 섞고 싶지 않아 책을 읽는다. 때로는 잃어버린 지 오래된 연애 세포를 떠올리며 이어폰을 꽂고 도대체 늙지 않는 ‘도깨비 같은’ 동갑의 남자배우가 활약하는 드라마를 봤다. 남편이 뭘 말하러 나에게 왔다가 휴대전화 화면을 쳐다보고 돌아서는 등을 여러 번 봤다. 같이 소파에 앉았다가도 둘째가 찡얼대거나 첫째가 찾아 금방 일어서야 하는 순간이 대부분이다.

우리는 꽤나 이야기를 많이 하는 부부였는데, 지금은 육아와 장보기 등 각종 집안일을 나누고 처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그마저도 메신저를 통해서 할 뿐 대화다운 대화를 얼굴 보고 하는 시간은 사라졌다. 잃어버린 시간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이 글은 한겨레21 제1144호(2017.1.9)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박수진
서른여덟에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뒤 육아휴직 중이다. 선택의 기로에서 갈팡질팡하다가, 결정적 순간에 감정적으로 휙 저지르고 보는 스타일. 일도, 육아도 그렇게 해서 온 식구가 고생하는 건 아닌지 또 고민하는 ‘갈짓자 인생’. 두 아이의 엄마로서, 좋은 기자로서 나를 잃지 않고 행복하고 조화롭게 사는 방법이 있다면 그건 뭘까, 그 길을 찾는 것이 지금의 숙제다.
이메일 : jin21@hani.co.kr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686505/e5e/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32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세살의 야구 imagefile [2] 신순화 2015-08-13 10957
32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내보내기 위해 잠깐 품는 것 [14] 케이티 2015-01-15 10949
323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지금 여기, 우리가 해야 할 일 imagefile [3] 케이티 2016-11-20 10944
32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소박한 크리스마스, 아픈 연말 imagefile [8] 케이티 2014-12-24 10944
321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시시포스가 되어 날마다 산을 오르다: 엄마의 탄생 imagefile [1] 정아은 2017-12-28 10940
32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의 재능, 찾아도 걱정 imagefile [2] 윤영희 2016-05-24 10926
31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가 자라는 소리 imagefile [8] 윤영희 2015-01-27 10925
31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7년의 사랑, 그리고 이별 imagefile [4] 신순화 2017-11-28 10916
317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시대 흐름 역행하는 `출산주도성장' 발언 imagefile [4] 양선아 2018-09-11 10915
31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친구가 놀러오면 독립심이 쑥쑥! imagefile [2] 신순화 2014-06-19 10901
315 [강남구의 아이 마음속으로] 엄마면서 아빠이고 학생 imagefile [6] 강남구 2017-09-01 10898
314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자폐, 그건 어쩌면 우리의 이름 imagefile [12] 케이티 2015-07-02 10893
313 [사진찍는 엄마의 길 위의 생각] 밀양, 우리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2) imagefile [2] 빈진향 2014-07-10 10890
312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특별한 태교 이야기_레드 다이어퍼 케이티 image [6] 케이티 2014-05-06 10884
311 [이상한 나라의 케이티] 엄마의 봄방학 imagefile [6] 케이티 2016-03-21 10876
31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 부엌공동육아모임, 이렇게 만들어 보세요 imagefile [2] 윤영희 2016-04-07 10875
» [박수진 기자의 둘째엄마의 대차대조표] 잃어버린 타이밍 imagefile [1] 박수진 2017-01-12 10873
308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가능과 불가능의 사이에서: 두 아이의 엄마 imagefile [2] 정아은 2018-01-11 10829
30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입양은 눈물의 씨앗인가 imagefile [6] 정은주 2017-04-03 10824
306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1층 할머니의 고추를 걷다 imagefile [1] 최형주 2015-08-31 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