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보다 할배, 누나에 이어 <꽃보다 청춘>이 방영된다고 한다.

유희열, 이적, 윤상이 함께 페루를 여행한다고 하는데

이 세 사람의 이름만 들어도 벌써 가슴이 두근댄다.

(김동률은 왜 섭외하지 못했을까,

아쉽지만 그마저 예능에 나오는 걸 보고싶지 않은 마음도 드는 건.. 나만 그런가^^)

한국의 현재 마흔을 전후한 세대들에게

이들의 대중음악이 끼친 영향이 적다고만 할 수 있을까?

토이의 <그럴 때마다>를 들으며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데,


아무런 약속도 없는 일요일 오후

늦게 잠에서 깨어 이유없이 괜히 서글퍼질 때


란 가사는, 내가 20대 시절 숱하게 보낸 어느 일요일 오후의 감성을

정확하게 표현해 주고 있어 '어떻게 이런 순간의 느낌을 놓치지 않고 썼지??'

하고 신기해하며 듣고 또 듣던 노래였다.

이적과 김동률이 함께 한 <그땐 그랬지>의 가사는 또 어떤가.


시간이 지나가면 다 잊혀지더군

참 세상이란 정답이 없더군

사는 건 하루하루가 연습이더군


40대가 되어 들어도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이런 가사를

이미 20대에 노래하던 그들이다.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이 그렇듯 급변하는 분위기 속에서

마흔 즈음이 되어서도 변함없는 감성과 인간적인 매력과 깊이를 더해가는

그들이 있다는 게 정말, 다행이다.

여행은 중년이든 청춘이든,

모두를 가장 빛나던 시기로 되돌리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부디 그들이 <꽃보다 청춘>이란 여행을 통해, 더 무르익은 깊이와 감동을, 그리고 위로를

같은 세대인 우리에게 선물해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유희열이 언젠가 그의 음악방송에서

자기가 하는 음악이 대중성을 얻지 못할까 걱정하는 후배에게 이런 조언을 하는 걸 들었다.

"대중성이 없다는 얘기는, '서툴다'라는 말의 다른 표현일 수 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대중과 노래로 많은 대화를 하다보면,

언젠가는 너의 이야기에 울고웃는 사람들이 나타날 것이다.

음악은 결국 내가 하는 이야기이니까."


아! 육아에 대해서도 이렇게 조언을 해주는 선배들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프랑스 육아나 북유럽 육아같이 손에 잡히지 않는 먼 곳의 얘기 말고,

긴장감과 경쟁심을 가슴깊이 품고 시작해야 하는 군대식 육아 말고,

"육아는 결국 내가 하는 이야기"라며 마음을 다독이고 진정시켜 주는 그런

육아계의 유희열이 있다면.


DSCN2790.JPG


20대도 30대도 나름 열심히 살아왔다고 여겼는데

40대에 들어서고 보니, 전혀 생각지도 못한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몸과 마음의 극심한 변화와 함께, 자주 육아와 일상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곤 하는데

사춘기를 다시 겪는 것 같다.

나의 노력과 희생으로 아이들이 빛나게 자라는 순간을 지켜보면서도

이전과는 다른 어떤 공허함같은 것이 떠나질 않는다.

이미 40대 중반에 들어선 남편도 촘촘한 일상의 임무들을 묵묵히 수행하며 사는듯 보이지만,

내가 느끼는 뭐라 설명하기 힘든 이런 감정을 비슷하게 겪고 있는 것 같다.

이런 게 그 말로만 듣던.. 갱년기인가?


미용실에서 읽던 주부잡지에 나오는 줄만 알았던 단어에

내가 해당하는 나이가 되었다는 사실이 너무 놀랍다.

나는 아직 토이의 소박한 감성이 좋고, 김동률의 목소리와 가사에 취하던 그 시절에서

겨우 몇 발자국 걸어온 것 뿐인데 ..


마흔은, 늦었다고 하기엔 모든게 너무 충만한 나이다.

젊은 시절의 감성이 사라진 게 아니라,

어릴 때는 몰랐던 수많은 새로운 감성과 경험들이 더해져 넘칠 듯 출렁이는 나이다. 

감독과 출연자 모두가 마흔 언저리에 있는 <꽃보다 청춘>팀들이

이번 페루 여행을 통해 40대만이 가질 수 있는 감성과 여유를 보여줬음 좋겠다.

힘겨운 시대를 함께 살아온 같은 세대인 우리의 이야기를 들려줬으면 좋겠고

그런 이야기가 담긴 여행으로 위로를 받으며, 곧 시작될 긴 여름방학을 잘 보내고 싶다.


다만 한가지. 90년대부터 지난 20여년동안 한국사회의 한 분야에서

자기만의 세계를 만들 수 있었던 그들이 모두 남자라는 사실이

부럽기도 하고 원망스럽기도 한 건, 나만 그런걸까.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윤영희
배낭여행 중에 일본인인 지금의 남편을 만나 국제결혼, 지금은 남편과 두 아이와 함께 도쿄 근교의 작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서둘러 완성하는 삶보다 천천히, 제대로 즐기며 배우는 아날로그적인 삶과 육아를 좋아한다. 아이들이 무료로 밥을 먹는 일본의 ‘어린이식당’ 활동가로 일하며 저서로는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육아><마을육아>(공저) 가 있다.
이메일 : lindgren707@hotmail.com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182522/791/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10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베이컨은 뱀으로 만든 고기?? imagefile [4] 윤영희 2014-10-03 15005
10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들이 스스로 준비한 크리스마스 파티 imagefile [2] 윤영희 2015-12-24 14954
10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텃밭 농사, 육아책 100권보다 낫다 imagefile [2] 윤영희 2015-11-16 14919
10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독서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해 imagefile [5] 윤영희 2016-02-25 14892
9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카레라이스 잼잼 imagefile [4] 윤영희 2015-02-03 14870
9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친구의 향기 imagefile [1] 윤영희 2014-11-18 14853
9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땅 속의 사과, 감자 캐러 가자! imagefile [2] 윤영희 2016-06-14 14814
9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들의 크리스마스 imagefile [5] 윤영희 2015-12-21 14792
9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도 어른도 가끔은 이벤트가 필요해^^ imagefile [3] 윤영희 2015-05-09 14762
9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우울증은 육아의 동반자?! imagefile [2] 윤영희 2016-10-17 14757
»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꽃보다 청춘보다 감성 출렁이는 마흔 imagefile [7] 윤영희 2014-07-06 14735
92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전담 육아 12년만에 혼자 떠나는 여행 imagefile [6] 윤영희 2014-10-20 14694
91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아이와의 삼시세끼, 좀 더 행복해지려면 imagefile [8] 윤영희 2015-01-18 14680
9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들의 수다에서 건진 명언들 imagefile [8] 윤영희 2016-08-05 14662
89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꿀처럼 달콤했던 나만의 2박3일 여행 imagefile [8] 윤영희 2014-10-23 14662
88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겨울감성 가득한 윤동주의 동시^^ [2] 윤영희 2013-01-18 14618
87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가 아픈 사이, 훌쩍 자란 아이들 imagefile [10] 윤영희 2014-03-16 14545
86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부엌육아시리즈] 요리하는 아이, 수학과 과학공부가 저절로 imagefile [2] 윤영희 2016-03-17 14399
85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시민들이 만든 어린이식당 이야기 imagefile [9] 윤영희 2016-11-14 14355
84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5천원의 행복, 달라서 더 좋다 imagefile [3] 윤영희 2014-05-16 14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