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눈으로 나무의 참상을 보다
152567665707_20180508.JPG
지나친 가지치기로 흉물스럽게 변한 우리 아파트 나무들. 정은주

 

경비원 근무 여건과 관련해 입주자대표회의와 부딪쳤던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왔다. 우리 아파트 단지는 20년 나이를 먹은 아름드리나무가 많아 봄이면 목련, 벚꽃 등이 축제처럼 꽃망울을 터뜨리곤 한다. 그러나 올봄은 살풍경한 폐허의 현장으로 변해버렸다. 나무들이 여기저기 하늘을 향한 검은 기둥만 남은 채 무언의 항변을 하는 것이다. 단지 내에서 대대적인 전지 작업이 있었는데 이렇게 벌목 수준으로 다 잘라버릴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팔순의 어머니가 창밖을 내다보며 탄식하셨다. 해마다 봄꽃 피는 걸 보는 기쁨이 얼마나 큰데 그걸 빼앗느냐고.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전화해보니 가지치기를 자주 하는 것도 비용이 드는 일이라 한번에 대폭 잘랐단다. 이를 그냥 넘길 수 없어 주민 몇 명이 모여 문제 제기를 하고 생태전문가의 의견을 들었다. 나무 형태에 상관없이 가지를 많이 잘라내는 것을 ‘강전정’이라 하는데, 이렇게 가지치기를 하면 수형 회복에 3년 이상 걸린다고 한다. 봄꽃 나무는 원래 꽃이 진 뒤 전지를 하는 등 고려할 게 많다고 했다. 그럼에도 어떤 나무는 가지 하나 없는 몽당연필 모습으로 거의 고사할 지경에 이르렀다. 근래 들어 지나치게 잦은 수목 소독 주기와 소독 약품에 대해서도 의문이 생겨 업체에 약품 성분을 물었다. 그때그때 성분이 달라 공개하기 어렵다는 답이 돌아왔다. 인근 단지의 수목 소독은 연 3~4회라는데 우리 단지는 거의 매달 하고 있다.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걸까? 내가 사는 도시의 조례에 따르면 수목의 자연적 생장을 중요시해 가로수의 지나친 가지치기를 금지하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 가지치기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우리 단지 내 수목에도 같은 내용을 적용하는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안건을 내기로 했다. 의견을 공문으로 정리하고 수목 소독 업체에 대한 정보공개청구서를 관리사무소에 보냈다.

 

단지 곳곳을 돌며 나무들의 참상을 사진에 담기로 한 날, 마침 광장에서 놀고 온 다엘에게 그곳 나무들은 어떠냐고 물었다. 다엘은 자신이 아는 최대한 나쁜 단어들을 동원해 답했다. “나무를 다 잘라서 아주 흉측하던데? 망측해!”

 

어린 시절 그토록 큰 세상이던 고향 마을에 어른이 되어 들렀을 때 깜짝 놀랐던 적이 있다. 어른 눈으로 볼 땐 초라하기만 한 풍경이 어린 시절에는 끝없이 펼쳐진 길과 높은 나무들로 가득하지 않았던가. 내 아이의 눈에 지금 마을의 모습은 어떻게 비칠까? 삶의 여러 굽이를 넘어온 어머니 눈에는 어떻게 기억될까? 이런 질문을 외면하지 않고 주민 참여로 풀어가는 우리 동네 이웃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마을 일 하나하나 세심하게 감시하고 참여해야 함을 새삼 느낀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 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211호(2018. 5. 14)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정은주
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공교육 교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시민단체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상담원이자 웰다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산지역의 입양가족 모임에서 우리 사회의 입양편견을 없애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으며 초등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함께 대안교육 현장의 진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메일 : juin999@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heart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94064/d77/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5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두물머리에서 imagefile [3] 정은주 2017-10-01 8087
2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야 이거 어떡해! 너무 맛있어! imagefile [4] 최형주 2018-02-19 7963
23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빠의 첫 교통봉사 imagefile [5] 홍창욱 2017-09-10 7946
2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아, 이래서 생방송이 힘들구나. imagefile [2] 홍창욱 2017-08-30 7805
21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뽀뇨와 함께 한 첫 초등운동회 imagefile 홍창욱 2017-10-01 7800
20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조금 다른 종점 여행 imagefile [7] 서이슬 2017-08-30 7757
19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사랑고생 [4] hyunbaro 2017-05-02 7701
1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왜 낳은사람이 꼭 키워야 하지? image [2] 정은주 2017-09-22 7664
1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팬케이크와 비지찌개 imagefile [2] 서이슬 2017-12-07 7532
16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누가 아이의 낮잠을 깨우나 imagefile 이승준 2017-03-07 7437
»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망측해! image [1] 정은주 2018-06-25 7390
1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입양부모를 죄인 취급 말라 image 정은주 2018-03-29 7372
13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발 큰 발레리나 imagefile 서이슬 2018-04-18 7263
12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몰랑아, 담에 올때 둘이오렴 imagefile 홍창욱 2018-07-14 7254
1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싱글맘의 날’을 아시나요 image 정은주 2017-11-21 7250
10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아이책] 바다도 되고, 캠핑장도 되는 imagefile 서이슬 2018-01-10 7093
9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즐거운 나의 집 imagefile 서이슬 2017-10-07 7068
8 [뽀뇨아빠의 저녁이 있는 삶] 딸과 함께 하는 등굣길 imagefile 홍창욱 2018-04-08 6921
7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좋은 죽음, 풀뿌리 운동 imagefile 정은주 2017-12-15 6911
6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함께 걸어요 imagefile [12] 서이슬 2018-03-23 6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