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 다엘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시설 퇴소 청년들의 열악한 삶

제1187호
 
151079790152_20171117.JPG
‘선한 울타리’ 대표 최상규씨. 정은주
 

예전에 다엘이 아기 때 있었던 보육원 수녀님에게서 들은 얘기다. 정성껏 아이들을 키워 8살이 되면 다른 시설로 보내는데, 그 아이들이 가끔 찾아온단다. 옮겨간 시설에서 형들에게 맞아 상처 난 아이의 얼굴과 헌 옷, 헌 신발을 보면 가슴이 아파 이것저것 먹이고 위로한 뒤 돌려보낸다고 했다. 이곳도 자신이 몸담을 데가 아님을 알고 힘없이 돌아서는 아이의 뒷모습을 잊을 수 없다고, 수녀님은 먹먹한 마음을 전했다.

 

입양되지 않았다면 내 아이가 만 18살까지 살아야 했을 시설 생활, 이후는 어떨까? 퇴소할 때 받는 정착금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최대 500만원 남짓이다. 개인 후원금을 합쳐도 월세방 하나 얻기 어려운 돈으로 세상에 나가야 한다. 이들을 돕는 자원봉사단체인 ‘선한 울타리’의 운영자 최상규씨를 만났다. 그는 2015년 시설 퇴소 청년을 위한 지원단체를 설립해 멘토링, 취업·주거 지원을 해왔다. 최 대표가 털어놓는 속사정을 들으니 참담한 마음 금할 길이 없었다.

 

시설에서 퇴소한 아이들은 어렵사리 대학에 진학해도 몇 달이 지나야 입학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한 학기 동안 빚내어 입학금과 등록금을 마련하고 생활비도 벌어야 하니 공부를 하지 말라는 얘기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소년소녀가장 전세임대 지원도 아이들이 다가가기에는 절차가 까다로워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기보다 어렵다. 많은 경우 친권을 포기하지 않은 부모 때문에 임대주택 지원도 못 받으니 결국 비싼 월세방이나 고시원을 전전한다. 최 대표는 차라리 아이들이 원가정과 단절돼야 자립이 쉬워진다고 했다. 부모가 친권을 포기하지 않다가 아이가 퇴소할 때 나타나 권리를 주장하거나, 심지어 정착금을 착취하고 연락을 끊을 때도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정이 그리운 아이들은 부모에게 모든 것을 덥석 맡기곤 한단다. 부모가 아이 양육을 국가에 넘긴 뒤 최소한의 의무 이행도 하지 않을 때 외국처럼 친권 박탈을 하는 게 상식 아닐까? 부모의 존재가 때로 아이들의 입양이나 자립을 막는 걸림돌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사회는 언제까지 혈연 타령을 할 것인가.

 

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은 자기 신분을 노출하거나 사회 전면에 나서는 걸 극도로 피한다. 그 결과 이들의 권리를 대변하는 이익단체도 거의 없다. 다른 소수자들보다 더 열악한 상황을 감수하며 우리 사회의 가장 그늘진 곳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최상규 대표는 입양가족이다. 그의 딸이 시설 퇴소 청년들의 삶을 알고 난 뒤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그들처럼 힘들게 살 뻔했다”고 말했다 한다. 딸의 말을 듣고 그는 더욱 이 일에 매진하고 있다. 정부의 국민 소통 창구 ‘광화문1번가’에 시설 퇴소 청년을 위한 적극적인 복지 정책을 제안했다는 그의 말을 들으며 고개가 숙여졌다. 내가 감당하기 버거워 외면했던 현실을, 누군가는 손에서 놓지 않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애쓰고 있었다. 이제는 우리 사회가 그의 짐을 나눠 져야 마땅하다.

 

정은주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 웰다잉 강사

 

(* 이 글은 한겨레21 제 1187호(2017. 11. 20)에 실린 글입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정은주
딸이 뇌종양으로 숨진 후 다시 비혼이 되었다. 이후 아들을 입양하여 달콤쌉싸름한 육아 중이다. 공교육 교사를 그만두고 지금은 시민단체 '사전의료의향서 실천모임'의 상담원이자 웰다잉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일산지역의 입양가족 모임에서 우리 사회의 입양편견을 없애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으며 초등 대안학교에 다니는 아들과 함께 대안교육 현장의 진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메일 : juin999@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heart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56941/164/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65 [너의 창이 되어줄게] 힘든 시절, 내 아이의 가장 예쁜 시절 imagefile [3] 임경현 2017-07-12 8829
6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우리의 소중한 야성 본능 imagefile [1] 최형주 2017-02-09 8805
63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사랑이야 imagefile [2] 최형주 2016-04-08 8804
62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깨어나라, 육아 동지들’ imagefile [1] 이승준 2017-05-18 8803
61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조두순과 소설 ‘오두막’ imagefile [3] 정은주 2017-11-13 8801
60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선생님이라는 큰 선물 image [3] 정은주 2018-03-04 8750
59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하늘이의 웃음을 기다려 imagefile [2] 최형주 2015-05-20 8707
58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우리 가족 사랑의 막대기 imagefile [4] hyunbaro 2017-04-21 8688
57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67편] 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imagefile [10] 지호엄마 2017-09-12 8676
56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일상의 정의를 지키는 사람들 imagefile [2] 정은주 2018-07-28 8639
55 [이승준 기자의 주양육자 성장기] 세련된 아빠이고 싶지만 imagefile 이승준 2017-04-12 8635
54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아파서 고마운 지금 imagefile 최형주 2018-01-19 8632
»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나도 입양되지 않았다면..." image [1] 정은주 2017-12-06 8628
52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나의 결혼기념일 imagefile [2] 최형주 2018-07-26 8615
51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복 받아라! imagefile [6] 최형주 2016-04-01 8592
50 [즐거운아줌마의 육아카툰] [육아카툰51편] 4.13 꽃구경이나 가야지~ imagefile [2] 지호엄마 2016-04-07 8578
4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상처를 드러내는 법 image [3] 정은주 2017-08-21 8532
48 [최형주의 빛나는 지금] 적이냐 친구냐를 부모에게 배우는 아이들 imagefile [1] 최형주 2017-08-30 8522
47 [아이와 함께 차린 글 밥상] [어른책] 아들 딸 구별 말고 서이슬 2017-12-20 8514
46 [박진현의 평등 육아 일기] 육아도 재해가 있다 imagefile [6] 박진현 2017-06-15 8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