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노래.jpg

 

방학을 앞두고 마지막 마무리 잔칫날 모둠별로 인형극을 하기로 했다는 얘기를

이룸이한테 들은 것은 한참 전이다. 모둠에 속한 아이들끼리 인형극 준비물도 만들고

역할을 나누어 마무리 잔치 때 공연을 하기로 했는데 이룸이 모둠 친구들이 제 맘처럼

움직여주지 않는다고, 그래서 연습이 잘 안된다고 속상해 했다.

힘들겠네, 저런 속상하겠다.. 이야기를 들어주고 위로도 해주며 잘 준비해보라고

도닥였는데 그래도 잘 안되는 모양인지 인형극 공연 때문에 집에 와서 부려대는 짜증과 분노가

날로 더해갔다.

" 애들이 연습도 안 하고 장난만 치고 다른 모둠은 다 연습도 잘 되는데 우리는 완전 망했어요"

"선생님께 말씀 드리고 도움을 청해보면 어때?"

"선생님도 아시는데 소용없어요. 장난만 계속 친다구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

"나도 모른다구요. 어떻게하면 좋냐구요. 왜 나만 이런  모둠이 걸려서 이렇게 고생하냐고...엉엉"

나중에는 소리 소리 질러가며 울기도 여러번 했다.

학교 행사에 욕심도 많고 열정도 많은 아이인데 마음대로 안 되는게 얼마나 힘들까..

이해가 되면서도 아침마다 징징거리고, 학교 다녀와서 신경질 부리고, 느닷없이 소리 지르며

꺼이 꺼이 울어대는데는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보기가 어려웠다.

그래도 그 친구들을 감당해가며 준비해 가는 이룸이가 제일 힘들겠지 싶어 생난리를 치며

짜증 부려도 꾹 참았다. 다른 식구들한테도 모른척 해 달라고 부탁했다.

드디어 마무리 잔치날인 오늘, 이룸이는 깨우자마자 비명을 지르며 이불위에서 엉엉 울기 시작했다.

"오늘인데 어떻해. 준비도 하나도 못했는데, 아아, 학교 안 갔으면 좋겠어.. "

바쁜 아침에 서둘러 준비해도 시간이 빠듯한데 깨어나자마자 울고불고 뒹굴고 있으니 난감했다.

화내지 않고 살살 달래가며 재촉을 해도 소용이 없었다. 울며울며 느릿느릿 준비를 하는 것도

꾹 참으며 한 마디 하고 싶어하는 윤정이에게도 아무말 말라고 단속을 해가며 밥상에 앉았는데

이룸이는 상 옆에 주저앉아 소리를 질러가며 울기 시작했다. 짜증이 치밀어오르는 것을 꾹 참았다.

퉁퉁 부은 얼굴로 제일 늦게 상에 앉은가 싶었는데 갑자기 비명을 꽥 지르는 것이다.

" 아악 .. 어떻하냐고!!! "

윤정이가 깜짝 놀라 황당한 얼굴로 나를 보고, 나도 너무 놀라서 수저를 떨어뜨릴 뻔 했다.

더 이상 참을 수 가 없었다.

"학교 가지마! 결석해. 그렇게 괴로우면 학교 빠지고 연극 하지마!"

울고 있는 이룸이한테 꽥 소리를 질렀다.

"... 학교는 갈꺼예요"

이룸이는 내 소리에 놀라서 울음을 멈추고 고개를 수구리며 이렇게 말했다.

"그럼 빨리 준비하고 밥 먹고 학교 가. 가서 죽이되든 밥이되든 알아서 해"

"내가 잘 하고 싶어도 다른 친구들이 도와주지 않으면 내 대사도 할 수 없다구요. 그럼 어떻해요?"

"뭘 어떻해, 연극을 망쳐야지!"

단호한 내 이야기에 이룸이가 눈물이 얼룩진 얼굴을 들어 바라보았다.

"망치면... 어떻해요..."

"넌 할 수 있는거 다 했잖아. 그런데 너 혼자만 잘 한다고 되지 않잖아. 선생님께 말 했어도

소용없다면서..

당장 오늘이 공연인데 준비는 하나도 안됬으면 당연히 공연을 망치겠지.

그럼 보란듯이 망치고 내려오면 되지"

".. 나는 잘 하고 싶다구요.. 흑흑.."

이룸이는 다시 눈물을 떨구었다.

"니가 잘 하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을때가 있어. 이번처럼.. 아무리 잘 하고 싶어도

잘 할 수 없는게 세상엔 더 많아. 남들이 니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아.

두 친구들도 아무리해도 네 생각대로 안 되잖아.

그럼 어떻해. 안되는거 인정하고 포기해야지. 준비안된대로 공연해서 웃음거리 되야지.

그렇다고 니 친구들이 비웃겠니? 그냥 다들 깔깔깔 웃으면 끝나겠지.

학년 마지막 공연을 멋지게 잘 하고 싶은 마음 아는데 그게 네 생각대로 안 된다고 해서

힘든 것도 알겠는데 네 마음이 힘들다고 네 멋대로 소리지르고 화 내고 가족한테 신경질,

짜증 부리면 안돼.

너 하나때문에 다른 가족들이 피해를 보잖아. 힘들다고 얘기하고 위로를 구할수는 있지만

이렇게 마음대로 신경질부리고 히스테리 부리는 건 정말 못참겠어.

니 감정 때문에 다름 사람까지 힘들게 하면 안된다고!!"

"... 죄송해요... 엉엉"

이룸이는 구슬프게 울었다.

"아, 정말 얘때문에 저까지 스트레스예요. 완전 지 멋대로잖아요.

갑자기 소리 질러서 사람 놀라게 하고.."

윤정이도 짜증난 표정으로 쏘아붙였다.

"언니도 엄마도 많이 참았어. 니가 힘드니까 잘 받아쥐야지... 생각하면서..

그런데 이건 정말 도가 지나쳐.

힘든 마음, 괴로운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이 이렇게 소리소리 지르고 울고 불고 하는 것

밖에 없는건 아냐.

그렇게 하면 너를 위로해주고, 격려해주고 싶은 사람도 다 도망갈껄? "

" ... 미안해요.."

".. 잘 하고 싶은 일이 맘대로 안되면 누구나 속상하고 힘들어. 그

래도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포기하고

결과를 받아들이는 것도 배워야지. 살다보면 내 맘대로 안되는 일이 더 많거든. 그런데

그럴때마다 이렇게 한탄하고 좌절하고 몸부림만 칠거야? 잘 안되면 망치는 것도 배워야지.

부끄럽고, 속상하고, 아쉽고, 자존심 상하는 것도 배워야지.

끝내 연극이 네 맘대로 안되면 아무리해도 안 되는 일이 있구나를 배운다고

생각해. 연극이 망친다고 네 자신이 망쳐지는 건 아니야. 연극 한 번 망한다고

네가 형편없는 아이가 되는 것도 아니고...

잘 안되는 일도 겪어가며 커야 마음도 단단해지고 네 안에 더 큰 힘이 생기는거야.

이번엔 그런 기회로 삼으면 되지.

엄마도 학부모 회장할때 욕 많이 들었어. 엄마 재수없다고, 너무 설친다고, 잘난척 한다고

수군거리는 사람들이 있었거든. 잘 하고 싶어 애쓰는데 뒤에서 그런 소리 들으면 얼마나 화 나는데..

자존심 상하고..

그렇다고 회장을 그만 둘 수 있어? 그 사람들하고 맨날 싸우고 그 사람들 안 볼 수 있어?

그럴수없어. 다음날 또 만나서 회의하고 같이 일을 해야 하니까..

내가 아무리 애를 써도 오해하고, 잘 못 보고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구나. 할 수 없구나..

모든 사람을 다 만족시킬 수 없구나. 포기하자. 그렇다고 내가 할 일 안 할 수 없지.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최선을 다 하자.. 더 겸손해지자.. 그런 마음으로 1년 동안 회장을 했어.

그러면서 많이 배웠지. 다른 사람들 마음을 내 맘대로 할 수 없구나. 애써도 할 수 없는 일이 있구나.

그럴땐 욕도 먹고 오해를 사도 어쩔 수 없구나. 회장 하면서 마음이 훨씬 더 단단해졌다고..

그러니까 결국 고맙고 소중한 기회였지.

모든 일이 잘 되야 행복하고 좋은 사람이 되는 것 같지? 그렇지 않아.

실망하고, 속상하고, 좌절하고, 화나고, 포기하고, 다시 마음 잡고 하면서 우리 마음이 더 알록달록

고와지는거야. 다양한 감정이 쌓여가면서 풍성해지고... 내 안에 감정이 다양할수록 다른 사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더 여러가지 일들을 잘 해결해 갈 수 있어. 이룸이는 지금 그런 공부를 하는거야"

이야기를 마칠때 쯤 우리는 차가운 겨울 마당에 서 있었다.

싸늘하고 밝은 날 이었다.

"엄마... 햇님이 나를 응원해주는 것 같아요"

이룸이가 차 앞에서 내게 몸을 기대왔다.

"그러네.. 공기도 맑고 깨끗하고.. 모두 다 이룸이를 위로해주는 것 같애"

"아까는 죄송했어요."

"네 잘못이 아니야. 이러면서 또 크는거지"

잠깐 안아주고 함께 차에 올랐다.

시동을 켰더니 늘 고정되어 있는 라디오 체널에서 마침 아바의 '치키티타'가 흘러나왔다.

"와, 이거 완전 딱 이룸이를 위한 노래다!"

우리 셋은 치키티타를 들으며 들길을 달렸다.

- chiquitita tell me what's wrong?

얘야 무슨 일이니

you're enchained by your own sorrow

슬픔에 사로잡혔구나

- you were always sure of yourself

늘 자신감이 넘치는 너 였는데

now i see you've broken a feather

지금은 깃털 하나가 부러졌구나

i hope we can patch it up together -

우리 같이 고쳐볼까

- im a shoulder you can cry on -

나는 네가 기대서 울 수 있는 어깨야

- how the heartaches come and they go ane the scars they're leaving

마음은 아팠다가도 다시 나아, 상처는 남겠지만

you'll be dancing once again and the pain will end-

너는 다시 춤 출 수 있을 거고 고통은 끝날거야

-but the sun is still in the sky and shining above you

태양은 여전히 하늘에서 네 위로 빛나고 있어

let me hear you sing once more like you did before

다시 한 번 네 노래를 들려줘

- try once more like you did before

예전의 너 처럼 한 번더 힘을 내 봐

sing a new song chiquitita -

새로운 노래를 불러줘 -

학교 앞 참나무 아래 차를 세워두고 노래가 끝날때까지 말없이 앉아있다 내렸다.

"이 노래, 영화 맘마미아에서 도나에게 갑자기 세 남자가 짠 하고 나타나서 정신이

나갔을때 화장실에 들어가 엉엉 우는데 두 친구가 화장실 문 위와 아래에서 얼굴 내밀고

도나를 위로해주려고 막 불러주잖아"

"맞아요. 머리 드라이도 해주고, 입에도 뭐를 막 뿌려주고.."

"그래, 도나의 기분을 좋게 해 주려고 뭐라도 막 해주는거지.

이룸이는 정말 운이 좋아. 자기의 기분을 위로해주는 딱 맞는 노래가 차를 타자마자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되겠어. 오늘은 정말 모든게 다 잘 될꺼야"

우리 셋은 신이 나서 영화 맘마미아 얘기를 해 가며 등교길을 걸었다.

새로운 노래2.jpg

 

교문을 들어서는데 윤정이가 소리쳤다.

"엄마, 저거요, 플라타너스에 목도리 두른거요, 우리 반이 뜬 거예요. "

과연 올 봄에 가지가 무참하게 잘렸던 플라타너스 둥치에 알록달록

이쁜 목도리가 둘러져 있다.

윤정이네 반 아이들이 힘을 합해 뜨게질 해서 완성한 나무 보호대다.

새로운 노래3.jpg

 

"엄마, 언니가 뜬게 이 빨강색이예요"

이룸이는 웃으며 플라타너스를 안았다.

"플라타너스도 기운내고 있잖아. 이렇게 이쁜 목도리를 해 줘서 정말 행복하겠다.

나무도 지금 너를 위로해주고 있을거야"

새로운 노래4.jpg

 

"올 여름에 아주 아주 가지랑 잎들이 많이 많이 났으면 좋겠어요"

" 아픈 일을 겪었으니까 플라타너스도 훨씬 더 단단해졌을꺼야.

올 해는 정말 멋진 잎들을 피어 올릴껄?

힘든 일을 겪을수록 나무도 사람도 더 단단해져. 기운내"

이룸이는 플라타너스를 한참 바라보다 돌아섰다.

"엄마.. 오늘 정말 미안했어요"

"아니야, 엄마도 화 내서 미안해"

"지금은 기분이 괜찮아요"

"그럼, 연극 한 번 뜻대로 안 된다고 좌절하기엔 너는 정말 너무 근사한 아이잖아. 잊지마"

"사랑해요"

이룸이랑 꼭 끌어안았다가 손을 놓았다. 이룸이는 결연한 표정으로 교실로 들어갔다.

막상 닥치면 생각보다 별 일 없을 것이다.

겪어보면 다 견뎌진다.

짧은 아침 시간동안 우리는 몇 번이고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 같은 감정들을 경험했다.

아이들은 하루에도 이렇게 몇 번씩 성장의 계단을 오른다.

힘들지만 돌아보면 벅차고 이쁜 모습들이다.

이룸아, 윤정아

가끔 힘 든 일이 있지만 잊지마.

우린 언제나 새로운 노래를 부를 수 있단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815054/d03/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린 언제나 새로운 노래를 부를 수 있어 imagefile [5] 신순화 2019-01-08 11603
214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 가족이 한 해의 마지막을 보내는 방법 imagefile [2] 신순화 2019-01-04 13135
214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사랑을 위하여 imagefile 신순화 2018-12-28 10028
214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홉살의 그림 imagefile [4] 신순화 2018-12-19 12937
214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반갑다, 겨울아!! imagefile 신순화 2018-12-14 10956
214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얘들아, 디지털 세상은 천천히 가자 imagefile 신순화 2018-12-09 10018
2139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꽃 길만 걷게 하진 않을게 imagefile [2] 정은주 2018-12-05 13294
213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마흔 아홉 10월, 팔굽혀펴기를 시작하다 imagefile [1] 신순화 2018-11-28 18374
213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 손을 부탁해^^ imagefile [1] 신순화 2018-11-21 10946
213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이와 읽는 '김제동 헌법' imagefile [4] 신순화 2018-11-14 10448
213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막내의 과소비 imagefile [4] 신순화 2018-11-06 10482
2134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벵갈 고양이의 축복 imagefile [2] 정은주 2018-11-03 13672
2133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어린이식당, 도쿄에서 서울까지 imagefile [3] 윤영희 2018-10-30 12132
213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괜찮아, 잘 자라고 있는거야.. imagefile [4] 신순화 2018-10-24 11292
213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꽃과 풀 달과 별, 모두 다 너의 것 imagefile [3] 신순화 2018-10-15 10986
2130 [일본 아줌마의 아날로그 육아] '엄마'에서 다시 '나'로 돌아오는 시간 imagefile [2] 윤영희 2018-10-10 12246
212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여보, 조금만 아파.. imagefile [2] 신순화 2018-10-07 13473
2128 [정은주의 가슴으로 키우는 아이] 엄마의 반성문 imagefile [1] 정은주 2018-09-30 12033
2127 [소설가 정아은의 엄마의 독서] 집에서 노는 엄마는 없다-낸시 폴브레 <보이지 않는 가슴> imagefile [1] 정아은 2018-09-30 12983
2126 [양선아 기자의 육아의 재발견] 남편 살, 질투는 나의 힘 imagefile [2] 양선아 2018-09-21 12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