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규3.jpg


방학을 하면 엄마들은 개학을 한 기분이다.

학교가 감당해주던 많은 일들을 고스란히 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식사와 놀이, 여가, 공부, 친구, 다양한 체험까지...

한적한 시골 마을에 뚝 떨어져 있는 우리집에선 가볍게 걸어서 만날 친구도

주변에 없다보니 그야말로 눈 떠서 잘 때까지 우리끼리 부대끼며 지내게 된다.

나이가 주는 생체리듬과 관심사가 다른 세 아이는 각자 다른 방학을 보내고 있다.


열다섯 살 아들은 하루의 반나절은 잔다. 밤엔 늦도록 책을 보느라 몇 시에 자는지

알 수 없지만 정오부터 깨워도 오후 1시 넘어서야 간신히 눈을 뜬다.

방학에도 규칙적인 생활....따위는  애초부터 먹히지도 않았다.

나부터도 그닥 규칙적인 사람이 아니므로 몇 번 일찍 깨우려고 시도했다가

포기했다. 반나절을 자고 일어나야 아들은 움직인다.

눈 뜨면 컴퓨터 앞에 앉는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게임 시간은 일주일에

세 시간이지만, 매일 출석을 한다며 게임창을 열고 아이템을 얻고, 포인트를

쌓는 일에 열심이시다.  그래봤자 또래 아이들에 비해 게임을 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적으므로 적당히 눈 감아 준다. 어짜피 개학하면 이 생활도 끝이다.


컴퓨터 앞에 앉는 시간이 끝나면 다시 소파에서 뒹굴거리며 만화책을 보거나

신문을 뒤적이고 TV를 본다. 본래 우리집은 주말에만 TV 시청을 하는데

방학과 동시에 아들은 이 규칙을 가볍게 무시하고 있다.

이 역시 그래봤자 공중파 4개 채널만 나오는 우리집이므로 적당히

넘어가 준다.  프로그램이 뻔하다보니 온갖 다큐와 시사 프로그램까지 섭렵한다.

개학하면 다시 평일 TV시청은 끝이다.


폭염과 장마가 오가는 여름은 풀도 극성으로 자라고, 집 안팎에 할 일이 넘치는데

아들이 좀 척척 나서주면 한결 수월할텐데 몸 움직이는 일엔 질색을 한다.

제가 먹은 그릇 설거지하고, 개밥과 물을 주고, 닭장에 물주고, 가끔 마지못해

더위 타는 개들을 샤워시키는게 고작이다.

햇볕 쬐는 것도 질색을 한다.

구리빛으로 탄 건강한 몸으로 자전거를 타고, 공을 차고, 농구를 하고, 땀을 흘리는...

그런 육체파 아들을 소망하던 내 꿈은 애진작에 버렸다.

운동도 잘 하고 책도 좋아하는..... 아들을 기대했던 것이 말도 안되는 판타지였다.

방학과 동시에 몸을 최소한으로 움직이며 생활하는 아들은 그나마 책은 많이 읽고

있으니 다행이다.

움직이지도 않는 것이 끼니때마다 맛있는 반찬 찾는다.

열다섯 살 아들을 움직이는 것은 게임과 책과 만화와 잠, 그리고 '고기'다.

엄마가 매일 동생들만 데리고 외출해서 집에 자기 혼자 남게 되는 일만 바라고 있다.

흥.. 속이 빤하다.


윤정2.jpg


열한 살 둘째..

방학 중 모자란 공부를 하는 모습.... 은 볼 수 도 없다.

평소에도 공부를 일부러 시켜지 않는 엄마다보니 스스로 안 하는 아이에게

갑자기 이것 저것 하라고 할 수도 없다.

"일기는 쓰고 있는거니?" 한 마디 했더니

"엄마, 그건 제가 알아서 할께요" 한다.

알아서 한다는데 더 할 말이 없다. 그렇구나, 알아서 할꺼구나.. 하는 수 밖에..

열한 살 딸은 그동안 오빠가 누려오던 많은 것들에 딴지를 걸기 시작했다.

"엄마, 왜 오빠만 게임을 많이 해요?"

"게임 출석도 게임으로 봐야 하는 거 아닌가요?"

"왜 오빠만 아이팟 만져요? 나도 아이팟 만지면 안돼요?"

"저도 오빠 보는 만큼 웹툰 보고 싶어요"

이러다보니 큰 애와 자주 싸우게 된다.

아직까지 스마트폰이 없다는게 큰 스트레스인 큰 애는 그나마 게임 출석이니

아이팟 사용이니 하는 것들을 제 권리인양 여기고 있어서 동생이 제 권리를

침해한다고 느끼면 참지 못하고 펄펄 뛴다.

부당하다고 느끼는 것을 표현하고 따지는 모습은 순둥이 둘째에겐 분명

바람직 하기도 하고, 바래왔던 모습이지만 막상 갈등이 늘어나니

집안은 더 소란스러워지고 내 피곤함도 늘어간다.


이룸.jpg


일주일에 두 편, 그림 일기 쓰는 것이 유일한 숙제인 막내는 시키거나 확인하지

않아도 알아서 잘 한다. 게다가 글씨도 세 아이중 가장 이쁘게 쓴다.

어딜봐도 똑 떨어지는 영특한 아이다. 그런데 이 영특한 아이는 가끔 마치 사춘기

아이처럼 아무렇지 않게 사람 속을 뒤집어 놓는다.

좋고 싫은게 너무나 분명하고 제 의견을 여간해서 굽히지 않는 아이라서

수시로 세살 위인 언니와 한 판씩 붙는다. 나와도 자주 부딪친다.

어떤 상황에서도 제 생각을 조리있게 잘 표현할 줄 알다보니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다. 다 따지고, 주장하고, 확인하려든다.

이제 겨우 여덟 살 아이에게 설명하고 동의와 이해를 구하고 협상하고 설득하는

일에 진이 쏙 빠질때가 여러 번이다.

잘못한 일을 이해시키느라 열변을 토하고 있는 엄마에게

"저, 지금 그런 말 들을 기분 아니거든요?" 라고 한다거나, 말이 조금만 길어지는가

싶으면 "엄마, 그만 좀 해주실래요?" 한다거나, 언니와 번갈아 하기로 정했던 일도

"오늘은 안 하고 싶어요. " "누구나 안 하고 싶은 때 있잖아요. 저는 오늘이

그렇다구요" 하는 식이다.

물론 평소에는 녹을 듯 애교 많고 달콤한 딸이다.

그러나 기분이 상하거나 화가 나면 불같이 변한다. 

사춘기 아이 셋과 살고 있는 기분이다.

한꺼번에 시달리고 한꺼번에 좋아지려나...ㅠㅠ


집안에서 아이들이 원하는 많은 일, 아이들이 누릴 수 있는 권리의 경계를

세 아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선으로 정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점점 커가는 욕구들과 생각들은 어렵게 정한 규칙들도 다시 갈등이 되게 하는

이유가 된다. 잘 지내다가 한번씩 집이 떠나가게 싸우고 울고 불고

소리치고 억울해하고 난리다.


꿀같이 달달하게 어울리다가 한 순간 칼처럼 날카로와지고, 그러다

다시 안 볼 사이처럼 지긋지긋해 하는가 싶었는데 어느새 또 셋이

엉켜서 킬킬 거리고 있다. 그 와중에 나도 같이 널을 뛰듯 휩쓸리기도 하고

정신차려서 어른노릇 하기도 하면서 방학을 보내고 있다.


그래도 할 일 많은 집안일 툴툴 거리면서도 서로 번갈아 맡아주고, 

더운 여름에 탈나지 않고 건강하게 지내는 것이 고맙다.

집이 너무 더우면 에어컨이 시원한 도서관에 가서 한 나절씩 책 읽다 오고

밤에는 같이 좋아하는 영화도 보고, 이따금 동네 카페에 가서 시원한 팥빙수도

사 먹고 온다.

밥 하기 힘들면 동네 단골 분식집에 가서 한 끼 해결하기도 하고,

출장 자주 다니는 남편이 식권이 많이 남았다고 하면 그 식권으로 먹을 수 있는

맛있는 짜장면을 위해 잠실까지 행차도 한다.

가족끼리 해외여행 간 친구도 많고, 동해로, 제주도로, 근사한 휴가를

즐기고 왔다는 이웃들도 많지만 우리는 멀리 나가지 않고 집과 도서관과

학교와 동네 안에서 더운 여름을 나고 있다.


입추 지나자 거짓말처럼 밤이 서늘해졌다. 절기란 참 신기하다.

아이들 방학도 절반을 넘어섰다. 이제 하루하루 개학이 다가오리라.

조금 더 애쓰면 다시 학교와 집을 오가는 일상이 시작되겠지.

바쁘고 고단했던 내 여름도 지나갈 것이다.


이렇게 지낼 수 있는 방학이 몇 번이나 더 있을까.

큰 아이가 고등학교만 들어가도 방학은 또 많이 달라질 것이다.

그러니까 매번의 방학이 사실은 유일한 방학이다.

그렇게 생각하며 힘을 내는거다.


절반은 지났으니... ^^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첨부
신순화
서른 둘에 결혼, 아이를 가지면서 직장 대신 육아를 선택했다. 산업화된 출산 문화가 싫어 첫째인 아들은 조산원에서, 둘째와 셋째 딸은 집에서 낳았다. 돈이 많이 들어서, 육아가 어려워서 아이를 많이 낳을 수 없다는 엄마들의 생각에 열심히 도전 중이다. 집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이 주는 가치, 병원과 예방접종에 의존하지 않고 건강하게 아이를 키우는 일,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이와 더불어 세상을 배워가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며 살고 있다. 계간 <공동육아>와 <민들레> 잡지에도 글을 쓰고 있다.
이메일 : don3123@naver.com      
블로그 : http://plug.hani.co.kr/don3123

최신글

엮인글 :
http://babytree.hani.co.kr/31736105/23c/trackbac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7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험한 세월 살아가는 힘은 공부 imagefile [4] 신순화 2017-08-15 12353
»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지지고 볶아도 어차피.. imagefile 신순화 2017-08-10 15185
36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82년생 김지영과 70년생 신순화 imagefile [4] 신순화 2017-08-01 11312
36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분노의 호미질이 가르쳐 준 것들 imagefile [6] 신순화 2017-07-25 9969
36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잊을수 없는 신라면덮밥 imagefile [8] 신순화 2017-07-20 13427
36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더 키워봐야 안다 imagefile [2] 신순화 2017-07-19 9702
36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들이 받아온 성적표 imagefile [2] 신순화 2017-07-07 13120
36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학교 가는 길 imagefile 신순화 2017-06-28 9702
36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돈 보다 더 귀한 것 imagefile [11] 신순화 2017-06-20 16801
36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앵두 한 알의 세상 imagefile [12] 신순화 2017-06-15 14452
360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소리.. 그 소리 imagefile [2] 신순화 2017-06-08 11180
359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그 강가에 다시 서다 imagefile [2] 신순화 2017-06-01 12821
358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를 키운 건 8할이 수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5-24 11480
357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세 아이와 함께 보는 '빨간 머리 앤' imagefile [8] 신순화 2017-05-17 12602
356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내게로 온 책상 imagefile [1] 신순화 2017-05-12 9548
355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우리에게도 더 좋은 날이 오겠지 imagefile 신순화 2017-05-10 9472
354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아픈 세 아이와 보낸 8일간의 보고서 imagefile [8] 신순화 2017-04-26 10566
353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따뜻한 밥 한 그릇 imagefile [4] 신순화 2017-04-20 12670
352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열한 살 마음은 고슴도치 마음 imagefile [4] 신순화 2017-04-13 10073
351 [세 아이와 세상 배우기] '평범한 날'이 가장 '빛나는 날'이다 imagefile [4] 신순화 2017-04-04 9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