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20개월쯤부터 36개월까지 1년반을 영어 동영상을 하루에 5시간 이상씩 봤어요 

그래서 그런지

디비디 증후군 증상이 나타났어요 ( 자폐처럼 눈맞춤 잘 안되고 호명반응 없음  언어도 늦음)

병원에서는  선천적인 자폐나 다른장애는 없다고 했어요  청력검사도 정상이예요


36개월 이후부터 한달동안  비디오를 한번도 보여주지 않았더니 갑자기 말도 늘고   사람들과 인사도하고  눈맞춤도 많이 좋아졌어요


그런데도 여전히  호명반응이 느리고  예 아니오  대답을 하지 못해요

그져 하고싶은말은 문장으로   30개월 아동 수준으로는 해요

남들과 상호작용이 잘안되지만   엄마인 저랑은  눈맞춤 상호작용이  남들보다는 잘해요.

현재 미국에서 살고 있어서  조기교육욕심으로  제가 영어 동영상을 어린아이에게 보여줬더니 이런 증상이 나타난거 같아요.


제 생각엔 놀이 치료가 필요한거 같아서   집에서 저랑 항상 같이 놀고  밖에나가서 외부활동 많이하고 죄책감에 아들에게 최선을 다해주고 있어요

저희 아들이 정상으로 살아갈수 있을지 너무 걱정입니다. 

그리고 저랑 집에서 호명반응과 눈맞춤 연습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미국에서 놀이치료를 받으면 영어로 받아야

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좌뇌우뇌 불균형이 생긴건가요???  스마트폰 많이 보면 전두엽이 고장난다던데   전두옆에 문제가 생겨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나요? 이런 증상 치료를 위해서 제가 집에서 아기랑 할수 있는 놀이좀 알려주세요~ 


대충 아이의 언어 수준을 적어보겟습니다.

- 이름 부르면 대답을 하지 않으나 쳐다 봄

-  심부름을 잘하고 말을 잘알아 듣고 지시에 잘 따름

- 하고싶은말은 주로 단어로 하지만  뽀로로가 했던말을 문장으로  자주 따라함

- 대소변은 30개월전부터 스스로 했음

- 운동신경은 발달해서 가위질 , 혼자 옷입기 청소기 분리 조립 등 어려운것도 다 해냄

-키나 몸집은 남들 보다 더 큰편이고 활동적이고 조심성이 있어 잘 다치지 않음

- 기분이 좋으면  호명반응이 좋음.  

- 말투가  일반 아동말투랑 다르고 주로 억양을 올리듯  큰소리로 말함

질문하듯한 어조

- 눈치가 빠르고 엄마의 기분을 잘 알아챔

- 친구들 만나고 외부 활동에서 잘 적응하지만   나중엔 결국엔 따로 노는 모습을 보임

술래잡기나 숨밖꼭질 같은 뛰어다니는 놀이를 유난히 좋아함


- 가만히 앉아서 선긋기 색칠하기를 못하며  종이를 찢어버림

- 물감놀이 종이 짤라 붙이기 음악 시간을 제일 좋아함


-현재 미국에서 프리스쿨을 다니고 있는데  선생님이 사회성이 떨어지고 눈맞춤이  오래가지 못한다고

했음 , 한국인 선생님과 대화가 되지 않고  묻는말에도 대답을 잘 하지 않음

하지만 프리스쿨 가는것을 너무 좋아하며  활동에 적극적이고  그룹활동시 얌전하기 기다리고 질서를잘지킴,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베이비트리

2016.10.20 14:13:12

안녕하세요.

36개월 이전의 아이에게 과도하게 동영상을 보여주는 경우 눈맞춤이 잘 안되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디비디 증후군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선천적 자폐증이 없고 동영상 보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회복될 수 있습니다. 

문장으로 말하지 못하고 불러도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언어발달이 늦은 것은 사실입니다. 개인성사회성 발달도 늦습니다. 그러나 다른 행동에서 큰 문제가 없고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도 좋고 언어나 상호작용도 늘어나고 있다면 앞으로 좋아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부모와 상호작용을 늘리고 아이에 대한 관심을 많이 보여주고 대화를 많이 한다면 충분히 좋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놀이치료도 도움이 됩니다. 현실적으로 영어로 놀이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라도 도움이 됩니다. 놀이치료에 언어가 관여하기는 하지만 눈맞춤이나 상호작용, 놀이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영어로 하는 놀이치료라고 부담이 될 이유는 없습니다. 집에서는 아이와 눈을 맞추고 이야기 하시고 아이가 반응을 하면 그에 따른 반응을 잘 해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불완전하게 말하더라도 지적하기보다는 잘했다고 반응하시고 정확하게 이야기하는 식으로 하여야 합니다. 

도움이 되는 언어발달을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호작용 돕기
.아기가 자신의 이름에 반응하도록 자주 이름을 불러준다.
.익숙한 단어를 많이 들려주고 이야기 한다.
(예: 우유, 맘마, 가족이름, 동물이름, 짝짜꿍, 만세, 어부바 등)
.아기가 부정어를 이해하기 시작하므로 위험한 것이나 아동을 제재할 일이 생기면 "안돼" 라고 이야기 해준다.
.쉬운 멜로디의 노래를 자주 들려주고, 옆에서 따라 불러준다.

2. 확장하기
.자신을 표현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그러자면 대신해주기보다는 아이가 말로 표현해야 들어주는 것이 좋다. 
.물어보기를 하여 자신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아이의 행동을 짧고 단순한 문장으로 묘사해주어서 아이가 문장을 쉽게 흉내 내도록 한다. 

3.  문장 만들기
.모든 행동을 짧고 간단한 문장으로 말해준다.
.신체 부위를 가르친다.(신체부위 중 한 개를 정확하게 지적하게)
.아기가 쉬운 단어나 손짓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도록 유도하라. 모든 것을 미리 알아서 엄마가 다해 주면 아기의 의사소통 능력발달에 방해가 된다.
.가능한 한 명사보다는 기능어를 많이 가르쳐 주어라. (예: 나, 너, 여기 등)
.아이 자신의 욕구를 단어나 동작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도록 유도한다.
(예: 엄마 - 아이 앞에서 비누 방울을 들고 불지 않고 기다린다.
     아동 - "불어 줘")
.부사어(예: 안에, 밖에, 위, 아래 등)를 섞어서 아이에게 지시 따르기를 시켜라.
(예: 책상 아래에 있는 공 가져와. 바구니안에 사탕 넣어)
.아기가 두 단어를 연결해 문장을 만들기 시작할 때, 유아들은 보통 전보체 언어(예: 엄마 양말)를 사용한다. 엄마는 유아의 전보체 언어를 확장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즉 아기가 "엄마 양말"이라고 말을 하면 엄마는 "그래, 그것은 엄마의 양말이구나"라고 반복해 줄 수 있다.
."뭐(무엇)""누구" 의문사에 대답할 수 있게 가르쳐라.
(예: "뭐 먹어요?" "뭐 입어요?" "뭐 닦아요?" "누구하고 왔어요?"  "누가 회사 갔어요?")

4. 일상적인 놀이
.얼굴 각 부분과 이름을 짝지어 익히게 한다. 아이와 마주 보고 앉아 몸에 있는 각 부분의 이름을 말하고 어디 있는지 찾아본다.
.아이가 말소리를 잘 따라 하지 못하면 먼저 비언어적인 소리를 따라하도록 가르친다.(예: 장난감 나팔을 불거나 입술로 뽀뽀한 후 쪽 소리내기, 동물 울음소리 흉내 내기 등)
.점차 아이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어 부정확하게나마 말을 하면 틀렸다고 하지 말고, 정확한 발음을 들려주도록 한다. 예를 들면 아이가 "무" 라고 발음하면 "그래, 물"하고 말해준다. 
.아이에게 사물 이름을 가르칠 때는 "이것이 무엇이지?" 하고 물은 후, 곧바로 "냉장고라고 해 봐" 하며 올바른 반응을 시범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나서 아이가 "냉장고"라고 말하면 "잘했어" 하고 칭찬해 주어 즉각적인 언어 강화를 해준다. 
.아이의 모든 행동과 요구는 스스로 표현할 때까지 기다린다. 밥을 먹은 후 미리 물을 주지 말고, 아이가 달라고 할 때까지 기다리는 식으로,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필요로 하는 것은 되도록 스스로 표현할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가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어어"라고만 할 경우에는, 곧바로 요구에 응하지 말고, 정확한 발음으로 말해 준 후 따라 하도록 가르친다.  
.엄마가 아이와 말을 할 때는 엄마의 입술 움직임이 잘 보이도록 아이를 바로 쳐다보면서 이야기한다. 입 동작을 크게 해 입 모양을 정확하게 보여준다.  

(*위 답변은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선생님께서 도와주셨습니다.)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7 [일반상담] 젖물고자고,늦게자고,수시로깨고,새벽에깨서놀다자고,엄청굴러다니면서 자는 힘든아기 답변완료 sjh8532 2017-08-10 12097
216 [김영훈] 만성 부비동염 imagefile 답변완료 ageha821025 2017-07-10 8496
215 [김영훈] 아이가 미운 행동만 해요 답변완료 dpthf02 2017-04-10 10799
214 [김영훈] 유치원 가기싫은 아기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변완료 miyabic 2017-03-13 9384
213 [김영훈] 아이가 입는 옷만 입으려고 해요 imagefile 답변완료 gauni 2017-02-22 14079
212 [김영훈] 만4세 남아 놀이관련 질문입니다. imagefile 답변완료 cider9 2017-01-30 9091
211 [김영훈] 130일 남자 아기 젖병을 거부해요 ㅠㅠ 답변완료 hyun3408 2017-01-30 9391
210 [김영훈] 6세 유치원을 안보내고 엄마와 보내려해요 답변완료 dpthf02 2017-01-18 10281
209 [박진균] 7살 유치원 안보내고 가정양육하기.. imagefile 답변완료 mw1004wife 2017-01-16 15167
208 [김영훈] 심각한 축구덕후 11세 아들 답변완료 rrsrr 2016-12-30 8009
207 [김영훈] 친구에게 집착하는 8살 여자 아이입니다. 답변완료 nae0714 2016-12-20 16936
206 [최민형] 자면서만 먹는 7개월 아기, 분유거부 답변완료 grausera 2016-11-09 16849
» [김영훈] 37개월 남자 아동 답변완료 jangx17956 2016-10-10 12952
204 [김영훈] 아들의 사회성 결여..공감능력등..고민이 많아요. qtseol 2016-09-28 11769
203 [김영훈] 게임 시간 답변완료 rrsrr 2016-09-05 7819
202 [김영훈] 10세 남아 마음에 분노가 있는거 같아요 imagefile 답변완료 ssuny218 2016-07-04 10237
201 [김영훈] 유치원 생활 적응 답변완료 dhwldb 2016-04-03 9535
200 [김영훈] 4세아이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답변완료 kan2204 2016-03-30 13463
199 [김영훈] 유치원 친구사귀기 답변완료 space904 2016-03-23 10608
198 [김영훈] 27개월된 여아 새벽마다 악을쓰며 웁니다. 답변완료 root5037 2016-03-22 25140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