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9갤 여아 완모중
젖물고잠들어야하거나 아기띠메야 자요. 
수면패턴 정해진게 거의 없어요.

늦게 12시에자면 6시쯤깨서 2시간놀다 그때부터 3시간푹자거나(이게 밤잠인지 낮잠1인지 모르겠음)
일찍 9시에자면 1시쯤깨서 2시간 놀다자서 아침에 7시쯤깨서 또2시간놀다 9시부터 3시간 잘자고(이것도 밤잠인지 낮잠1인지 모르겠음)
낮잠도 2시간정도 잘자고.

새벽에깨서 놀땐 낮보다 더 활발하고 더 기분좋아서 업되어있고
모른척 하려해도 잡고서거나 기어다녀서 다칠까봐 계속 보고있어야해요. 
잠들어도 수시로깨서 인간공갈짓 해주고있어요ㅠ
왜이리 잠 욕심이 없는건지.. 

낮잠은 잘안움직이고 안깨고 깊게 잘자는데 
밤잠은 수시로깨고. 엄청굴러다니고. 굴러다니다가 가드에 부딪히면 울고. 얉게자고. 깨서 다시재울땐 100% 젖물려야지만 자고..

왜그럴까요. 어떻게해야할까요. 
너무힘들어요ㅠ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양선아

2017.08.14 17:17:07

 9개월 아기는 밤잠 11시간, 낮잠 23시간, 14시간이 표준수면시간입니다. 9개월 아이는 자율성이 정착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고집이 세지고 독립심이 커지며 밤에 잠을 자려하지 않는다거나 자다가 깨는 일이 많습니다. 이 시기는 잘못된 수면습관이 문제가 됩니다. 특히 안거나 업어주어야 자거나 흔들어주어야 자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9개월 아기들은 대부분 낮잠을 두 번은 자야 합니다. 낮잠시간에 부모가 자기와 놀아줄 거라고 생각하면 아이는 절대로 자려고 하지 않습니다. 자기가 부모보다 오래 버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저항합니다. 9개월 사이의 아기들은 오후에 신체 활동이 활발하고 세 번째 낮잠을 많이 거르기 때문에 일찍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시간이 너무 늦으면 낮잠을 걸렀을 때와 똑같이 수면장애를 일으킵니다. 단 낮잠을 2시간이 넘으면 안됩니다. 밤에 아이들을 일찍 재울 때 가장 염려하는 것은 다음날 아이가 너무 일찍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결과는 그 반대입니다. 일찍 재우면 늦게까지 잠을 잡니다. 오히려 너무 늦게 재우면 다음날 너무 일찍 일어나는 결과를 낳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오후 9시 전에 잠자리에 들고, 오전 7시에는 일어나야 합니다. 이 시기에 해서는 안될 것이 몇가지 있습니다.

1. 너무 늦게 재우기: 아이가 놀다가 지쳐 자연스럽게 잠들기를 기대하면서 일부러 늦게까지 놀아주는 부모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든지 아기를 밤 늦게까지 재우지 않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9개월 아기들은 지나치게 피곤한 경우 잠들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숙면을 취하기도 힘들어집니다. 너무 늦게 잠든 경우 일찍 잠 들었을 때 보다 더 이른 시간에 일어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2. 아기띠에 의존하기: 아기 재우기가 너무 힘들어 아기띠를 메고 재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아기를 아기띠에 메고 재우면 아이가 잠을 잘 자기 때문에 이 방법을 자주 사용하시겠지만, 아기가 아기띠에 의존해야 잠드는 버릇이 들 경우 매일 밤 재우기 위해 아기띠를 메고 다니는 것은 엄마도 힘들뿐 아이도 아기도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됩니다. 아기의 취침의식으로 아기띠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잠들기 전에 침대에 내려놔 침대에서 자는 습관을 들어야 합니다.

3. 과도한 자극: 새벽에 깨서 더 활발하고 기분좋아서 놀게되면 아기는 흥분되서 더 잠을 못잡니다. 그런 면에서 새벽에는 아기와 함께 놀아서는 안됩니다. 취침시간 이전에는 TV도 보지 않도록 해주세요. 어두운 조명아래서 지루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아기가 밤에 깨면 반응을 하지 않고 기다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뒤척이다 제풀에 자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4. 취침의식 생략: 아기를 재우는 과정에서 목욕, 책 읽기, 자장가 불러주기와 같은 취침의식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기분 좋게 만들어 주는 취침의식은 아이가 편안하게 잠들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취침의식으로 아기 띠에 메거나 노리개젖꼭지를 물리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잠이 들 때에는 노리개젖꼭지를 빼는 것이 좋습니다.

5. 불규칙성: 9개월 아기는 자는 시간과 깨는 시간이 일정해야 합니다. 특히 깨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아침 7시에 일정하게 깨도록 관리해주세요. 아기가 그 시간에 깨지 않는다면 커텐을 열어 햇빛을 받게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햇빛을 받으면 멜라토닌이 떨어져 쉽게 깹니다. 깨는 시간이 일정해지면 자는 시간은 저절로 정착이 됩니다.

6. 낮잠 오래 재우기: 낮잠을 아무리 잘 잔다고 하더라도 한번에 2시간 이상 재우면 안됩니다. 또한 4시 이후에 낮잠을 재우는 것도 밤잠에 방해가 됩니다. 다라서 낮잠은 합너에 30분 이상 2시간 이내로 조절해주세요. 9개월 아이라면 2번의 낮잠과 총3시간의 낮잠으로 만족하세요.

따라서 다음의 지침을 지켜보도록 하세요.

- 일반적으로 아기가 6개월만 되어도 깨지 않고 밤잠을 잘 수 있습니다. 따라서 9개월이 지나도록 아기가 밤새 내내 자지 않는다면 밤에 아기를 다루는 엄마의 방법에 대하여 점검을 하여야 합니다. 취침의식을 하더라도 잠은 항상 침대위에서 자게 해주어야 하며 밤중수유를 한다면 단계적으로 끊어야 합니다.

- 아기띠에 메여 흔들어주거나 노리개젖꼭지가 있어야 잠이 드는 아기는 노리개젖꼭지가 없이도 잠드는 것을 가르쳐야 합니다. 아기의 발달 연령에 맞게 취침의식, 책을 읽어준다든지, 옛날 이야기를 하여준다든지, 자장가를 들려준다든지 하는 것은 그대로 해 주어야 하지만 항상 아기가 잠들기 전에 취침의식을 멈추어야 합니다.

- 잠을 안자거나 밤에 깬뒤 잠들지 못하는 것은 잠들기 문제가 아니라 먹는 시간과 양, 훈육, 어둠에 대한 두려움, 밤중의 과식, 자기전의 TV시청이나 흥분된 놀이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인이 되는 요소를 개선해주어야 합니다. 자기전에 약간 어두운 곳에서 조용하게 지내는 습관을 들어야 합니다.

- 대부분의 아기들은 집안의 소음에 쉽게 익숙해지므로 처음부터 발끝으로 걷는다거나 작은 목소리로 속삭일 필요는 없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아주 작은 소리에도 아기는 쉽게 잠을 깹니다.

- 9개월의 아기는 갓 태어났을 때처럼 꼭두새벽에 잠을 깨는 일은 없어집니다. 그러나 많은 부모들은 자면서도 아기에게 신경을 쓰기 때문에, 새벽에 아기가 뒤척이는 소리만 들려도 잠에서 깨어나 아기에게로 갑니다. 그 결과 아기는 2-3세가 되어서도 새벽 일찍 일어나면 역시 누군가가 함께 있어 주기를 바라게 됩니다. 얼마간 반응을 하지 않고 기다려보면 뒤척이다가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상적으로는 매일 거의 같은 시간에 잠자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는 잘 시간에 대해서 기분좋게 해주면서도 확고한 태도를 취해야 합니다. 잠잘 준비를 확실하게 하면 우기거나 졸라서 자는 시간을 늦출 수 없다는 것을 아기가 금방 깨닫게 됩니다. 특히 깨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해서 습관화하면 일정한 시간에 잠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잠드는 시간과 취침의식이 일정해지면 아기는 안심을 하며 때때로 심각한 잠투정도 치료가 됩니다. 취침전 시간은 가능한 한 조용히 하고 옛날 이야기로 어린이의 하루를 마무리 짓는 방법이 매우 좋습니다. 대부분의 아기들은 이야기를 매우 좋아하며 단 몇 분간이라고 부모의 관심을 온통 독차지함으로써 만족과 안정을 느낍니다.

- 아기가 6개월이 되면 밤에 먹지 않고도 잠을 잘 수가 있습니다. 그것은 고형식을 먹건 먹지 않건 상관이 없습니다. 아기가 누운채 자기 손으로 우유를 먹을 때에는 중이염이나 치주질환의 위험이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만약 아기가 스스로 이렇게 밤중에 먹는 것을 끊지 않으면 엄마는 아기가 밤에 먹지 않도록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11. 밤에 수유를 하지 못하게 하면 밤시간대의 수면패턴이 개선되므로 밤에 한번 정도 수유를 하는 경우라면 갑자기 혹은 단계적으로 수유를 중단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단계적으로 끊을 경우에는 먹는 양이나 분유의 농도를 줄이고 모유를 먹이는 아기라면 먹이는 시간을 줄이고 천천히 수유시기를 아침으로 이동시킵니다. 그러나 밤에 많은 양의 수유를 하는 아기라면 갑자기 끊기는 어려우므로 단계적으로 끊어야 합니다. 우선 수유간격을 조금씩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일주일 정도면 밤에 먹는 습관은 없앨 수 있습니다.

 (*위 답변은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선생님께서 도와주셨습니다.)

          

댓글 작성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 [일반상담] 젖물고자고,늦게자고,수시로깨고,새벽에깨서놀다자고,엄청굴러다니면서 자는 힘든아기 답변완료 sjh8532 2017-08-10 12152
216 [김영훈] 만성 부비동염 imagefile 답변완료 ageha821025 2017-07-10 8544
215 [김영훈] 아이가 미운 행동만 해요 답변완료 dpthf02 2017-04-10 10840
214 [김영훈] 유치원 가기싫은 아기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변완료 miyabic 2017-03-13 9436
213 [김영훈] 아이가 입는 옷만 입으려고 해요 imagefile 답변완료 gauni 2017-02-22 14125
212 [김영훈] 만4세 남아 놀이관련 질문입니다. imagefile 답변완료 cider9 2017-01-30 9133
211 [김영훈] 130일 남자 아기 젖병을 거부해요 ㅠㅠ 답변완료 hyun3408 2017-01-30 9438
210 [김영훈] 6세 유치원을 안보내고 엄마와 보내려해요 답변완료 dpthf02 2017-01-18 10337
209 [박진균] 7살 유치원 안보내고 가정양육하기.. imagefile 답변완료 mw1004wife 2017-01-16 15226
208 [김영훈] 심각한 축구덕후 11세 아들 답변완료 rrsrr 2016-12-30 8088
207 [김영훈] 친구에게 집착하는 8살 여자 아이입니다. 답변완료 nae0714 2016-12-20 17021
206 [최민형] 자면서만 먹는 7개월 아기, 분유거부 답변완료 grausera 2016-11-09 16884
205 [김영훈] 37개월 남자 아동 답변완료 jangx17956 2016-10-10 13026
204 [김영훈] 아들의 사회성 결여..공감능력등..고민이 많아요. qtseol 2016-09-28 11801
203 [김영훈] 게임 시간 답변완료 rrsrr 2016-09-05 7889
202 [김영훈] 10세 남아 마음에 분노가 있는거 같아요 imagefile 답변완료 ssuny218 2016-07-04 10275
201 [김영훈] 유치원 생활 적응 답변완료 dhwldb 2016-04-03 9588
200 [김영훈] 4세아이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답변완료 kan2204 2016-03-30 13515
199 [김영훈] 유치원 친구사귀기 답변완료 space904 2016-03-23 10655
198 [김영훈] 27개월된 여아 새벽마다 악을쓰며 웁니다. 답변완료 root5037 2016-03-22 25217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