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중에 닭고기 먹으면 아이 피부도 닭살?
다음은 일반 임신부들이 금기라고 생각되는 일에 대하여 임신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그에 대한 오해를 풀어보기로 한다.
■ 임신 초기
1. 과일 주스는 당분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섭취를 피한다.
[의견] 과일쥬스는 당분외에도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섭취를 하면 도움이 된다.
2. 꽃게를 먹으면 잘 꼬집는 아이가 태어난다.
[의견] 꽂게 같은 음식은 소화가 되어 임신부의 위장관으로 흡수가 되는 것이므로 아이의 성격과는 상관이 없다.
3. 닭고기를 많이 먹으면 아기 피부에 문제가 있다.
[의견] 닭고기도 음식이므로 아기 피부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4. 여행은 되도록 하지 않는다.
[의견] 임신초기에 유산기가 있을 때는 여행을 삼가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여행에 문제가 없다.
5. 몸에 꼭 맞는 옷을 입지 않는다.
[의견] 몸에 꼭 맞는 옷은 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6. 사람이 많은 곳에 출입을 삼간다. (여러가지 감염을 방지한다.)
[의견] 사람이 많은 곳에 임신부가 가도 특별히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임신부는 면역성이 떨어져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 조산이나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설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찬 음식은 먹지 않는다.
[의견] 찬음식에 의한 설사가 복통의 원인이 되기는 하지만 조산이나 유산과의 관련성은 적다.
8. 임신 3개월 전에는 비타민제를 먹으면 해로운 수 있으므로 삼간다.
[의견] 임신 3개월전에 먹는 엽산이나 비타민 C등은 오히려 기형예방에 도움을 주므로 임신부에게 좋다 하지만 과량의 비타민 A는 임신부에게 기형을 일으키므로 좋지 않다.
9. 커피는 일절 마시지 않는다.
[의견] 하루 1잔정도는 괜찮지만 5잔 이상의 커피는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10. 기생충 감염이 우려되므로 애완동물은 가까이 하지 않는다.
[의견] 대부분의 애완동물은 가까이 해도 별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고양이의 분변은 toxoplasmosis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1. 탄산음료는 태아의 뼈 형성을 방해하므로 가능하면 멀리하는 것이 좋다.
[의견] 너무 많은 양의 탄산 음료는 임신부의 치아에 영향을 주믈 삼가야 하지만 태아의 뼈 형성에 방해를 주지는 않는다.
12. 순대를 많이 먹으면 점이 생긴다.
[의견] 순대를 많이 먹는다고 점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13. 콘돔이나 패서리 등의 피임은 태아의 성장에 해를 준다.
[의견] 임신중에 콘돔을 써도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며 패서리는 잘 쓰지 않는다. 하지만 쓴다고 해서 태아성장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14. 임신 후에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대중목욕탕 탕 속에 몸을 담그는 것은 삼간다.
[의견] 임신초기에 유산기나 양수가 새는 경우에는 대중목욕탕에 가는 것은 감염의 우려가 있으나 다른 경우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단지 너무 몸을 뜨겁게 하는 것은 좋지 않다.
15. 피임약은 태아에게 기형을 일으킨다.
[의견] 피임약은 태아에게 기형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16. 감기약이 태아에 기형을 일으킨다.
[의견] 대부분의 감기약을 복용해도 태아에게 기형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 임신 중기
1. 염색이나 퍼머약에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이 있어 임신중에는 삼간다.
[의견] 임신중기이후에 퍼머는 아기의 기형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해도 된다.
2. 시끄러운 음악 듣거나 스피커를 가까이 하면 태아에게 난청이 생긴다.
[의견] 시끄러운 음악을 들어도 태아의 난청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3. 덜 익힌 육류나 해산물에는 리스테리아 균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완전히 익혀서 먹는다.
[의견] 임신중에 덜 익힌 육류나 해산물을 먹어도 되며 리스테리아균은 사람에게는 거의 전염이 되지 않는다.
4. 자전거 타지 말아라
[의견] 임신부가 자전거를 못 탈 이유는 없으나 삼가는 것이 타당하다.
5. 높은 굽의 신발을 신으면 요통의 원인이 되므로 삼간다.
[의견] 높은 굽을 신는다고 요통의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임신부는 대부분의 경우 미끌어 지거나 하면 위험하므로 낮은 굽을 신는 것이 좋다.
6. 여행 중 차멀미가 나도 멀미약을 먹어서는 안 된다.
[의견] 임신 중반기에 멀미약은 항히스타민제로 태아에 기형을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복용해도 무방하다.
7. 꽉 조이는 옷은 혈액순환을 나쁘게 하고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므로 삼간다.
[의견] 꽉 조이는 옷은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지는 않지만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질염등을 일으킬 수 있어서 될 수 있는 대로 자제하는 것이 좋다.
8. 임신 중에는 와인 등의 약한 술도 피해야한다.
[의견] 임신중에 와인이나 맥주 정도의 약한 술 몇잔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먹어도 무방하다.
9. 임신 중에는 반사 신경이 둔해지므로 자동차 운전은 가급적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의견] 임신중반기에는 운전이 가능하나 분만이 가까워지는 말기에는 삼가는 것이 좋다.
10. 임신 중 한약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의견] 임신중에 한약이 금기라고는 할 수 없으나 자세한 문의는 한의사에게 상담하도록 한다.
11. 전자파 발생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기담요나 전자레인지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의견] 전자파가 발생한다고 해도 임신중기이후에는 태아기형과는 상관이 없으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12. 입맛이 당긴다고 무조건 먹으면 체지방으로 축적되므로 당도나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피한다.
[의견] 임신성 당뇨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도나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먹어도 된다.
13. 임신중에 초음파를 많이 하면 태아에게 좋지 않다.
[의견] 임신 중의 초음파는 몇 번을 해도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14. 체중이 과다하게 증가하면 임신성 고혈압이 생긴다.
[의견] 임신성 고혈압은 체중과다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체중과다와 임신성 고혈압간에 반드시 관련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 임신 후기
1.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는다.
[의견] 임신 후반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이 분만에 도움이 된다.
2. 하복부 압박 또는 힘을 많이 주는 일은 좋지 않으며 너무 오랫동안 앉아있지 않는다.
[의견] 조기진통이나 조기양막파수등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래 앉아 있는 것은 별로 상관이 없다.
3. 오래 서있는 직업을 가진 임신부의 경우 조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의견] 오래 서 있는 직업을 가진 임신부의 경우에는 조산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임신 중의 성교는 태아의 머리에 충격을 주어 정신박약이나 음란한 아이가 생긴다는 속설도 있다.
[의견] 임신주의 성교는 조기양막파수, 조기진통, 전치태반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능하다.
5. 과도한 운동은 조산이나 임신 부종의 원인이 되므로 삼간다.
[의견] 과도한 운동은 조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6. 까치발로 서지 않는다.
[의견] 까치발로 서는 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7.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다.
[의견] 무거운 물건을 될 수 있는 대로 들지 않는 것이 조산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8. 옆으로 누워서 자면 아이 머리통이 쏠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가로로 눕지 말고 기대어 앉지 말고, 한쪽으로만 서있어도 안된다.)
[의견] 옆으로 누워 자는 것이 오히려 태아에게 혈류량이 많이 가므로 도움이 되는 자세이다.
9. 잇몸 염증이나 치아 부식 등의 임신성 치은염이 있어도 치과치료는 피한다.
[의견] 임신 중의 치과치료는 가능하다.
10. 흉부X-선 촬영을 하면 기형을 일으킨다.
[의견] 흉부 X-선 1장 정도는 태아기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