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
» 수두
수두란?
수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병인데 물집이 잡히고 가려운 것이 특징인 병 전염성이 매우 강한 병입니다. 처음에는 벌레 물린 것처럼 보이지만 금방 투명한 이슬처럼 물집이 잡힙니다. 물집은 얼굴부터 시작해 가슴, 배와 팔다리로 하루 이틀 사이에 퍼집니다. 일주일쯤 지나면 딱지가 생기고 조금 더 지나면 그 딱지도 떨어지면서 자국이 남습니다. 대부분 1년 정도가 지나면 자국이 희미해지다가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한번 걸리면 대개는 더 이상 걸리지 않지만 드물게 두 번 걸리는 아이도 있습니다.
증상:
가렵고 투명한 수포가 특징적입니다. 처음에는 머리와 몸통에 생기고 3-4일 안에 팔 다리로 퍼집니다. 처음에는 벌레 물린 것처럼 가볍고 붉은 반점이 생기지만 곧 투명한 물집이 잡히는데 너무 가려워서 아이가 긁으면 터지고 딱지가 집니다.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열, 복통 두통 기침등이 있으며 배도 아플 수 있고 가려워서 보채기도 하고 식욕이 떨어져 잘 먹지 않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잠복기
10-21일
전염성
매우 강합니다. 피부 발진이 생기기 1-2일전부터 옮기고 발진 생긴 후 5일간 전염시킵니다.
전염 경로
터진 물집에 직접 접촉, 대상포진 부위에 접촉, 재채기나 기침에 의해서도 전염이 가능합니다.
수두는 두 번 걸릴 수도 있다
수두는 한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생기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간혹 드물게 두 번 이상 수두에 걸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번이라도 수두에 걸린 것이 확실하다면 수두 접종은 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치료
아이가 수두에 걸리면 소아청소년과에 가서 치료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심한 경우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면 가볍게 앓고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특히 습진과 천식이 있는 아이나 10대에 수두에 걸린 경우는 항바이러스제가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면 가려움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약은 병의 경과를 변화시키지는 않습니다. 가려움증을 완화시켜주는 바르는 약도 있습니다.
열이 심한 경우는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두걸린 환자에게 아스피린을 해열제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수두 합병증에 유의해야
수두 합병증
제일 흔한 합병증은 박테리아에 의한 피부 감염입니다. 폐렴과 뇌염이 그 다음으로 흔한 합병증인데 이중에서 뇌염과 폐렴은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수두 걸린 아이가 기침이 심해지면 정말로 응급한 상황일 수 있으므로 바로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음 4가지 경우는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게 합니다.
-수두 병변 부위가 붉게 변하거나 발열감이 있어서 감염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
-수두 걸린 사람이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숨쉬는 것이 거칠어지는 경우
-수두 걸린 사람이 어지러워하고 정신이 혼미해지며, 잘 걷지 못하거나 목이 뻣뻣해지거나 고열(39.4도)이 있는 경우
-눈에 발진이 퍼진 경우
집에서 보호자가 할 것들
긁지 말라고 알려주어야 합니다. 긁으면 2차 감염이 잘 생기고 잘못하면 흉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손을 잘 씻겨주어야 합니다. 손톱을 짧게 깎고 잘 다듬어 주어야 합니다.
차가운 물에 놀게 하면 가려움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가려운 것을 좀 더 줄여주기 위해서 오트밀을 첨가한 물에 담구어 줄 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입안에 수두병변이 생긴 경우 시거나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는 것조차 아파할 때는 부드러운 음식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두 예방법
수두접종을 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입니다.
12-15개월에 1차 접종하고 4-6세에 2차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2-15개월 1회만 접종하는 것이 지침이지만 의학적으로는 4-6세 두 번째도 접종해 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수두환자와 접촉한 3일 이내에 접종을 해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두에 걸린 아이는 모든 병변에 딱지가 생길 때까지는 다른 아이와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와 수두
임산부가 수두에 걸리는 경우는 태아에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 걸리면 저체중아가 태어날 수도 있고 다리의 선천성 기형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더 심각한 것은 아가 출생 직전에 임산부가 수두에 걸리는 것입니다. 이 경우는 아가에게 치명적인 수두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임신을 하기 전 미리 수두에 걸린 적이 있는가를 확인 후에 걸린 적이 없는 경우 반드시 수두 접종을 해야 하고 접종 후 1개월간 임신은 피하여야 합니다.
수두의 나중 합병증 대상포진
수두에 한번 걸린 사람들 중에는 나중에 대상포진이란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심하게 아프고 합병증이 많이 생길 수 있는데 최근에 평균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에 대상포진의 위험성이 더 높아져 수두 접종을 해서 예방하는데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하정훈
이글은 2010년 4월에 작성한 글인데, 2010년 12월까지 유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