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빠르게 돌아가는 세상속에 요즘 아이들 역시 너무나 빠르게 적응을 해가고 있는것 같다. 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을 바라볼때 좋은 현상만은 아닌것 같은데. 세상의 탓인지, 부모의 탓인지를 시시비비 가리기도 어려운 문제라고 본다.
흔한 예로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친해지는 시기도 빨라지고 연령대 또한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식당이나 영화관등 공공장소를 가보면 흙바닥에서 뛰어놀 아이들도 손에는 다 스마트폰이 들려있다. 부모는 부모들끼리 수다삼매경, 애지중지하는 아이는 스마트폰을 친구삼아 또 다른 세상에 흠뻑 빠져있다. 참 안타까운 모습중 하나다.
스마트폰의 부작용이라고 할까? 요즘 매체를 통해 많이 접하게 된다. 사람을 탈바꿈 시킨다고 보면 될것 같다. 아이들만의 중독이 아닌 성인들 또한 스마트폰의 중독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게 우리나라 현실이다. 판단력이 부족한 우리 아이들만이라도 부모의 제지가 필요할텐데 이것 또한 일회성에 그치니 마음이 아프다.
효과가 단시간이 될지는 몰라도 요즘 어린이집, 유치원등에서는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안하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고한다. 가정내에서 반응은 좋다고들 한다. 폰과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에 가족과 함께 책을 본다거나 산책을 하는등 기계가 아닌 사람과의 상화작용이 이뤄지기에 가족내 분위기가 더 좋아지고 있다고한다. 큰 효과는 기대하지 않지만 이런 작은 실천부분들이 많이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유림양 아빠는 스마트폰. 나는 아직..기기 사용이 중단되면 어쩔수 없이 바꾸겠지만 아직까지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고있다. 굳이 세상의 흐름에 따라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함께 스마트폰으로 교환하자고 했는데 내가 사양했다. 왜 유행을 따라가려고하는지..물론 기기사용중단으로 어쩔 수 없이 바꾸게 되면 모르겠지만..
유림양도 처음엔 스마트폰에 관심이 많았다. 기존 폰 보다 크기도 크고 나름 새로운 세상이었으니..그런데 그것도 잠깐. 어쩌다 노래정도 듣고. 가급적 스마트폰과 접해주지 않으려고 무한 노력중이다. 고맙게도 뜻을 잘 따라주고 있다. 대신 엄마폰으로 하루에 짧게 몇분씩 영어공부. 기본적인 회화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갈아가면서 듣는다. 짧게 5분~10분이기에 큰 문제는 없다고 본다.
컴퓨터도 폰도 그런것 같다. 다 활용하기 나름인것 같다. 흔히들 말하는 잘 사용하면 득이 될테고 잘못 활용하면 해가 될 것이라고 본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니 오해없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