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과 한의학]"간이 크다"

조회수 8683 추천수 0 2011.02.15 10:43:36

한때 ‘간 큰 남자’라는 유머가 유행하는 때가 있었다. 부부관계에서 남편이 아내의 눈치를 보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결정하는 겁없는(?) 남자를 ‘간 큰 남자’라고 풍자했다. 집안일을 돕지 않거나 가사분담을 하지 않는 남자 역시 ‘간 큰 남자’라 칭한다. 하지만 원래 ‘간 큰 남자’는 “겁이 없고, 배포가 크다”는 의미로 쓰였다. 예부터 조상들은 용감하고 대범한 경우 오장육부 중에서 간이라는 장기를 이용해 표현해왔다. 부정적 의미인 ‘만용’이나 ‘객기’를 “간이 부었다”거나, “간이 배 밖으로 나왔다”라고 과장해 표현하기도 했다.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간은 장군지관이라고 해서 장군이나 영웅에 비유된다. 즉, 간이 용기와 결단력을 주관한다고 본다. 비슷한 말로 ‘대담하다’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에 쓰인 ‘담’(쓸개)은 간과 짝이 되는 장부다. ‘담’에서 결단이 나온다고 본 것이다. 사리에 맞지 않고 줏대없이 행동하는 이에게 ‘쓸개 빠진 놈’이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도 결단을 주관하는 담의 특성 때문이다.



간과 담은 오행 중에서 나무의 기운을 가진다. 봄날 땅을 뚫고 올라오는 새싹처럼 활력과 힘을 만들어주는 역할과 추진력을 의미한다. 경락학적으로는 엄지발가락-생식기-간으로 흐르는 족궐음간경이 튼튼한 사람이 용기와 결단력이 있고 시원시원하며 두둑한 배짱을 지녔다. 군가를 부르면서 옆구리에 손을 얹고 부른다던지, 싸우거나 공격적인 태세를 할 때 옆구리에 손을 얹는 것은 이 족궐음간경과 표리관계에 있으며, 옆구리 쪽을 흘러 지나가는 족소양담경의 에너지가 충만해지기 때문이다.



한의학에서는 하나의 장부를 그 자체로만 보지 않고 전신의 기와 조직, 세포는 물론 정신적인 면에 이르기까지 능동적 활동을 포괄하는 계통적 체계로 본다. 한의학에서 간은 몸의 모든 근육이 운동할 수 있는 에너지인 혈을 만들고 정신활동의 요소인 혼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간기가 부족하면 조그만 일에도 두려워하고 겁내게 되고, 간기가 충만하면 두려움이 없으며, 담기가 좋으면 주눅들지 않고 좋은 결정을 할 수 있다.



우리가 공포영화를 볼 때 죽은 줄 알았던 살인마가 다시 벌떡 일어나는 순간, 어두운 골목길 구석에서 검은 고양이가 튀어나오면 간담이 서늘함을 느낀다. ‘간이 크다’와는 반대로 이렇게 크게 놀라는 상황에 처했을 때 우리는 흔히 ‘간이 콩알 만해졌다’, ‘간 떨어질 뻔했다’는 표현을 쓴다. 황제내경에서는 간에 혼(魂)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는데 간이 떨어질 뻔했다는 것은 혼이 나가고 정신이 나갈 정도로 많이 놀랬다는 말이다. 또한 놀라거나 무서움을 당하면 담이 상한다고 보는데, 얼굴이 퍼렇고 희게 되는 것은 담이 무서움을 받은 것이라고 했다.



동의보감에서는 성을 내서 기가 거슬러 올라가 내려오지 않으면 간을 손상시킨다고 했다. 꽁하고 쩨쩨한 마음, 분노의 감정은 간을 상하게 한다. 새해에는 장군과 같은 결단력으로 일을 추진하는 동시에 느긋하게 생각하는 여유를 갖고 작은 것에도 만족하고 감사할 수 있는 한해가 되길 바라본다.



이창열/인의한의원(부평점) 원장·청년한의사회 학술국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554 [책읽는부모] 좌충우돌, 다듬어지지 못한 나의 슬로 육아 (아날로그로 꽃피운 슬로 육아를 읽고) [2] 난엄마다 2014-08-21 4700
553 [자유글] 종일반에 들고 싶은 마음 [4] 루가맘 2016-02-24 4698
552 [자유글] 뉴스 타파 세월호 다큐 영상 보셨나요? [2] 양선아 2014-08-07 4697
551 [나들이] 폭염이었던 어느날, 로이터 사진전 다녀왔어요! imagefile [3] 꿀마미 2016-08-30 4696
550 [자유글] 젖 이야기 최형주예요. 잘들 지내세요? ^^ imagefile [5] 최형주 2014-07-23 4696
549 [자유글] 식생활 교육을 받으며 imagefile 푸르메 2014-07-30 4695
548 [책읽는부모] <대한민국 엄마표 하브루타>를 읽고 imagefile xiaoxuan 2018-08-31 4693
547 [가족] 전철 세운 엄마 이야기 [2] 숲을거닐다 2014-07-02 4693
546 [책읽는부모] [함께 책 읽기 프로젝트]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 [2] 난엄마다 2014-11-04 4692
545 [직장맘] [주말엄마]② 칼퇴근 하라고 하세요! [2] kcm1087 2014-06-12 4692
544 [책읽는부모]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jujuclub79 2014-05-19 4690
543 [요리] 맛과 영양이 한 그릇에 ‘듬뿍’ 토마토 달걀스튜 imagefile 베이비트리 2016-08-08 4689
542 [자유글] 24일, 빈진향님 전시회 오시는 분들 손좀 들어주세요!^^ imagefile [4] 안정숙 2014-01-17 4688
541 [책읽는부모] [함께 책 읽기 프로젝트] 시작합니다. 책이 정해졌어요. [9] 난엄마다 2014-10-16 4687
540 [살림]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이건 뭐지? image wonibros 2013-07-11 4687
539 [나들이] <로이터사진전>엄마의 욕심과 아이들의 눈높이 사이 imagefile [7] 푸르메 2016-09-04 4686
538 [자유글] [빛깔 있는 이야기] 아이를 방해하지 않기 image 베이비트리 2015-01-21 4686
537 [직장맘] 9세 개똥이의 방학 첫날. [6] 강모씨 2018-07-26 4684
536 [책읽는부모]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 : 돕고 사세 imagefile [6] 강모씨 2015-08-18 4684
535 [자유글] 맥주야 맥주야 제발.... imagefile 양선아 2014-06-12 4683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