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음식 좋아하면 감기 잘 걸려요

조회수 25073 추천수 0 2010.10.19 10:00:22
01467428593a42ef389e1f7bd584fab0. » 외출 뒤 손씻기를 잘 해도 감기에 걸릴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생활동의보감]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제법 차다. 유난히도 덥고 습기가 많던 올 여름을 생각하면 반가운 일이다. 10월, 차가운 이슬이 내린다는 한로, 서리가 내린다는 상갈이라는 절기에서 보듯 본격적인 환절기로 접어들었다. 일교차가 심해진 요즘 철에는 잦은 온도 변화와 서늘한 바람 때문에 감기에 걸리기 쉽다.



감기는 사실 모든 계절에 다 걸릴 수 있지만, 주로 가을부터 겨울 사이에 걸린다. 한의학에서 감기란 ‘나쁜 기운, 즉 사기(邪氣)가 몸 안에 들어오는 것’이다. 환절기 때 감기 환자가 많은 이유는, 더운 여름철을 지나면서 우리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데다 변화된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감기는 과로나 스트레스 등으로 우리 몸의 균형이 깨져 있을 때 더 잘 걸린다.



감기의 대표적인 증상은 코막힘, 콧물, 재채기, 기침 등이다. 열을 동반하는 몸살감기는 기침 외에 오한, 두통, 설사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환절기라 해도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그 이유는 사람마다 정기(正氣)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정기, 면역력이 튼튼하면 나쁜 기운이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지 못해 감기에 안 걸리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온도 변화 등에 대한 적응력과 조절능력이 떨어져 감기에 잘 걸리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감기에 잘 걸리는 유형은 첫째, 여름에 더위에 지친 사람이다. 여름에 소진된 체력으로는 계절 변화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둘째, 평소 빙과류나 청량음료, 맥주 등 찬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이다. 찬 음식은 음식물이 들어가는 위뿐만 아니라 주변 장기인 폐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폐의 기능을 떨어뜨려 감기에 쉽게 노출되게 만든다. 셋째, 피부가 흰 사람이다. 한방에서는 대체로 폐 기능이 허약한 사람이 피부가 하얗다. 폐 기능이 허약하기 때문에 환절기 기온 변화를 따라가기가 벅차 감기에 걸리기 쉽다. 이밖에 체력이 약한 영유아나 큰 병을 앓은 환자, 노인도 감기에 잘 걸린다. 



감기를 예방하려면 정기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 균형잡힌 영양 섭취,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휴식, 즐거운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감기에 걸렸다면 최고의 보약은 휴식이다. 오한을 동반한 몸살 감기라면 이불을 뒤집어 쓰는 등의 방법으로 땀을 내는 것이 좋다. 여기에 고춧가루를 넣은 콩나물국을 먹으면 금상첨화다. 가래를 수반한 목감기라면 물을 많이 마시고 가습기를 틀거나 젖은 빨래를 실내에 널어 습도를 높여주면 도움이 된다. 코가 답답할 때는 뜨거운 수건을 코와 이마 사이에 얹어 놓고 막힌 쪽이 위로 향하도록 누우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올 여름은 예년에 비해 무더웠던 데다 늦은 가을장마로 인해 더 습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여느 해보다 우리 몸이 적응하는 데 힘들어 하는 것은 당연하다. 여름내 지친 몸을 잘 추스르고 충분한 휴식과 안정을 취하는 것, 이것이 일교차가 크고 계절이 변하는 요즘 감기를 예방하는 길이다.



임장신/중앙경희한의원장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sort
20 [자유글] 29살 주부 9년차, 나도 여자다 imagefile yea9493 2010-06-11 27924
» 찬음식 좋아하면 감기 잘 걸려요 imagefile babytree 2010-10-19 25073
18 고3 수험생들 '꼿꼿한 자세'잃지 마세요 imagefile babytree 2010-11-09 24235
17 실명 부르는 '황반변성'…"담배부터 끊으세요" imagefile babytree 2010-10-12 21266
16 “한 판만 더”…멈출 수 없는 병 ‘도박 중독’ imagefile babytree 2010-09-28 21104
15 눈 뻑뻑하고 충혈되면 눈 깜빡거리세요 imagefile babytree 2010-08-31 20744
14 "뭐라고요?…'사오정' 내 친구 혹시 난청? imagefile babytree 2011-02-22 19541
13 휴가 때 꼭 해야할 한가지 ‘쉼’ imagefile babytree 2010-07-20 18317
12 눈 깜빡·코 찡긋…혹시 우리 아이 ‘틱’인가 imagefile babytree 2010-12-14 17524
11 소화기 병나면 얼굴도 병든다 imagefile babytree 2010-11-02 16945
10 나를 알고 조율하는 ‘분노의 기술’ imagefile babytree 2010-04-15 16300
9 덮어놓고 살다보면 병 키운다 imagefile babytree 2010-08-24 16152
8 "여드름 줄이려면 기름진 음식 피해야" babytree 2010-10-19 14152
7 자살 부르는 우울증 치료는? imagefile babytree 2011-03-02 13018
6 우울한 당신, 완벽주의거나 꿍하거나 imagefile babytree 2010-04-27 12634
5 명절증후군 목욕·매실차로 싹~ babytree 2010-09-14 11678
4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babytree 2011-01-18 11642
3 간 굳어질수록 간암 발생 높아져 imagefile babytree 2011-02-22 10756
2 마음 쪼그라든 수험생, 쉬게 해주세요 imagefile babytree 2010-07-27 10289
1 [자유글] [이벤트참여] 수다로 스트레스를 날려버려요~ baram29 2010-06-07 8736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