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몸의 물혹 사고칠 확률 얼마나?

조회수 22877 추천수 0 2010.04.29 21:19:42



친근하고도 낯선 물혹의 모든 것

극소수 빼고는 저절로 없어져

지름 4~5㎝이상 정기 검사 필요

뇌 주변 물혹 꼭 전문의 진료를



a43bf80e1499a6c9526493f2b04939dd.



건강검진이나 산부인과 진료를 받을 때 의사로부터 “물혹이 있다”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많다. 물혹은 말 그대로 물이 찬 주머니를 말하는데, 그만큼 흔하다. 낭종이라고도 부른다. 물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고, 지방이나 혈액 등이 들어 있기도 하다. 물혹이라고 하면 흔히 유방과 난소 등 여성에게 생긴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간, 신장, 췌장, 피부, 갑상선 등 손발톱을 제외한 신체의 모든 부위에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남성도 예외가 아니다. 50살 이상의 사람들 가운데 절반이 물혹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물혹은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나치기 십상이다. 건강한 성인이라고 자부하는 당신의 몸에도 물혹이 한두 개쯤 있을지 모른다.



*‘물혹’ 왜 생기나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다. 체질과 선천적인 요인, 노화, 기생충 감염과 염증, 신체 내의 변형, 외상 등 다양하게 꼽힌다. 유상호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몸 안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액체의 흐름이 노화 등에 의해 막혀 발생하거나 감염 후나 종양의 후유증, 만성 염증 상태, 유전적 요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8e3a4887b81f3b4545d6ee91b944af77. » 친근하고도 낯선 물혹의 모든 것



한의학에서는 물혹의 원인을 담음(체액의 정체로 인한 구정물이나 가래처럼 체액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노폐물화한 것)으로 꼽는다. 간혹 혈액이 차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어혈(혈액의 정체로 인해 울혈이 된 것)을 원인으로 본다. 담음과 어혈은 몸에 찬 기운이 많고, 과로와 스트레스 등으로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할 때 생긴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이진무 교수는 “평소 무리하지 않고,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면 좋다”고 말했다.



*‘물혹’은 제거해야?

“수술하면 낫는 건가요?” 물혹이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제거해야 할 대상인지, 완치가 가능한지, 수술을 해야 하는지 여부다. 이는 양성종양인 물혹과 암 같은 악성종양을 구분하지 못해서다. 전문가들은 “치료도, 수술도, 걱정도 필요 없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물혹은 1~3개월 후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고, 크기도 일정 정도 자라면 더이상 자라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름이 10㎝ 이상 돼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물혹이 몇 개냐의 여부도 위험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 않는다. 다만 지름이 4~5㎝가 넘는다면 1년에 1번 정도 정기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통증이 수반되거나, 출혈이 있을 경우, 물혹이 커져 다른 신체기관을 압박해서 답답함을 느끼는 등의 자각증상이 있다면 치료나 제거 수술을 고민해야 하는 경우다. 신현필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물만 뽑는 치료를 해도 대부분 재발된다”며 “다른 곳으로 물을 빼거나 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긴 한데 합병증 가능성이 있으므로 극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 수술 치료는 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경도 동서신의학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난소의 경우 물혹의 크기가 5㎝ 정도가 되면, 수술 여부를 결정한다”며 “물혹이 빨리 커지거나 악성종양이 의심되는 경우는 수술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 조기 발견이 최선

물혹은 물혹일 뿐이다. 엄밀히 말하면 물혹도 종양의 일종이긴 하지만 암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다만, 물혹 외벽이 울퉁불퉁하다거나,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경우, 안에 물이 아닌 다른 것이 들어 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들 물혹 중 일부는 암일 수도 있다.





dea2963e2e1ab7c7a00896eb43accbcd. » 한 남성 환자가 병원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를 받고 있다. 사진 한림대의료원 제공



암이 아니더라도, 뇌 주변에 지주막 낭종이나 솔방울샘(송과선) 낭종 같은 물혹이 있다면 암만큼이나 위험하다고 봐야 한다. 뇌가 몸 안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때문이다. 뇌와 두개골 사이 제한된 공간 안이나 뇌 깊은 곳에서 자라게 되면 신경조직에 압박을 줘 기능장애를 불러올 수 있다. 뇌는 치료나 수술이 다른 부위보다 훨씬 까다로우므로 반드시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물혹은 예방법이 따로 없다.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최선이다. 특히 유방과 난소에 물혹이 자주 생기는 여성들은 생리주기에 이상이 있거나, 부정기적인 질 출혈, 복부 통증이나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신속히 검사를 받아야 한다. 양성천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저절로 없어지는 물혹인지, 양성종양인지, 악성종양인지 감별해 적절한 조치를 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고재환 서울백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부인암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사진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 도움말: 신현필(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기경도(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산부인과 교수), 이찬무(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한방부인과 교수), 정은욱(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고재환(인제의대 서울백병원 산부인과 교수), 유상호(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양성천(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산부인과 교수)




















 

신체에 생길 수 있는 물혹의 종류



난소낭종·자궁물혹, 추적관찰해야



bb819178d1b922226bb130cc1531c0d3.● 간낭종

전 인구의 0.1~2.5%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하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연령대는 40~60대에 주로 발견된다.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지름이 10㎝ 이상일 경우 상복부 불편감, 팽만감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이 있거나 감염 또는 출혈이 있다면 치료해야 하지만, 이런 경우는 아주 드물다. 다만, 암이 때로는 물혹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6~12개월 간격으로 크기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크기 변화가 없다면 1년에 한 번 정도 추적검사만 하면 된다.



● 신장낭종

단순 낭종과 유전성 질환인 다낭종신을 구별해야 한다. 다낭종신은 양쪽 신장에 수백~수천개의 작은 물혹이 생기는 유전병이다. 30살 이전에 물혹이 생기기 시작하고 30~50대에 이르면 고혈압과 신부전이 발생하며, 60대 이후에는 50~70%가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된다. 물혹의 발생을 막을 수는 없으며 신장 기능을 최대한 유지시키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말기 신부전에 이르면 투석이 필요하다. 이와 달리 단순 낭종은 신장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므로 치료가 필요 없다. 대개 나이가 들면서 낭종이 증가하는데 50살 이후에는 정상인의 20~30%에서 낭종이 발견된다.



● 췌장낭종

점액성 낭종, 췌관 내 유두 점액종양(IPMN) 등 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낭종이 생길 수 있다. 이때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수술을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낭종이 췌장의 두부(머리)에 발생하는 경우 췌장, 십이지장, 담낭과 담관을 모두 떼어내는 광범위한 수술이 필요하므로 위험도가 높다.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신중하게 치료를 결정해야 하므로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이와 별개로 급성췌장염 합병증으로 췌장 주변이나 췌장 안에 낭종이 발생하기도 한다. 가성낭종으로 불리는데, 작은 낭종들은 대개 자연 소실된다. 특별한 치료는 필요 없으며, 경과를 관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통증과 증상을 유발하거나 낭종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는 낭종의 물을 빼내는 치료가 필요하다.



● 난소낭종

가임여성의 난소에서는 매달 난포가 성장해 성숙한 난자가 배란되는 과정이 되풀이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혹이 생긴다. ‘생리적 낭종’이라고 하는데 대개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으며, 2~3개월 뒤 저절로 없어진다. 그러나 2~3개월 후에도 없어지지 않거나 크기가 더 커지는 경우, 낭종이 꼬이거나 터지는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이때는 복통, 요통, 하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폐경 이전 여성의 경우 난소의 물혹이 악성일 확률은 15분의 1 미만이지만, 폐경 이후 여성의 난소 종양은 악성일 확률이 높으므로 지름이 5㎝ 이상이면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다.



● 유방낭종

유방의 물혹은 유방 섬유종과 유방낭종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유방섬유종은 여성호르몬 분비 불균형으로 유선과 섬유질이 비대해져서 생긴다. 특히 임신 중 빠른 속도로 커지는데 크기는 1~5㎝ 남짓이다. 대개 통증이 없지만 통증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단 혹이 확인되면 유방 엑스선 검사, 초음파, 세침흡인 검사 등을 통해 암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섬유종이라면 제거할 필요 없이 관찰만 하면 된다. 크기가 작은 경우, 약 30~40%는 2년 이내에 크기가 작아지거나 사라진다. 유방낭종은 유방조직에 물이 차서 생기는 것으로 30~50살에 흔하며, 통증은 없다. 역시 암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고,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갑상샘낭종

갑상샘낭종은 암의 가능성은 없는 낭성종물로 경계가 매우 선명하고 둥글며 초음파에서 내부는 검게 보인다. 일반적으로 조직 검사는 필요 없으며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경우는 내용물을 주사기로 뽑아내거나 알코올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자궁물혹

자궁의 물혹은 주로 자궁근종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궁근종은 자궁의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종양이다. 주로 여성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가임여성의 약 20%에 존재한다.



75%는 증상이 없지만 25% 정도는 월경불순, 월경과다, 질출혈, 하복부통증,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으면 추적관찰하는 것이 원칙이고 갑자기 커지거나 증상이 있다면 수술로 제거한다.



※ 도움말: 정은욱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 내몸의 물혹 사고칠 확률 얼마나? imagefile babytree 2010-04-29 22877

인기글

최신댓글

Q.아기기 눈을깜박여요

안녕하세요아기눈으로인해 상담남깁니다20일후면 8개월이 되는 아기입니다점점 나아지겠지 하고 있었는데 8개월인 지금까...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