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피어나리라
어둠이 몰려온다
이대로 밤이 지나면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은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은
캄캄한 바다는 말이 없다
무심히 일렁이는 바다
그 아래 사람이 있는데
그 아래 사람이 있다고
사람이 있다고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봄꽃처럼 살았던 많은 생명과 함께
세월호는 가라앉았다
무능한 기득권을
무책임한 기득권을
수면위로 올려놓고
혼자서는 바꿀 수 없다
고구마줄기 마냥 엮여있던 관행들
꿈쩍하지 않았던 몹쓸 권력들
어찌 해야 하나
무엇을 어찌 해야 하나
어떻게 그 아픔을 잊으랴
어찌 그 고통을 잊으랴
더 이상 가만히 있지 말아달라고
더 이상 이리 보내진 말아달라고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고
다시 찾아온 4월은
온몸으로 소리친다
끝끝내 희망은 없는가
차가웠던 겨울
마주했던 우리들의 광장
뜨거웠던 우리들의 촛불
무엇을 바꾸었나
세월호는 뭍으로 올라왔다
아니다 아직
세월호는 가라앉아있다
더 이상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더 이상 그리 보내진 않겠다고
지금까지의 썩은 것들
다 도려내겠다고
불끈 쥐었던 손
이 악물었던 순간들
누군가 하겠지
누군가 하겠지
내가 하지 않으면
네가 하지 않으면
아무도 하지 않는다
우리가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분노나 슬픔이어도 좋다
연대와 공감이어도 좋다
다시 피어나라
다시 피어나리라
4월의 생명들과 함께
이제 다시는
세월호를 만들지 않겠다고
이제 다시는
우리 아이들을 우리 이웃들을
그리 보내지는 않겠다고
가만히 있지 않겠노라고
다시 피어나라
다시 피어나리라
새 봄과 함께
다시 피어나리라
~~~~~~~~~~~~~~~~~~~~~~~~~~~~~
2014년 초등학생이었던 아이는 이제 중학생이 되었다. 세월은 이리 흘렀다. 그러나 기억 속에 남은 세월호는 아직 제자리다. 현실에 남은 세월호도 제자리다. 어디에서부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가만히 있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했던 그 때로부터 지난 5년. 난 무엇을 해왔던가. 그 동안 부끄럽지 않게 살았는지 다시 물어본다. 5년 전 그 날, 아이 학교 가는 길을 따라나섰다가 돌아서며 접했던 세월호 소식에 하루 종일 발을 동동 했었다. 그리고 계속 쌓여갔던 분노들. 위 시는 그 분노들을 이곳 베이비트리에 쏟아냈던 기억들을 더듬어가며 쓰기 시작했다. 벚꽃과 길가에 초록빛 잎망울을 맺으며 생기넘치는 4월이지만 힘겨웠다. 4월을 어찌 극복해야하나 시를 쓰면서 희망과 긍정의 메세지를 찾고 싶었다. 집을 나서면 눈에 띄는 풀과 나무와 살아있는 자연이 봄을 맞이하고 있지만 세월호를 떠올리면 힘겨운 이 마음을 무엇으로 위로해야하나. 세월호로 희생된 분들을 어떻게 마주해야할까. 이 멋진 봄의 계절 4월의 자연과 함께 그들의 삶이 다시 태어나길, 멈춰있는 진상규명에서 더 나아가길, 가만히 있지 말고 한 걸음 더 나아가길 다시 간절히 바라는 맘으로 시를 썼다. 더 이상 우리 아이들이 우리 이웃들이 이런 희생을 치르지 않기를 기도한다. 더 이상 희생이 없도록 용기내어 목소리를 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