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릇없는 아이를 볼 때마다 ‘저 애는 집에서 가정교육을 어떻게 받은 거야?’라고 생각하며 매몰찬 시선으로 아이를 쳐다볼 때가 있었다. 그리고 예의바르고 정말 모범적인 아이를 볼 때면 ‘저 애 엄마는 어떻게 가정교육을 했을까?’라는 감탄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곤 했었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자녀양육이란 것이 나와는 상관없을 때 했던 것일 뿐...
그런데 나에게 아이가 태어나자 그동안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자녀양육’이란 것이 나에게 사명감처럼 다가왔다!
대학시절 교육학을 공부하면서 쌓은 지식들, 또 직장에서 아이들을 교육하면서 얻은 경험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씩 체계를 잡는 듯 했다. 무엇보다도 아이를 이해할 때 뇌 과학적 접근을 한다면 아이에게 무조건 감정적으로만 대하진 않을 것 같다.
아이의 조금은 무례하고 버릇없는 행동들이 그들의 뇌가 자람으로 인한 행동일 수도 있단 생각에 그동안 내 마음을 짓누르던 부정적 감정들이 해소되는 것 같았다.
이 책을 통해 다시금 그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3가지만 꼽자면 운동, 잠, 자기 절제력이다.
여고시절 난 지독시리 체육시간을 싫어해서 차라리 비가 오길 간절히 빌곤 했었다. 하지만 그때 체육시간을 즐겼더라면 나의 두뇌가 좀 더 우수해지진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해봤다.
운동은 똑똑한 뇌를 만든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내 아이에게도 꾸준한 운동을 하게끔 유도하는 엄마가 되어야겠다.
다음으로 수면을 통해 더욱 건강한 뇌를 만들 수 있다. 연령별 수면 권장시간은 내가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할 중요한 정보다. 지금 딸 아이가 생후 3개월이니 14-15시간의 수면이 필요하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자기 절제력!!
아이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렸을 때부터 자기 절제력을 길러야 한다. 내 아이가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다 해주는 부모보다 통제력을 길러줄 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겠다. 흔들리는 부모가 흔들리는 자녀를 만든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균형적인 양육, 즉 민주적인 양육태도를 견지하도록 노력해야겠다.